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원칙
진단적 접근
![]()
|
국내권고안(2012)
양성자펌프억제제 검사(PPI test) |
|
내시경 검사 |
|
식도역류검사(reflux monitoring) |
|
식도내압검사(esophageal manometry) |
|
양성자펌프억제제 검사(PPI test)
임상증상에 따른 진단적 유용성
전형적 증상이 있는 경우 |
|
비심인성 가슴통증이 있는 경우 |
|
식도외 증상이 있는 경우 |
|
내시경 검사
- 국내에서 위식도역류질환 의심증세로 내원한 환자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점의 하나는 내시경 검사의 필요성을 정하는 것.
일반적으로 내시경검사를 먼저 시행하여야 하는 경우
※ 바렛식도를 진단하고 치료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도 내시경 검사가 유용 |
우리나라의 경우
|
- 위식도역류질환이 의심되면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소수의 예외를 두는 것이 바람직
※ reflux esophagitis(RE)의 내시경 분류: Los Angeles (LA) 분류
- 1994년 세계소화기병학회에서 제안된 내시경적 분류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분류체계
- 미란과 궤양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인 점막결손의 길이와 원주방향의 크기를 기준으로 분류
Los Angeles Classification of Endoscopic Grades of Esophagitis
Grade | Endoscopic Description |
A | One or more mucosal break <5 mm that does not extend between the tops of two mucosal folds |
B | One or more mucosal break ≥5 mm that does not extend between the tops of two mucosal folds |
C | One or more mucosal break that is continuous between the tops of two or more mucosal folds but that involves <75% of the circumference |
D | One or more mucosal break that involves ≥75% of the esophageal circumference |
식도역류검사(reflux monitoring)
- 종류: 보행성식도산도검사, 임피던스 산도검사
- 임상적 유용성
- 위산억제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전형적 증상, 비심인성 흉통, 식도외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증상과 위산억제치료의 적절성을 평가
- 항역류수술 전후의 평가를 위해 사용
역류 모니터링 검사가 도움이 되는 경우
전형적 증상의 경우 |
|
비심인성 가슴통증의 경우 |
|
식도외 증상의 경우 |
|
기타 |
|
검사방법
- 역류검사 시행 전 PPI 지속 사용(ACG 가이드라인)
- 전문가 의견에 근거하여 검사 전 GERD 가능성(임상양상, 열공허니아 여부, 경험적 PPI 치료에 대한 반응)을 고려하여 결정할 것
- 검사 전 GERD의 가능성이 낮고 약물 중단 후 시행한 역류검사에서 음성이라면 GERD를 배제할 수 있다.
- 검사 전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약물치료를 지속하면서 임피던스 산도검사를 시행 → 충분한 위산분비 억제가 이루어지는지 평가할 수 있어 약물치료 효과나 약물 순응도 평가 가능
- 검사방법: ACG guideline
- PPI를 복용하면서 식도산도검사를 시행할 것을 권고
- Bravo 산도검사: 처음은 PPI를 복용하지 않고 검사를 시행, 곧이어 PPI를 복용하면서 검사함으로써 한번에 GERD의 진단과 PPI에 대한 반응을 알 수 있음
식도내압검사(esophageal manometry)
- 선형으로 배열된 카테터의 압력 센서를 통해 식도 및 LES 압력 세기를 측정하는 검사법
- 고해상도 식도내압검사(high-resolution manometry, HRM): 고식적 식도내압검사에 비해 전체 식도의 압력을 한번에 가시화할 수 있고 식도조임근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더 많은 정보에 대한 용이한 해석 가능
참고자료
- Katz PO, Gerson LB, Vela MF.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m J Gastroenterol 2013;108:308-328
- Kim TS, Park SC, Lee SJ. Nonerosive Reflux Disease. Korean J Med 2015;88:27-34
- Jung H-K, Hong SJ, Jo Y, et al. Updated Guidelines 2012 for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2;60(4):195.
- Cho YK, Kim GH, Kim JH, et al. Diagnosis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 Systematic Review.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0;55(5):279.
- 이준행. 위식도역류질환의 내과적 치료:초기치료와 유지요법을 어떻게 할 것인가. 대한소화기학회지 2010;55(ssppl 4):26–30.
- Kim J-H, Kim BJ, Kim SW, et al. Current Issues on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4;64(3):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