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 기능성 소화불량증이란?: 소화성궤양, 위장관 악성 종양, 위식도역류질환, 췌담도 질환 등 그 인과관계가 뚜렷한 기질적 질환이 없으면서 소화불량증을 유발하는 경우
- 용어(동의어): 비궤양성 소화불량증(non-ulcer dyspepsia), essential dyspepsia, idiopathic dyspepsia
진단
- 소화불량증을 유발할 수 있는 기질적 질환을 배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
- 증상만으로는 기질적 질환의 유무를 감별할 수 없다.
-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초기 접근방법으로 내시경검사가 헬리코박터 검사 후 제균치료보다 효과적
진단기준: Rome criteria
- 현재 사용중인 로마 IV 기준은 명치 통증(epigastric pain) 혹은 명치 화끈거림(epigastric burning), 조기 만복감(early satiety), 식후 포만감(postprandial fullness)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이 일상생활에 불편을 줄 정도이고 지난 6개월 전에 시작되어 최근 3개월 이내 증상이 있는 경우로 정의한다.
Rome III(2006년) | Rome IV(2016년) |
Must include
AND 2. No evidence of structural disease (including at upper endoscopy) that is likely to explain the symptoms |
AND 2. No evidence of structural disease (including at upper endoscopy) that is likely to explain the symptoms |
|
|
치료
|
↓ 호전이 없는 경우 |
|
후보 약물군 | 약물종류 |
산분비억제제 |
|
제산제 |
|
방어인자증강제(점막보호제) |
|
방어인자증강제(기타 약물) |
|
위장관운동촉진제(prokinetics) |
|
위저부 이완제 |
|
내장 과감각 억제제 |
|
정신과 약제(Psychoactive medications) |
|
생약 |
|
① 기전이 겹치는 경우는 각각 포함시켜 소개하였다.
(New):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신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