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임상양상
주요 증상
장외 임상양상(Extraintestinal manifestation)
영양/대사 합병증
근골격계 증상(m/c)
간담도계 증상
피부증상
눈 증상
심폐 증상
기타
합병증
궤양성 대장염
독성 거대결장(toxic megacolon)
정의
증상
유발인자
진단
치료
기타 합병증
크론병
누공/농양
장폐쇄
대장암
염증성 장질환에서의 암(대장암) 발생
임상양상
주요 증상
| 궤양성 대장염 | 크론병 |
직장출혈 |
|
|
설사 |
|
|
복통 |
|
|
발열 |
|
|
복부 종괴 |
|
|
궤양 대장염 | ↔︎ | 크론병 |
혈변, 설사, 대변절박증 |
| 복통, 설사, 체중 감소 |
장외 임상양상(Extraintestinal manifestation)
영양/대사 합병증
- 체중감소, 전해질 이상, Hypoalbuminemia, Anemia(IDA)
- CD에서 Ileal disease로 인한 흡수장애
근골격계 증상(m/c)
- Peripheral arthritis (20%, Crohn’s disease에서 흔함)
- Ankylosing spondylitis (10%, Crohn’s disease에서 흔함)
- Sacroiliitis, Hypertrophic osteoarthropahty
- Osteoarthropathy & 골밀도의 감소: Disease acitivity에 따라 골절 위험도 증가
간담도계 증상
- Abnormal LFT, Hepatosteatosis, Cirrhosis
- Gallstone (Crohn’s disease에 더 흔하며, ileal region 병변 시에 10~35% 발생)
- PSC(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 Colon cancer의 발생 가능성 증가 요인)
피부증상
- Erythema nodosum
- Pyoderma gangrenosum
- Psoriasis
눈 증상
- Uveitis, conjunctivitis, episcleritis
심폐 증상
- Deep vein thrombosis, Pulmonary embolism, Cerebrovascular accident(CVA)
기타
- Amyloidosis
합병증
궤양성 대장염
독성 거대결장(toxic megacolon)
정의
- 중증 병증을 보이는 환자 중 우측 또는 횡행 결장의 지름이 6cm 이상이고 팽기(haustration) 소실이 있는 경우
증상
- 갑작스러운 발열, 심한 복통, 설사, 탈수, 의식저하가 발생
유발인자
- Hypomotility agents
- Hypokalemia
- Bowel preparation
- Severe Ulcerative colitis
- 치료제의 불규칙한 사용
- CMV infection, 기타 세균감염(Shigella, Salmonella, Clostridium)
진단
- 염증성 대장 병변의 경과 중 패혈증, 탈수, 빈맥, 발열, 빈혈, 복부 팽만 및 통증, 확장된 대장 및 장마비 등이 관찰되면 의심해야 한다.
- Radiologic finding +Clinical symptom! → Colonic dilatation (6cm 이상), Haustra 소실, wall에 air shadowing
치료
- Medical emergency!! → Intensive medical therapy:
- NPO①, IV fluid, Electrolyte, 광범위 항생제 + IV Steroid
→ 72시간 내에 호전이 없는 경우(확장된 대장 음영, 장운동 마비나 독성 증상이 소실되지 않는 경우) 장천공, 대량출혈, 복막염, 농양형성 등의 합병증이 오기 쉬우므로 대장 전체를 절제해야 한다.
① 특히 opioid나 항콜린제 투여는 병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절대 금한다.
기타 합병증
- 천공
- 협착
- 대량출혈
크론병
크론병의 자연경과
누공/농양
- 갚은 궤양과 전층성 열창(fissure) 등에 의해 누공 및 농양이 흔히 나타난다.
장폐쇄
- 장폐쇄는 크론병의 흔한 합병증으로서 수술의 가장 흔한 적응증 중 하나이다.
- 장폐쇄의 원인: 활동성 염증 및 부종, 반흔성 변화, 유착 또는 농양 등에 의한 외인성 압박 등
대장암
-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 비해서는 대장암 발생의 위험도가 낮다①.
① 점막 병변의 범위가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염증성 장질환에서의 암(대장암) 발생
| 궤양성 대장염 | 크론병 |
위험인자 |
|
|
Surveillance |
|
|
① Duration과 Disease extent에 따른 Colon cancer 발생 위험: 8~10년 후 0.5~1.0%, 20년 이후 2.5%, 30년이후 7.6%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319장
- 김정룡. 소화기계 질환 3판(2011). P252-290
- Vavricka SR, Brun L, Ballabeni P, et al. Frequency and risk factors for extraintestinal manifestations in the Swiss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hort. Am J Gastroenterol 2011;106(1):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