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의 조직학적 분류
- 위암은 병변의 침윤 깊이에 따라 조기 위암과 진행위암으로 나뉜다.
Japanese classification[JGCA (Japanese Gastric Cancer Association)]
조기위암과 진행위암 모두에 적용되는 Japanese classification을 우선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제1형부터 제4형까지는 Borrmann’s classification 과 유사
- 제0형은 위 점막 표면에 국한된 조기 위암.
- 제5형은 제0형부터 제4형까지의 분류에 속하지 않은 위암을 분류
gastric cancer의 macroscopic type(Japanese classification)
Type | Description |
Type 0 (superficial) | Typical of T1 tumors |
Type 1 (mass) | Polypoid tumors, sharply demarcated from the surrounding mucosa |
Type 2 (ulcerative) | Ulcerated tumors with raised margins surrounded by a thickened gastric wall with clear margins |
Type 3 (infiltrative ulcerative) | Ulcerated tumors with raised margins, surrounded by a thickened gastric wall without clear margins |
Type 4 (diffuse infiltrative) | Tumors without marked ulceration or raised margins, the gastric wall is thickened and indurated and the margin is unclear |
Type 5 (unclassifiable) | Tumors that cannot be classified into any of the above types |
조기 위암
정의
- 림프절의 전이여부와 상관없이 위 점막 및 점막 하에 국한된 암을 의미
분류
- Paris endoscopic classification(2003년 발표, 2005년 개정)
진행위암의 분류에 사용되는 Japanese classification의 제0형을 도입하여 표재성 병변에 관한 Paris endoscopic classification을 사용합니다.
- Paris classification: 동서양의 여러 전문의들이 함께 제안한 분류법으로 Japanese classification을 거의 수정없이 채택
- Japanese classification
- 조기위암의 대표적인 분류법: 50년 이상된 오래된 분류법(1962년 일본소화기내시경학회, 1963년 일본위암연구회).
- 내시경 소견에 기초한 endoscopic, gross classification
I 융기형 |
![]() ![]() | |
표면형 | IIa 표면융기형 |
![]() ![]() |
IIb 표면평탄형 |
![]() ![]() | |
IIc 표면함몰형(m/c) |
![]() ![]() | |
III 함몰형 |
![]() ![]() |
- 함몰형: Type IIIc + III
- 전체 조기위암의 약 70 - 80%
- 형태적으로 매우 다양. 순수한 III 형은 거의 관찰되지 않고 대부분 IIc형과 동반
- 양성궤양처럼 궤양의 축소, 치유 과정 발현 가능
조기위암(특히 함몰형 궤양)과 양성궤양과의 감별이 중요한데 감별에 대한 내용은 진단에서 다루었습니다.
진행위암
Borrmann’s classification①
- 육안적 분류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분류체계
- 제I형부터 제IV형까지 네 가지의 형태로 분류
① Borrmann 제 III형과 제 IV 형 병변을 가진 환자의 경우 Borrmann 제 I형이나 제 II형을 가진 환자에 비해 장막침윤, 복막파종, 미분화 조직형, stage IIIb‐IV 나 완치적 절제 불가 등의 경우가 더 흔하다.
제 I형: 융기형(fungating, polypoid type) | 주변과 명확하게 구분되는 용종성 병변의 형태 ![]() |
제 II형: 궤양-융기형(ulcerofungating type) | 용종성 또는 융기형 병변의 중심 부에 궤양이 동반되어 있는 형태 ![]() |
제 III형: 궤양-침윤형(ulceroinfiltrative type)(m/c) | 궤양성 병변과 함께 주변부의 침윤이 관찰되는 형태 ![]() |
제 IV형: 미만형(dffuse infiltrative, linitis plastica type) | 점막 하에 광범위하게 침윤된 linitis plastica의 형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