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력 및 신체검사
원격전이 소견이 중요합니다.
- Virchow's node(+): left supraclavicular lymph node로의 metastatic spread
- Sister Joseph’s node(umbilicus metastasis): umbilicus로의 metastatic spread
- Irish's node: left anterior axillary lymph node로의 metastatic spread
- Krukenberg tumor : ovary로의 metastatic spread
- Blumer’s rectal shelf : rectum의 anterior(pouch of Douglas)로의 metastatic spread
Virchow's node: left supraclavicular fossa에 발생 | Sister Joseph’s node(umbilicus metastasis) | Blumer’s rectal shelf |
참고: Virchow's node(Troisier's node)
|
진단적 검사
내시경검사 (Endoscopic diagnosis)
- 위 내 병변을 관찰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상부위장관 내시경과 상부위장관 조영술이 있다. 그러나 위암이 의심되는 병변에 대한 조직학적 확진을 위해서는 내시경 검사가 필수적이다.
|
- 궤양을 동반한 조기 위암의 약 70% 정도는 양성궤양이 가지는 형태학적 특징이나 국소적인 궤양 치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심되는 병변에 대한 조직검사는 반드시 시행되어야 한다.
- 악성궤양을 좀 더 시사하는 소견①
- 궤양 변연의 불규칙함
- 주변점막 주름의 변형이나 소실
- 방사상 주름의 결절성 변화 또는 불규칙함
- 점막주름의 곤봉상 변화, 단절 또는 융합
- 예측되는 방향에 어긋나는 점막주행
- 위점막과 예각을 이루는 종양 및 궤양의 변연
① 내시경 소견으로 조기 위암을 진단하거나, 위 내 병변의 악성 및 양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항상 용이한 것은 아니므로, indigocarmine 등의 색소를 이용한 색소내시경 검사나 협대역 광원 또는 일반 백색 광원을 이용한 확대내시경 등의 검사가 진단율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보충: 감별진단: benign ulcer vs. malignant ulcer 내시경 검사에서 궤양이 관찰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양성 궤양과 악성 궤양의 감별입니다. 특히 III형 조기암과 양성궤양(반흔기 궤양)과의 감별이 중요합니다.
앞서 언급한 여러 감별 point에도 불구하고 실제 내시경만으로 양성 궤양과 악성궤양을 완벽하게 구별하기는 어렵습니다. 확실한 진단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조직검사와 follow-up 이 두 가지입니다. |
영상의학 및 핵의학 검사 (Radiologic/nuclear imaging)
- 상부위장관 촬영술(upper GI series)
upper GI series에서 발견되는 gastric ulcer의 ulcerated gastric cancer와 benign peptic ulcer와의 감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내시경 검사를 필요로 합니다.
- CT: 원격 전이(예. 간전이) 평가에 유용 → 수술 전 위암 병기 예측
- MR: 조영제를 사용한 간 MR 검사는 위암의 간전이를 진단하는데 일부 환자에서 도움이 된다.
- Endoscopic ultrasonography(EUS): T, N staging에 있어 CT보다 우수
- FDG PET/CT : 위암의 병기 결정 / 위암 수술 환자의 재발 평가
병기
-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병기체계는 두 가지
- JGCA에서 발표한 병기체계
- AJCC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와 UICC (the International Union against Cancer)가 함께 개발하여 발표한 병기체계: 전 세계적으로 더 널리 사용
AJCC 제8판에서는 병기를 크게 세가지, 임상적 병기(clinical stage, cTNM), 병리학적 병기(pathological stage, pTNM), 선행치료 후 병기(postneoadjuvant therapy stage, ypTNM)로 제시하였습니다.
Anatomic Staging/Prognostic Groups, Gastric Cancer (8th Edition of the AJCC Cancer Staging, 2016)
※ Stomach cancer TNM staging AJCC UICC 8th edition에서
- T2는 muscularis propria를 침범했을 때이며, submucosa까지 침범하면 T1입니다.
- T3는 visceral peritoneum이나 adjacent structures를 침범하지 않고 subserosal connective tissue를 뚦은 경우이며 , muscularis propria까지만 침범하면 T2입니다.
- pT2N0M0는 TNM staging IB이며, pT3N0M0는 TNM staging IIA입니다.
| 8th | 7th |
병기의 구성 |
(→ 임상적 병기 제공) |
|
해부학적 범위 |
|
|
T |
|
|
N |
|
하지만, N3a와 N3b는 전체 병리학적 병기를 설정할 때에는 반영되지 않았고, N3로 묶어서 병기 설정 |
예. T2N3M0: 제7판 AJCC 기준 → stage IIIA | ||
M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