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장 허혈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지식
- 위장관의 혈액공급
- Celiac axis: 위, 십이지장, 간담도, 비장, 췌장
- Superior mesenteric artery: 소장의 대부분 ~ 우측 대장
- Inferior mesenteric artery: 횡행결장 ~ 직장
- 대장에서의 허혈의 호발 부위
- Splenic flexure
- Rectosigmoid colon
장허혈의 분류
- 다음과 같은 요소를 바탕으로 분류해볼 수 있다.
시간에 따른 분류①
- 급성, 만성
막힌 혈관에 따른 분류①
- 동맥성 허혈, 정맥성 허혈
① 급성의 경우 장손상의 위험이 높고 만성보다 더 자주 발생하며 정맥보다 동맥이 더 흔히 막힌다
폐쇄 여부(폐쇄 정도)에 따른 분류
- 폐쇄성 허혈, 비폐쇄성 허혈
병인(etiology), 폐쇄기전에 따른 분류
- 동맥 폐색성 창자간막부전증(acute occlusive mesenteric insufficiency, AOMI)
- 동맥 비폐색성 창자간막부전증(non-occlusive mesenteric insufficiency, NOMI)
- 창자간막정맥혈전증(mesenteric vein thrombosis, MVT)
Mesenteric Vascular Insufficiency(intestinal ischemia)의 분류를 이해해둘 필요가 있다. 여러 가지 분류 기준(onset, 막힌 혈관, 폐쇄 여부, 폐쇄기전)을 적용하게 되는데, 크게 다음과 같이 정리해두면 된다.
|
non-occlusive mesenteric ischemia vs. ischemic colitis: 두 질환 카테고리 모두 non-occlusive한 기전으로 발생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기 때문에 무슨 차이가 있는지 애매하게 느껴질 수가 있습니다.
"Ischemic colitis is a form of mesenteric ischemia limited to the colon"로 colitis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non-occlusive mesenteric ischemia 중에 colon에만 국한된 병변을 ischemia colitis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 주로 임상에서는 다음과 같은 2가지 경우로 알아두면 된다.
- 장간막허혈: 급성장간막허혈, 만성장간막허혈
- non-occlusive mesenteric ischemia(NOMI) = 허혈 대장염(ischemic colitis)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322장
- Florim S, Almeida A, Rocha D, Portugal P. Acute mesenteric ischaemia: a pictorial review. Insights Imaging 2018;9(5):67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