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소의 주된 흡수 부위와 소화 과정
- 흡수질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요 영양소의 소화 및 흡수에 대한 기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탄수화물(Carbohydrate)의 소화와 흡수
- Starch, Disaccharide, Glucose의 형태로 존재한다.
- Monosaccharide로 대사되어 소장에서 흡수된다.
- 임상적으로는 Lactose malabsorption이 문제가 된다. (Lactose → Glucose + Galactose)
- Primary lactase deficiency: Lactase의 기능 장애
- Secondary lactase deficiency: 소장의 질환으로 인한 효소 기능의 저하
- 임상증상: 설사, 복통 등
단백질(Protein)의 소화와 흡수
- Pepsin(Gastric chief cell에서 분비되는 pepsinogen이 위산에 의해서 활성화), Trypsin(Pancreatic Enzyme)에 의한 Proteolysis → 소장 내에서 흡수
지방(lipid)의 소화와 흡수
- 다른 영양소와는 다른 방식으로 소화 및 흡수가 이루어진다. 크게 3가지의 과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이라도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지방변(Steatorrhea) 발생 가능
- 장 내 소화 과정(Intraluminal, digestive phase-lipolysis, micelle formation)
- 점막흡수 과정(Mucosal, absorptive phase)
- 흡수 후 운반 과정(Delivery, postabsorptive phase)
- 따라서 지방변이 있는 환자는 지방의 소화-흡수 과정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해야 하며 그에 맞는 치료를 할 수 있다.
흡수장애에서는 지방변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당이나 아미노산에 비해 지방은 소화, 흡수가 복잡하여 장애를 받기가 쉽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흡수장애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방의 소화, 흡수에 대해 잘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1단계: 소화 과정(digestive phase): 두 과정으로 구성
- 지방분해(lypolysis)
- 결정 형성(micelle formation)
지방분해: 췌장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
|
↓ |
|
결정(미포) 형성 |
|
2단계: 점막 흡수 과정(absorptive phase)
- 지방 흡수 과정은 이동과 재에스테르화로 구성된다.
- 수동적 확산이 주 기전일 것으로 생각되지만 운반체가 관여하는 과정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이동된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여러 가지 효소에 의해 중성지방으로 재에스테르화된다.
3단계: 흡수 후 운반 과정(post-absorptive phase)
- 흡수된 중성지방이 장 상피 세포에서 림프관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chylomicron의 형태를 이루어야 한다.
- Triglyceride는 세포내에서 단백질, 인지질(phospholipid), cholesterol과 합쳐져서 chylomicron이라는 lipoprotein이 된다.
- 지방은 chylomicron 상태로 림프관으로 흘러 들어가 가슴림프관(thoracic duct)을 거쳐 혈류에 합류한다
- 킬로미크론(chylomicron): 베타- 지단백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터 및 인지질을 포함하며 문맥이 아닌 림프관으로 흡수된다.
- 흡수 후 운반 과정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매우 드물다.
|
담즙산에 대한 고찰
담즙산의 생성
- 담즙산은 음식물에 존재하지 않고 콜레스테롤 이화작용을 담당하는 여러 효소에 의해 간에서 합성된다.
- 담즙산은 일차 담즙산과 이차 담즙산으로 나뉜다.
일차 담즙산 | 이차 담즙산 |
|
|
- 대략 하루에 500 mg의 담즙산이 간에서 생성되며 타우린이나 글리신에 포합되어 담즙의 형태로 십이지장으로 분비된다.
담즙산의 주요 기능
- 담즙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
- 담낭에서 콜레스테롤 및 인지질과 결합하여 혼합형 결정 형성
- 근위 소장에서 지방의 소화, 흡수를 돕는 역할
담즙산의 운명
- 담즙산은 일부가 공장, 회장, 대장에서 수동적으로 흡수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회장에서 소디움에 의존하며 흡수된다
- 포합형 담즙산이 대장에 도달하면 세균 효소에 의해 비포합형 담즙산으로 바뀌게 되어 비이온성 확산작용에 의해 빠르게 대장으로 흡수된다. 대장 세균 효소는 담즙을 이차성 담즙으로 바꾸는 작용도 한다.
담즙산의 창자간순환(enterohepatic circulaton)
- 포합담즙산(conjugated bile acid) 은 지방흡수의 역할을 다한 후, 95~98%가 돌창자 말단(terminal ileum) 에서 재흡수된다.
- 흡수된 담즙산은 간문맥을 통과하여 간으로 되돌아간다. → 창자간순환①
① 창자간 순환이 차단되면 새로 항정상태가 유지되기 전까지 콜레스테롤이 10% 감소한다.
- 장에서 흡수된 담즙산은 문맥을 통해 간으로 운반되어 재분비된다 .
- 담즙산의 합성은 콜레스테롤 분해를 담당하는 7α-hydroxyl ase에 의해 조절된다.
- 장간 순환되는 담즙산의 양이 감소하면 담즙산의 합성과 콜레스테롤의 분해가 증가하여 총 담즙산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담즙산 합성은 평소의 2 .5배 이상 증가하지는 않는다.
- 총 담즙산의 양은 약 4g으로 식사 중 평균 2 회 장간 순환하며 24시간동안에는 6~8회 장간순환이 이루어진다. 흡수되는 담즙산의 양은 비교적 소량이며 대부분은 대변을 통해 배설된다.
- 장간 순환에 어느 한 단계라도 이상이 생기면 십이지장내 포합 담즙산의 농도가 떨어져 지방변이 생긴다①.
① 지방변이 있는 경우에는 담즙산의 합성 및 배설 과정, 장내 상태 및 재흡수에 이상이 있음을 의심할 수 있다.
bile acid 생성 및 enterohepatic circulation |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 |||||||||||||||||||
합성 과정 |
| |||||||||||||||||||
▼ |
| |||||||||||||||||||
분비 과정 |
| |||||||||||||||||||
▼ |
| |||||||||||||||||||
conjugated bild acid 유지 장애 |
| |||||||||||||||||||
▼ |
| |||||||||||||||||||
재흡수 장애 |
① cholestyramine: bile acid와 결합하는 이온교환 수지. 경구투여로 흡수되지 않고 장관 내에서 bile acid를 흡착하여 그대로 대변으로 배출 |
흡수질환(장애)란?
- 흡수질환(장애)은 여러 가지 원인과 다양한 임상양상으로 구성된 광범위한 질환군이다.
- 연관된 임상증상이 대부분 한 가지 이상의 음식물의 장관흡수 기능저하와 관련되며 흡수장애(malabsorption) 로 불리기도 한다①.
① 흡수장애라는 용어는 특정 병태생리학적 질환을 설명하는 데 적당하지 않으며, 기저질환의 원인을 설명할 수 없으므로 최종 진단명으로는 부적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