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즙 역류성 위병증(bile reflux gastropathy)/알칼리 역류 식도염(alkali reflux esophagitis)
- 대부분 subtotal gastrectomy 후 + Billroth II anastomosis(GastroJejunostomy)를 받은 경우 발생.
증상
- 복통, 조기 포만감, 구역/구토
진단(reflux 확인)
- 99mTc-HIDA scan: 역류 증명
- 알칼리 투여 시험(alkaline challenge test): 0.1N NaOH를 위장 내로 투여 후 증상 재현 확인
치료
- 내과적 치료: Prokinetic agents
- 수술적 치료(증증의 경우)
- 외과적 우회술: 긴(50-60cm) Roux limb을 만든 후 Roux-en-Y 위공장문합술 시행
- 췌담도액을 남아 있는 위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수입각 증후군(Afferent loop syndrome) / 수출각 증후군(Efferent loop syndrome)
Afferent loop syndrome과 efferent loop syndromes은 gastrojejunostomy with Billroth II reconstruction 이후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B-II anastomosis에서 생길 수 있음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이것은 loops의 뒤틀림, 해부학적 좁아짐, 유착, 드물게 궤양에 의한 기계적 폐쇄와 관련이 있습니다.
Afferent loop syndrome | efferent loop syndromes |
| |
Afferent and efferent loops
Afferent loop은 gastrojejunal anastomosis에서 윗 부분인 duodenojejunal loop을 지칭합니다.
| 수입각 증후군(Afferent loop syndrome) | 수출각 증후군(Efferent loop syndrome) |
개요 |
|
|
임상양상 |
|
|
진단 |
|
|
치료 |
|
|
- Afferent loop syndrome에서의 수술
- Gastrojejunostomy의 수술적 교정 또는 Roux-en-Y anastomosis로의 변환
- afferent loop과 efferent loop 사이에 Braun's enteroenterostomy를 하는 것이 afferent loop을 감압시킬 수 있다.
| Afferent loop syndrome | vs. | Alkaline reflux gastritis |
공통점 | 발생: Billroth II op. 이후 임상양상: 식후 통증, 담즙성 구토 치료: Roux-en-Y로 변경 |
|
|
임상양상 | 구토 후 증상 호전(기계적 폐쇄) |
| 구토 후 통증지속(기계적 폐쇄 x) |
진단 | 복부 CT |
| 내시경 조직 검사 |
치료 | 수술 우선 |
| 약물 우선!(cholestyramine) → 수술 |
Dumping syndrome
- 미주신경절단술과 배액술(특히 Billroth 시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혈관운동성 및 위장관의 징후와 증상을 의미
- 임상양상에 따라 조기 덤핑증후군(Early dumping syndrome)과 후기 덤핑증후군(Late dumping syndrome)으로 분류
| 조기 덤핑증후군(Early dumping syndrome) | 후기 덤핑증후군(Late dumping syndrome) |
기전 |
|
|
임상 양상 | 소화관 증상 + 심혈관 증상
| Hypoglycemia에 의한 Vasomotor symptoms
|
치료 |
|
|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317장 (위 절제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317장. Peptic Ulcer Disease and Related Disorders의 "Surgery-Related Complications"에 기술되어 있다.)
- Sabiston Textbook of Surgery, Twentieth Edition(2017). 48장
- Park KS. Acute and chronic gastrointestinal disorders after gastric surgery: Organic vs. functional. Korean J Med 78:170-176,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