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성 궤양(Peptic ulcer)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목차

위와 십이지장의 점막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물질들(산, pepsin, bile acids, pancreatic enzymes, drugs, infection)에 지속적으로 손상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그와 동시에 점막을 유지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전들이 존재하여 점막을 보호하고, 복구합니다. 이 균형에 문제가 생길 때, PUD(Peptic Ulcer Disease)가 발생합니다.

 

위의 구조(해부학)

이미지

 

위샘(Gastric glands) 분포

  • 위의 상피세포는 현미경상의 gastric pits로 이루어진 rugae로 구성되고, 4~5개의 고도로 분화된 세포가 있다.        

 

Oxyntic gland area

  • 분문부(Cardia), 위저부(Fundus), 체부(Body)로 구성되어 있다.
  • Surface epithelial cell: 점액, bicarbonate 분비
  • Parietal cell(= Oxyntic cell): 위산(proton pump인 H+,K+-ATPase에 의한 능동수송으로 분비)과 IF(Intrinsic Factor) 분비.
  • Chief cell: Pepsinogen 분비(위산에 의해 Pepsin으로 활성화)

Pyloric gland area

  • 전정부(antrum), 유문부(pylorus)로 구성
  • Gastrin cell(G-cell): gastrin 생산 (위의 motility 항진과 위산분비 자극의 역할)
  • D cell: somatostatin 생산 (위산 분비 억제)




위의 분비기능(Gastric secretion)(위의 산성 환경: 공격인자)

위선(분포세율 %)

위선구성세포

분비 물질

분문부 위선( < 5%)

점액 세포

점액, 펩시노겐 II

산분비부 위선(75 %)

 


 


 

벽세포(산분비세포)

산, 내인자

주세포

펩시노겐 I/II

점액 세포

점액, 펩시노겐 I/II

장크롬화성 세포

세로토닌

전정부 위선 (20-25%)

점액세포

점액, 펩시노겐 I/II

G세포

가스트린

D세포

소마토스타틴

장크롬화성 세포

세로토닌

 


위산분비와 연관된 세포: 4가지 세포

위산분비에 관련된 세포

주요 세포

분포 부위

분비물질

주세포(chief cell)

|Body, fundus

Pepsinogen

벽세포(parietal cell)

Body, fundus

위산, 위내인자(intrinsic factor)|

G cell

Antrum

Gastrin

Enterochromaffin-like(ECL) cell

corpus/fundus

Histamine

Cf. 표면점액세포(surface mucous cell, Goblet cell): 점액(mucus), 중탄산(bicarbonate) → 점막방어(mucosal defense)의 1선을 담당한다.

 

위산분비의 조절

위산분비조절에 관여하는 인자

위산분비 자극 인자

위산 분비 억제인자

  • Gastrin
  • Acetylcholine: Vagus nerve(부교감신경 자극)
  • Histamine
  • 음식 섭취
  • Coffee(카페인 유무와 상관 없음), 맥주, 백포도주, Ca(IV)-(gastrin 분비에 의해)
  • 위(십이지장) 내의 acid(feed back mechanism)
  • Somatostatin
  • Secretin
  • PG, GIP, VIP, EGF
  • Hyperglycemia
  • 항콜린제

 

  • 위산분비의 주된 자극인자: (1) histamine (2) Gastrin (3) Ach
  • 위산분비의 주된 억제인자: Somatostain

 

위산분비 조절기전: 위산분비 자극의 조절

  • H+ 이온의 발생은 3가지 경로(pathways)를 통해서 매개된다.
  1. 신경내분비 경로(Neurocrine pathway) 
  2. 주변분비 경로(Paracrine pathway) 
  3. 내분비 경로(endocrine pathway)

신경내분비, 주변분비, 내분비 경로 사이의 상호작용이 H+ 이온발생을 촉진시키거나 억제한다.

 

 

 

신경내분비 경로(Neurocrine pathway)

주변분비 경로(Paracrine pathway)

내분비 경로(endocrine pathway)

전달물질

  • 신경내분비 전달물질(neurocrine transmitter): 아세틸콜린
  • 주변분비 전달물질(paracrine transmitter): 히스타민(histamine)
  • 내분비 전달물질(endocrine transmitter): 가스트린(Gastrin)

작용기전

  • vagal postganglionic neurons에 의해 아세틸콜린을 방출한다.
  • 벽세포(parietal cell)에 있는

muscarinic M3 수용체 직접 자극 → H+ 이온 발생

 

  • 벽세포에 있는 H2 수용체에 결합 → Adenylate cyclase 활성화 → cAMP↑ → H+ 이온
  • 위산분비에 있어 히스타민을 통한 분비가 주된 경로
  • antral G cells로부터 가스트린 분비→ 직, 간접적인 H+ 이온 발생
  • 간접적 작용: 위체부/위기저부에 있는 장크롬친화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분비를 매개로 작용

① 가스트린은 주로 장크롬친화세포(enterochromaffin-like cells, ECL cells)로부터의 히스타민 방출을 통하여 위산분비를 촉진하기 때문. 이런 이유로 장크롬친화세포는 종종 위산분비과정에서 조절세포('controller' cells)로 불린다.

 

 위산분비 조절기전: 위산분비억제

  • 음성되먹임기전을 통해 가스트린방출과 위산분비가 정상수준으로 회복된다.  

→ 이런 자동조절기전은 식후 위산과다분비를 방지한다.

 

음성되먹임 과정(Negative feedback loop)
  • 가스트린(식후 방출) → 위산분비 자극 → 내강 pH(Intraluminal pH) 감소 → 전정부 D세포(antral D cells)로부터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의 분비 자극
  • 소마토스타틴은 다음과 같은 기전을 통해 산분비를 억제한다. 
    1. 주변분비(Paracrine) 기전을 통하여 전정부 G세포로부터 가스트린 방출 억제
    2. 벽세포의 산분비의 직접적인 억제
    3. 장크롬친화세포로부터 히스타민 방출 억제

 



위/십이지장점막의 방어기전

이미지❶ 점액과 중탄산염으로 이루어진 고정층

❷ 표면 상피세포: 점액, 중탄산염을 분비하고 프로스타글란딘, 열충격단백질(heat shock protein), trefoil 펩타이드, 항미생물cathelicidin을 생성함

❸ 세포재생: 점막 간세포(progenitor cells) 로부터의 세포 재생은 EGF 수용체를 통해 성장인자(예: TGF-a , IGF-1)의 자극을 받음

❹ 알칼리성 "흐름"

❺ 미세순환: 모세혈관을 통한 손상으로부터 내피세포를 보호하고 혈소판과 백혈구의 응집을 억제하는 프로스타글란딘, 산화질소(nitric oxide), 황화수소(hydrogen sulfide)의 지속적인 생성을 통해 유지

❻ 감각신경: 위 점막과 점막하 혈관은 일차 감각 뉴런과 점막 기저층에 밀집한 신경층을 이루는 신경에 의해 지배됨. 신경층의 신경 섬유는 모세혈관과 함께 점막고유층으로 들어가 표면상피세포의 직하방까지 분포함

❼ 프로스타글란딘(PGE2, PGI2)은 산화질소와 함께 작용하여 모든 점막 방어 기전을 유지, 강화함

 

 

소화성 궤양의 병태생리

  • 소화성 궤양의 가장 흔한 원인은 Helicobacter  pylori 감염과 비스테로이드소염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의 복용이라고 알려져 있다.


원인개념의 변화

과거의 원인개념

 →

현재의 원인 개념

“no acid, no ulcer"


‘no Helicobacter, no drug, no ulcer’

위산과 펩신의 공격인자가 방어인자보다 우월할 때 소화성궤양이 발생한다는 논리

 

Big 2: 헬리코박터 & 비스테로이드소염제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317장
  • Wolfe MM, Sachs G. Acid suppression: optimizing therapy for gastroduodenal ulcer healing,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nd stress-related erosive syndrome. Gastroenterology-Orlando 2000;118(2):9. 
  • Malfertheiner P, Chan FKL, McColl KEL. Peptic ulcer disease. Lancet 2009;374(9699):1449–61. 
  • Schubert ML, Peura DA. Control of gastric acid secretion in health and disease. Gastroenterology 2008;134(7):1842–60. 
  • Kim JS, Kim B-W. Epidemiology of Peptic Ulcer Disease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licobacter and Upper Gastrointestinal Research 2014;14(1):1.
  • Kim SK, Kim JG, Shin SK, et al. Guidelines of Diagnosis for Peptic Ulcer Disease. Korean J Gastroenterol  2009;54:279-284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