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치열이란?
- 배변 시 통증과 출혈을 동반하는 항문연에서 치상선에 이르는 항문관 부위의 열상
- 주로 항문의 정 후방에 위치하며 간혹 전방에 위치
특징
- 항문관의 뒤쪽 정중지점(post midline 6시방향 m/c)에 잘생긴다.
- 그외에 방향에서 생긴경우, 암 crohn’s dz, 결핵, STD를 의심한다.
- Triad: ① ulcer; ② hypertrophic papillae(fissure상방); ③ sentinel pile or tag(fissure하방)
- 시진으로 진단 가능
증상
- 항문 통증(Anal pain), 항문 출혈(Bleeding), 변비
진단
- 치열이 전, 후방에 위치하지 않거나 잘 낫지 않는 경우 크론병, 결핵, 매독, 백혈병, 암, HIV 감염과 같은 다른 질환을 의심할 것
- 비대항문유두(Hypertrophied anal papilla)
- 만성치열이 있는 환자에서 종종 발견되나 특별한 항문질환이 없는 사람에서도 발견된다.
- 해부학적으로 항문유두는 치상선 직상부에 위치하는 8~14개의 직장주 또는 모그가그니주(columns of Morgagni)라고 하는 종축 직장주름의 최하단부를 지칭. 이 부위에 염증, 허혈, 섬유화에 의해 비대항문유두 발생
- 내시경 관찰 시 마치 유경성 용종처럼 보이지만 항문경을 통해 관찰하면 기저부가 치상선에서 유래하고 전층이 피부로 덮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직장용종으로 오인하여 내시경으로 올가미 절제 등을 시도하면 감각신경이 분포하는 부위에서 발생한 병변이기 때문에 극심한 동통을 유발할 수 있다.
치료
비수술적 치료
- 급성기: 좌욕 및 식이섬유 복용
- 만성기: Botulinum toxin 내괄약근에 주입
- Nitroglycerin, Isosorbide-dinitrate도포
수술
- Partial lateral internal spincterotomy(부분가쪽속조임근 절개술) TOC
반복적인 항문외 탈출 등을 호소하는 경우, 국소마취하에 항문을 통한 외과적 절제를 시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