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소화불량증


목차

개요

  • 기능성 소화불량증이란?: 소화성궤양, 위장관 악성 종양, 위식도역류질환, 췌담도 질환 등 그 인과관계가 뚜렷한 기질적 질환이 없으면서 소화불량증을 유발하는 경우
  • 용어(동의어): 비궤양성 소화불량증(non-ulcer dyspepsia), essential dyspepsia, idiopathic dyspepsia

 

 

 

진단

  • 소화불량증을 유발할 수 있는 기질적 질환을 배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
  • 증상만으로는 기질적 질환의 유무를 감별할 수 없다. 
  •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초기 접근방법으로 내시경검사가 헬리코박터 검사 후 제균치료보다 효과적

 

진단기준: Rome criteria

  • 현재 사용중인 로마 IV 기준은 명치 통증(epigastric pain) 혹은 명치 화끈거림(epigastric burning), 조기 만복감(early satiety), 식후 포만감(postprandial fullness)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이 일상생활에 불편을 줄 정도이고 지난 6개월 전에 시작되어 최근 3개월 이내 증상이 있는 경우로 정의한다. 

Rome III(2006년)

Rome IV(2016년)

Must include

  1. One or more of :
    1. Bothersome postprandial fullness
    2. Early satiation
    3. Epigastric pain
    4. Epigastric burning

AND

2. No evidence of structural disease (including at upper endoscopy) that is likely to explain the symptoms

  1.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 
    1. Bothersome postprandial fullness
    2. Bothersome early satiation
    3. Bothersome epigastric pain
    4. Bothersome epigastric burning 

AND

2. No evidence of structural disease (including at upper endoscopy) that is likely to explain the symptoms

  • Criteria fulfilled for the last 3 months with symptom onset at least 6 months before diagnosis
  • Must fulfill criteria for PDS (Post-prandial distress syndrome) and/or EPS (Epigastric pain syndrome)
  • Criteria fulfilled for the last 3 months with symptom onset at least 6 months before diagnosis


 


 

치료

  • 기질적 질환이 배제되면 일차적으로 식이, 생활습관 요인 교정

↓ 호전이 없는 경우

  • 약물요법 시도: 산 억제제, 위장관 운동 촉진제, 항우울제 등
    • PDS의 경우: 위장관 운동 촉진제 1st choice
    • EPS의 경우: 산 분비 억제제 1st choice
    • 필요한 경우 두 약제의 동시 투여, 혹은 정신과 약제를 조심스럽게 시도

 

후보 약물군

약물종류

산분비억제제

  • PPI: omeprazole, lansoprazole, rabeprazole, pantoprazole, esomeprazole, ilaprazole
  • H2RA: cimetidine, ranitidine, famotidine, nizatidine, roxatidine, lafutidine
  • P-CAB (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reversible PPI): revaprazan, vonoprazan(New), tegoprazan(New)

 제산제

  • Aluminum compound: Aluminum Phosphate, Almagate, Aluminum hydroxide, Aluminum Mg silicate
  • Mg compound: MgO, Diomagnite, hydrotalcite
  • Ca compound: CaCO3

방어인자증강제(점막보호제)

  • Sucralfate, Colloidal bismuth subcitrate (De-Nol), Bismuth subsalicylate(BSS, Pepto-Bistol)

방어인자증강제(기타 약물)

  • 프로스타글란딘 E 유사체(Misoprostol), Sulglycotid, Troxipide, Teprenone, Rebamipide

위장관운동촉진제(prokinetics)

  1. Dopamine receptor antagonists
    1. Central D2 receptor antagonist: Levosulpiride, metoclopramide
    2. peripheral D2 receptor anagonist: domperidone, itopride
  2. Serotonergic agents
    1. 5-HT4 receptor agonist - 1세대: cisapride, Tegaserod, Renzapride - 2세대: mosapride
    2. 5-HT1 receptor agonist: Sumatriptan, buspirone
  3. Motilin/ghrelin receptor agonist
    1. Motilin receptor agonist: erythromycin, motilides
    2. Ghrelin receptor agonist
  4. Cholecystokinin-1(CCK-1) receptor antagonist: Loxiglumide, Dexloxiglmide

위저부 이완제

  1. 5-HT1A 수용체 작용제: Sumatriptan, buspirone, tandospirone
  2. 5-HT4 receptor agonist: cisapride, tegaserod
  3. Acotiamide(New)

내장 과감각 억제제

  1. 5-HT3 수용체길항제: granisetron
  2. Cholecystokinin-1(CCK-1) receptor antagonist: Loxiglumide, Dexloxiglmide
  3. 소마토스타틴 유사제: octreotide
  4. κ-오피오이드 수용체 작용제: fedotozine, asimadoline
  5. 뉴로키닌 수용체 길항제

정신과 약제(Psychoactive medications)

  • TCA: amitriptyline
  • SSRIs: escitalopram
  • Serotonin 5-HT1A receptor agonist: Buspirone①
  • 기타: Mirtazapine, Benzodiazepine

생약

  • 베나치오큐액®, Rikkunshito(New)

① 기전이 겹치는 경우는 각각 포함시켜 소개하였다.

(New):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신약이다.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