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치료 대상
- 1998년 이후 지금까지 나온 증거를 모아 헬리코박터 감염의 치료 대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헬리코박터 감염의 제균치료 적응증
Definite indication |
|
Recommended indication |
|
Possible indication |
|
Low grade MALToma는 Marginal zone B cell lymphoma (MALT type)로 개명되었다.
권고안
대상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의 필요성 혹은 효과 |
위축성 위염/장상피 화생 |
|
위암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
|
검사되지 않은 기능성 소화불량증 |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양성인 기능성 소화불량증 |
|
위식도역류질환 |
|
소화성 궤양의 병력이 있는 환자 |
|
장기간 비스테로이드소염제를 투여하는 환자 |
|
만성 특발성 혈소판 감소증 |
|
치료방법
1차 치료제
권고안
다음과 같은 조합으로 7일에서 14일간 투여 | Clarithromycin 내성이 의심되는 경우: bismuth를 기본으로 한 사제요법 시행(7일에서 14일간 투여) |
|
|
2차 치료제: 1차 치료에 실패한 경우
일차 치료로서 clarithromycin을 기본으로 한 삼제요법에 실패한 경우 | 일차 치료로서 bismuth를 기본으로 한 사제요법에 실패한 경우 |
↓ | ↓ |
|
|
3차 치료제
- 두 번의 치료에도 불구하고 제균이 되지 않은 경우
아시아-태평양 가이드라인 | CYP2C19 다형성①을 고려하여 약제를 선택 |
Maastricht IV/Florence 가이드라인 | 항생제 내성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약제 선택 |
국내 가이드라인(2013) | 2차 제균치료에 실패하였을 때 3차 제균치료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고 있다. |
① CYP2C19 다형성 검사는 현재의 국내 진료 현장에서 적용하기 어렵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생제 내성률은 보고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여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치료 후 추적 검사
권고안
|
참고자료
- Kim N, Kim JJ, Choe YH, et al. Diagnosis and Treatment Guidelines for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9;54(5):269.
- Kim SG, Jung H-K, Lee HL,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Korea, 2013 Revised Edition.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3;62(1):3.
- Tae CH, Shim KN. Current Strategies for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 Korea.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15;15:222-224
- Kang BK, Park SM, Kim BW. New Therapeutic Strategie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Korean J Gastroenterol 2014;63:146-150
- Kim KB, Kim YS. Recent Trends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Therapy: Focusing on First Line Treatment.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14;14:237-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