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위식도역류질환이란?
임상양상: 식도 증상 및 징후
전형적인 식도 증상 및 징후
흉부작열감
양상
기전
역류 증상
비전형적인 식도 증상 및 징후: 흉부작열감과 역류 증상 이외의 식도 증상
비심인성 흉통(noncardiac chest pain)
임상양상: 식도 외 증상
위식도역류질환이란?
GERD의 정의는 Montreal 정의를 이용합니다. 식도손상을 동반한 역류 식도염(reflux esophagitis)의 분류에는 LA classification을 따릅니다.
- 1999년 Genval 워크숍 보고(범세계적인 인식) → 이 후 큰 변화없음(2005년 Motreal International Consensus 정의)
- Montreal 정의: 위내용물이 식도 내로 역류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증상을 발생시키거나 합병증을 유발한 경우
위식도역류질환의 몬트리올 정의
비미란성역류질환(Non-Erosive Reflux Disease, NERD) = 내시경 음성 역류질환 | 미란성 역류질환(Erosive Reflux Disease, ERD) 또는 역류식도염(Reflux Esophagitis) |
↓ | ↓ |
|
|
- 의사를 찾기까지는 수년의 세월이 걸리며 증상의 호전과 악화가 반복되면서 자연적으로는 좋아지지 않는 만성 경과를 보인다.
- 임상양상: 위식도 역류질환의 임상증상은 식도 증상 및 식도 외 증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임상양상: 식도 증상 및 징후
전형적인 식도 증상 및 징후
- 전형적인 식도 증상: 흉부작열감(heartburn), 역류 증상(regurgitation)
- 전형적인 증상의 빈도 및 강도는 식도점막손상의 정도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 환자마다 식도 점막의 감수성이 다르기 때문
- 식도 점막의 감수성이 증가하는 경우: 젊은 연령, 여자, 스트레스 등
- 식도 점막의 감수성이 감소하는 경우: 바렛 식도
흉부작열감
양상
- 일반적으로 식후 30분에서 2시간에 나타나 10분 이상 지속된다. 한 번에 수 시간씩 지속되지는 않는다.
- 흉골 뒤쪽 가슴이 타는 듯한 증상으로 검상돌기에서 목으로 전파된다.
- 유발인자: 과식, 특정한 음식(맵고 지방을 많이 포함한 음식, 초콜릿, 술) 섭취 후
- 악화인자: 눕거나 앞으로 구부리는 경우
- 완화인자: 제산제나 우유를 마신 경우
기전
- 미란성 식도염이 있는 경우: 역류된 위내용물이 손상된 식도 점막에 접촉하면서 점막의 통각수용체(nociceptor)를 자극
- 비미란성 식도염의 경우: 내장 과민성(esophageal visceral hypersensitivity), 식도 수축의 지속(sustained esophageal contraction), 비정상적 조직 저항성(abnormal tissue resistance)
※ 환자들이 흉부작열감을 표현하는 언어: 가슴앓이, 가슴쓰림
역류 증상
- 위액이나 위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현상
- 내용물에 따라 짠맛, 신맛 또는 쓴맛을 호소한다.
- 대개 다량의 음식을 먹은 뒤 또는 누운 자세에서 많이 일어난다.
- 되새김(rumination): 식후 수분에서 한 시간 사이에 복근의 수축이나 위 원위부의 운동 이상에 기인되는 현상
비전형적인 식도 증상 및 징후: 흉부작열감과 역류 증상 이외의 식도 증상
비심인성 흉통(noncardiac chest pain)
- 협심증과 유사한 흉골하 통증이 반복되지만, 심장에 기인한 경우가 아닌 경우
- 비심인성 흉통을 유발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원인 질환 중 위식도역류질환이 가장 흔함
임상양상: 식도 외 증상
위식도역류질환의 식도 외 증상
이비인후과 증상 | 폐(호흡기) 증상 | 기타 증상 |
|
|
|
참고자료
- Vakil N, van Zanten SV, Kahrilas P, Dent J, Jones R; Global Consensus Group. The Montreal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 global evidence-based consensus. Am J Gastroenterol 2006;101:1900-1920; quiz 1943.
- 이봉은, 김광하. 위식도역류질환의 진단: 식도 및 식도 외 증상들. 대한내과학회지 2010;78(2):145–54.
- Kahrilas PJ, Shaheen NJ, Vaezi MF.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Institute technical review on the manage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astroenterology 2008;135(4):1392–1413, 1413.e1–5.
- Johnson DA, Fennerty MB. Heartburn secerity underestimates erosive esophagitis severity in elderly patients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astroenterology 126:660-664, 2004
- Johnson DA, Winters C, Spurling TJ, Chobanian SJ, Cattau EL Jr. Esophageal acid sensitivity in Barrett’s esophagus. J Clin Gastroenterol 9:23-27, 1987
- Barlow WJ, Orlando RC. The pathogenesis of heartburn in nonerosive reflux disease: a unifying hypothesis. Gastroenterology 128:771-778,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