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료 방침 결정에 중요한 것은 종양의 크기가 아니라 종양이 조직을 침투한 정도
- 대개 수술과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를 적절히 병행
치료원칙
대장암의 병기별 치료 방법
- 1-3기: (primary therapy) 근치적 수술 → (adjuvant therapy) 1기 ->관찰, 2,3기 → adjuvant chemotherapy
- 4기: (primary therapy) pallative chemotherapy → (adjuvant therapy) chemotherapy 또는 RT
병기 |
| 치료 방법 |
1기 |
| |
2기/3기 | 결장암 |
|
2기/3기 | 직장암 |
|
4기 |
|
결장암
수술 전 임상 병기에 따른 치료방침 | ▶ | 최종 병기에 따른 치료방침: 최종 병기에 따라 보조 항암화학요법 권고 | |||
임상 병기 1기 | CT1N0M0 | 치료원칙: 근치적 절제술 점막하암의 일부: 선택적으로 내시경적 절제술 시행 가능 |
| 최종 병기 I기(pT1,2N0M0) | 보조 항암화학요법 필요없음 |
CT2N0M0 | 근치적 절제술 | ||||
임상 병기 II | 근치적 절제술 | 최종 병기 II기 | 고위험군/고위험군이 아닌 군으로 분류 고위험군: 보조항암화학요법 권고(oxalipatin을 포함한 복합 항암화악요법) | ||
임상 병기 III | 근치적 절제술 | 최종 병기 III기 | 보조항암화학요법 권고(oxalipatin을 포함한 복합 항암화악요법) |
직장암
- 근치적 절제술이 직장암 치료의 근간
- 국소 진행된 병기 II, III기의 직장암: 골반 내의 재발 감소를 위한 보조요법으로 수술 전 혹은 수술 후 항암화학 방사선 치료를 권고
수술전 임상 병기에 따른 치료방침 | ▶ | 최종 병기에 따른 치료방침 | ||
임상병기 I기(cT1~2N0M0) |
|
| 최종병기 I기 |
|
임상병기 II |
| 최종 병기 II기 |
| |
임상병기 III기 | 최종 병기 III기 |
전이성 대장암(metastatic colorectal cancer, mCRC)
- 전이성 대장암 환자의 치료원칙: 전위 부위의 절제가능성(resectability)에 따라
- 절제 불가능(unresectable) → 항암화학요법 → 재평가 후 치료방침 수립(resectable하게 바뀐 경우 수술 시행 가능)
- 절제 가능(resectable) → 전이 부위의 수술적 절제(surgical resection)가 중요한 치료옵션: 5-year survival 및 삶의 질 개선
Liver metastases
- 간 절제술 전략: 1) synchronous resection(대장, 간 동시 절제), 2) liver-first strategy 3) colon-first strategy
Pulmonary Metastasis
- 절제 시행
- 간 전이 동반된 경우: 1) sequential resection strategy 2) simutaneous resection strategy
전이성 대장암의 치료 흐름도
수술적 치료
- 대장암의 위치에 따른 수술법
종양의 위치에 따라 절제하는 범위가 다르다.
암의 발생 부위 | 절제법 | |
결장 | cecum, A-colon, T-colon 근위부 |
|
T-colon 중앙부 |
| |
T-colon 말단부, D-colon |
| |
S-colon |
| |
직장 | 상부 직장(항문으로부터 12cm 이상 근위부 위치) |
|
중간부 직장(항문으로부터 6~12cm 위치) |
| |
하부 직장(항문으로부터 3~5cm에 위치) |
|
참고: 경항문국소절제술의 적응증 변화
기존의 적응증에는 T2 (점막하층 이내)까지 가능하였지만 2016 NCCN 가이드라인부터 T1 (Proper muscle 이전까지)으로 변경되었다. |
항암화학요법
- 대장암에서의 항암화학요법의 목적
- 수술 후 재발의 위험을 낮추기 위한 보조적 치료법
- 2-3기 직장암에서 수술 전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함께 투여
- 간 또는 폐에 국한된 전이암에서 수술이 가능하도록 종양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선행화학요법
- 전이나 재발이 되었을 때 생명 연장을 위한 고식적(palliative, 완치가 목적이 아닌 생명을 연장시키고 증상 조절을 위한) 목적
- 대장암 치료에 사용되는 항암제의 종류
- 일반항암제: 1) 주사제: 5-FU, UFT, irinotecan, oxaliplatin 2) 경구제: capecitabin
- 표적치료제: bevacizumab, cetuximab, regorafenib, aflibercept
- 면역항암제: PD-1 inhibitor
- 대장암에 자주 쓰이는 chemotherapy regimen
- FOLFOX [oxaliplatin + leucovorin +(infusional) fluorouracil]
- FOLFOX ± bevacizumab
- FOLFIRI [folinic acid (leucovorin) + fluorouracil + irinotecan]
- FOLFORI ± bevacizumab
- CAPEOX [capecitabine-oxaliplatin]
- FOLFOXIRI [folinic acid (leucovorin), fluorouracil (5-FU), oxaliplatin, irinotecan]
- genotyping 시행: 대장암을 치료하기 전, 특히 전이성인 경우 시행
- KRAS, NRAS mutation: EGFR inhibitor인 cetuximab, panitumumab의 효과가 없으니 사용을 하면 안 된다.
- BRAF mutation: 나쁜 예후 시사
- HER2: 대장암 환자에게 있어서 드물게 overexpression 되는 경향 → HER2 target monoclonal ab(e.g. trastuzumab) 효과적
방사선 치료
- 병기 1기: 국소 절제 후 재발 방지위해 시행
- 병기 2-3기 :수술 전 또는 수술 후 보조적 치료 수술 전 진행성 직장암에서 수술을 용이하게 하며 국소 재발을 낮추고 항문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
- 병기 4기 : 절제 가능한 원격 전이인 경우 보조적 방사선 치료 가능
-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시행이 어려운 환자의 경우 1차 치료로 시행
참고자료
- 대한의학회. 대장암 진료권고안. 2012;
- NCC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oncology(NCCN guideline). Rectal cancer. Version 3.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