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장: 복부 탈장 및 기타 탈장


목차

복부 탈장(Ventral hernia)

  • 전복벽의 defect 결과로 생기며 해부학적 위치와 형태에 따라 epigastric, umbilical, incisional, hypogastric으로 나눈다.

 

Incisional hernia

  • 외과적 복부 수술 후 발생가능
  • 환자의 대부분은 복부 절개술의 병력 (+)
  • 비만이나 수술 후 창상 감염의 합병증으로 생기며, 감돈 가능성이 있으며 정복시 선택적 수술이 권장된다. 

 

배꼽 탈장(Umbilical hernia)

종류

선천 배꼽탈장 
  • 자궁 내에서 탯줄이 부착되었던 부위가 수축되면서 근섬유 조직으로 이루어진 제대륜이 형성되는데 이때 불완전하게 형성되거나 결함이 있으면 복강 내 구조물의 탈장이 일어난다.

 

소아 배꼽탈장
  • 드물다.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정복된다. 
  • 제대륜은 보통 80%에서 생후 3-4년 후 저절로 닫히게 되므로, 2세 이하 소아의 제대 탈장은 관찰할 수 있으나, 4세 이후의 소아에서 제대 탈장이 관찰되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 소아의 제대 탈장은 감돈이 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이미지


성인 배꼽탈장
  • 후천적 결함에 의해 발생, 여자에게서 흔함, 비만, 임신, 복수와 연관된다. 
  • 성인의 경우 감돈이 흔하다.

 

 

 

기타 탈장

Femoral hernia

  • 대퇴관(femoral canal)의 대퇴 혈관 근처에서 서혜부 인대 아래로 돌출되는 탈장. 해부학적인 차이로 인해 남성보다 여성에서 흔히 발생
  • 서혜부 탈장보다 빈도는 훨씬 적지만 감돈 및 교액의 발생은 더 흔하다. 
  • 임신과 관련하여 엉덩이 근육의 약화 및 주변 힘줄의 협소화 등에 의한 것으로 간주된다.

 

Spigelian Hernia

  • 배꼽 위 복직근(rectus muscle) 중앙의 백선을 뚫고 돌출되어 나온 탈장 
  • 복직근의 외측으로 반원상선을 통해 횡복근과 내복사근의 건막 사이로 돌출된 경우는 따로 외복벽(lateral ventral) 탈장이라 정의하기도 한다. 이 경우 종종 복벽 사이로 돌출되어 진단이 어렵다.

이미지

참고자료

  • 대한외과학회. 외과학 2판(2017). p1600, 1636-1651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