식도질환: 호산구식도염(Eosinophilic Esophagitis, EoE)


목차

개요

개념

  • 호산구 식도염은 성인과 소아에서 모두 발생 가능
  • 남녀비: 3:1

현재 호산구 식도염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진짜 증가하고 있는지, 단지 진단만 많아지고 있는지 명확하지는 않다고 합니다.

 

병태생리

  • 항원을 탐식할 때 면역반응의 장애로 인해 발생

 

임상 양상

  • 삼킴 곤란(dysphagia), 식도내 음식박힘(food impaction)
  • 비전형적 흉통, 전흉부 작열감(PPI에 반응이 적음)
  • 음식 알레르기, 천식, 알레르기 비염의 병력
  • 섬유화, 식도 협착, 식도 천공

나이

임상양상

영유아

feeding difficulties, feeding refusal/intolerance, irritability, vomiting

학령기 소아

복통, 구토, 역류증상, 삼킴곤란

청소년

삼킴곤란, food impaction, 구역, 역류증상, 식사량 감소

성인

삼킴곤란, food impaction

 

Inflammatory phase를 지나 fibrotic phase로 진행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소아는 inflammatory phase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성인은 fibrotic phase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단

  • 특징적인 식도 증상과 식도 점막 생검 소견에서 호산구가 많이 관찰될 때 진단 가능
  • 식도 호산구 증가증을 나타낼 수 있는 다른 질환(GERD, 약제 과민반응, 결체조직 질환, 감염 등)을 배제할 것

 

진단기준(ACG clinical guideline 2013)

  • Symptoms related to esophageal dysfunction
  • Eosionophil-predominant inflammation on esophageal biopsy, characteristically consisting of a peak value of ≥ 15 eosinophils per high-power field (eos/hpf)
  • Mucosal eosinophilia is isolated to the esophagus and persists after a PPI trial
  • Secondary causes of esophageal eosinophilia excluded
  • A response to treatment (dietary elimination; topical corticosteroids) supports, but is not required for, diagnosis.

 

내시경

  • 특징적인 내시경 소견: 다발성 식도륜(esophageal rings), 점상 삼출물(punctuated exudate), 선형의 고랑(longitudinally oriented furrow)
호산구 식도염 내시경 소견
  1. Stacked circular rings ("feline" esophagus)
  2. Stricture (particularly proximal stricture)
  3. Attenuation of the submucosal vascular pattern
  4. Liner furrowing that may extend length of the esophagus
  5. White papules (representing eosinophilic microabscess)

6. Small caliber esophagus

 

조직검사

  • 식도 점막에서 호산구가 증가한 소견(≥15/HPF)


호산구 식도염 소견

이미지이미지

Longitudinal furrow      

Histology eosinophil infiltration

        

 


치료

3가지 치료원칙

  1. 원인이 되는 음식 제한(소아에서 효과적이라고 입증)
  2. 약물 요법: corticosteroids 중심
  3. 식도 확장(mechanical dilation): critical stricture가 존재하는 경우

 

약물요법

  • PPI trial

 

PPI trial이라고 EoE 배제를 위해 사용하던 전략이 있었습니다. PPI 치료 시도를 해서 임상적 또는 조직학적 호전을 보이면 EoE보다는 GERD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것이지요.

그런데 GERD가 식도 점막 손상을 일으키면 EoE를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PPI를 사용하면 점막 손상이 호전되어 EoE도 호전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PI를 써서 증상이 좋아진다고 EoE가 아니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이런 이유로 최근에는 PPI 치료를 EoE 배제를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EoE의 initial treatment로 corticosteorid와 함께 투여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PPI responsive esophageal eosinophilia (PPI-REE)라는 개념도 있습니다. 과거 EoE 중 PPI 반응이 있는 경우에 사용하던 용어지만 현재는 별도의 질환으로 간주하지 않고 호산구 식도염의 아형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용어입니다. PPI 자체가 anti-inflammatory effect가 있기 때문에 일부 환자에서 PPI response를 보이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 스테로이드
    • 국소 스테로이드: fluticasone propionate or budesonide
    • 전신 스테로이드: 매우 심하고, 상기 방식으로 치료에 반응이 좋지 않은 경우에 시행 가능

 

식도 확장(Esophageal dilation)

  • 식도 협착이 발생할 경우에 식도 천공 위험이 있어서 주의해서 시행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316장
  • Carr S, Chan ES, Watson W. Eosinophilic esophagitis. Allergy Asthma Clin Immunol 2018;14(Suppl 2):58.
  • Straumann A, Katzka DA. Diagnosis and Treatment of Eosinophilic Esophagitis. Gastroenterology 2018;154(2):346–59.
  • Dellon ES, Gonsalves N, Hirano I, et al. ACG clinical guideline: Evidenced based approach to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esophageal eosinophilia and eosinophilic esophagitis (EoE). Am J Gastroenterol 2013;108(5):679–92; quiz 693.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