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평가
환자의 영양상태 평가지표: 주관적 지표 + 객관적 지표
|
영양요구량
에너지와 단백지원의 중요성
수술 등의 스트레스 환자에서 에너지 소비량을 외부에 서 충족시켜 주는 궁극적인 목적은 체내의 구조 단백이나 기능성 단백이 연료로 사용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데 있습니다. 즉 영양지원에 있어서 적절한 칼로리의 지원 없이 아미노산을 투여하면 아미노산이 단백질 합성에 이용되지 못하고 칼로리원으로 소모되므로 이를 예방하는 데 있습니다.
- 비단백 칼로리 대 질소 비율: 100-150:1 → 열량원은 칼로리로 쓰이며 단백은 단백 합성으로 이용
에너지 요구량 구성요소
- 기초대사율(Basal Metabolic Rate, BMR): 인체가 12시간 이상 금식 및 휴식 시에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 안정대사율(Resting Energy Expenditure, REE): 휴식은 하되 금식하지 않는 상황에서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REE가 BMR보다 약 10% 높다.
- 식품 열효율(thermal effect of food): 영양소의 소화, 흡수, 저장에 필요한 에너지. 전체 에너지의 약 10%
- 총 에너지 요구량(Total Energy Expenditure, TEE): 모든 에너지 요구량을 합친 에너지
에너지 요구량을 구하는 방법
- 간접열량측정기를 이용하는 방법
- Harris-Benedic 공식
에너지원
에너지 요구량 중에서 단백으로 공급되는 칼로리를 제외한 칼로리는 주로 탄수화물과 지방으로 공급됩니다. 비단백 칼로리는 탄수화물과 지방을 함께 지원하는 것이 좋습니다.
탄수 화물
- 정맥영양시는 포도당을, 경장영양시는 전분 및 포도당 중합체를 많이 사용한다.
- 7mg/kg/day(평균 5mg/kg/min)를 초과하지 않도록 공급할 것
- 모든 칼로리 요구량을 포도당으로만 공급하는 경우: 심각한 부작용 발생 가능(고혈당, 고삼투압성 혼수, 삼투성 이뇨, 간 효소치 상승, 필수 지방산 결핍증 등)
지방
- 풍부한 에너지.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 촉진. 세포막과 호르몬의 중요 성분
- 전체 필요 칼로리의 1-2%를 외부에서 공급해 주어야 필수 지방산 결핍증 방지 가능
- 2.5mg/kg/day를 초과하지 않도록 공급할 것
- 과다한 지방 공급 시 발생하는 부작용: 저산소증, 면역능의 저하(호중구 기능 부전, 대식세포 탐식능 저하)
단백
- 단백 요구량: 정상 성인에서는 0.8g/kg/day,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1.2-2.0g/kg/ day까지 증가
- 단백 요구량의 25-30%는 필수아미노산으로 지원할 것
- 신부전 및 말기 간질환 환자에서는 단백 공급을 제한할 것
수분 요구량
- 성인에서 수분요구량은 보통 25-35mL/kg/day 혹은 에너지 소비1Kcal 당 1-1.5mL
전해질 요구량
- 건강한 성인의 하루 전해질 요구량
비타민/무기질 요구량 * 경장영양 시: 영양 권장량 기준; 정맥영양 시: FDA 권장량 기준
- 술 후 합병증이 없는 경우 비타민과 필수 미량원소의 요구량은 쉽게 충족 가능 → 수술 전 결핍이 없으면 비타민은 반드시 공급하지 않아도 된다.
- 성분 영양식(elemental diet) 혹은 정맥영양에 의존하는 경우: 가능한 최대의 비타민과 무기질 공급을 필요로 한다.
스트레스 인자
- 어떠한 상황에서 필요한 에너지양은 BMR × 스트레스 인자
조건 | 인자 | 조건 | 인자 |
금식 | 0.9-1.0 | 패혈증 | 1.3-1.5 |
수술 후 상태 양호 | 1.0-1.1 | 다발성 장기 손상 | 1.5-1.7 |
복막염 | 1.1-1.3 | 화상(3도) | 1.5-2.0 |
- 많은 에너지가 필요로 하는 순위를 정리해보면, 3도 화상(1.5~2.0로 가장 높음) >다발성 장기손상 >패혈증>복막염>금식
영양지원이란?
- 적절한 경구섭취가 지속적으로 불가능한 환자들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것
Criteria to Initiate Perioperative Nutritional Support
- 심각한 영양학적 위험인자를 가지는 경우
- 과거병력: 심한 영양결핍(Severe undernutrition), 만성 질환
- 비고의적인 체중감소: 지난 6개월내 10-15% 혹은 1개월내 >5% 체중감소
- 수술 중 예상되는 출혈량 >500 mL
- 저체중: 이상체중(ideal body weight)보다 20% 이상 낮거나 BMI <18.5 kg/m2
- Failure to thrive on pediatric growth and development curves (<5th percentile or a trend line crossing two major percentile lines)
- Serum albumin <3.0 g/dL or transferrin <200 mg/dL in the absence of an inflammatory state, hepatic dysfunction, or renal dysfunction
- Anticipate that patient will be unable to meet caloric requirements within 7-10 days perioperatively
- Catabolic disease (e.g., significant burns or trauma, sepsis, and pancreatitis)
영양지원방법: 크게 2가지
경장영양(enteral nutrition) | 정맥영양(parenteral nutrition) |
|
|
어떤 방법을 선택할 것인가?
|
경장영양(Enteral Nutrition, EN)
경장영양공급을 할 수 없는 경우
대부분 경장영양이 우선 선호되므로 경장영양공급을 할 수 없는 경우(금기증)를 알아두는 게 좋겠습니다.
- Intractable vomiting, diarrhea refractory to medical management
- Paralytic ileus
- High-output intestinal fistulas (too distal to bypass with feeding tube)
- GI obstruction, ischemia
- Diffuse peritonitis
- Severe shock or hemodynamic instability
- Severe GI hemorrhage
- Severe short bowel syndrome (<100 cm of small bowel remaining)
- Severe GI malabsorption (e.g., EN failed, as evidenced by progressive deterioration in nutritional status)
- Inability to gain access to GI tract
- Need for EN is expected for <7 days
경장영양을 위한 경로 선택
- 경장영양요법은 크게 입을 통한 경구영양보충과 관을 이용하는 경관영양요법으로 분류된다.
- 경관영양요법을 위해서는 영양관 삽입이 선행되어야 한다.
Site of delivery | Access | Feeding route | Placement method |
|
(gastro/enterostomy) |
|
|
- 경비(코장) 영양공급 영양관: 코위 경관급식(nasogastric feeding), 코공장 경관급식(nasojejunal feeding)
- 경피적 영양공급
- 내시경을 이용하는 방법
- 경피적 내시경 위조루술(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PEG])
- 경피적 내시경 위조루-공장조루술(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Jejunostomy[PEG-J])
- 직접 경피적 내시경 공장조루술(Direct Percutaneous Endoscopic Jejunostomy[DPEJ])
- 방사선촬영을 이용한 방법:
- radiologically inserted gastrostomy, RIG
- radiologically inserted gastrojejunostomy, RIG-J
- radiologically inserted jejunostomy, RIJ
- 수술적 방법: surgical gastrostomy, surgical jejunostomy
- 내시경을 이용하는 방법
경장영양의 합병증
소화관(Gastrointestinal) 합병증
- Nausea, vomiting
- Gastroesophageal reflux
- Pulmonary aspiration
- Diarrhea
- Constipation
- Malabsorption/maldigestion
대사(Metabolic) 합병증
- Fluid imbalance
- Electrolyte/mineral imbalance
- Acid-base disturbances
- Refeeding syndrome
- Glucose intolerance
기계적(Mechanical) 합병증
- Tube misplacement
- Tube occlusion
- Tube displacement/migration
- Buried bumper syndrome
- Tube deterioration/breakage
- Nasal, pharyngeal, esophageal irritation/ulcerations
- EN misconnection
기타
- Peristomal infection
정맥영양(parenteral nutrition)
정맥영양의 적응증 및 금기증
정맥영양의 적응증 | 정맥영양의 금기증 |
|
|
정맥영양 종류: 2가지 방법
중심정맥영양(Central parenteral nutrition) | 말초정맥영양(Peripheral parenteral nutrition, PPN) |
|
|
정맥 영양 영양소의 구성 및 처방
정맥 영양 영양소의 구성
일반적 성인에서 요구되는 영양 성분
| 중환자(critical patient) | 안정적 환자(stable patient) |
단백질(protein) | 1.2∼1.5 g/kg/d | 0.8∼1.0 g/kg/d |
탄수화물(carbohydrate) | Not>4 mg/kg/min | Not>7 mg/kg/min |
지방(lipid) | 1 g/kg/d | 1 g/kg/d |
총 칼로리(total calories) | 25∼30 kcal/kg/d | 30∼35 kcal/kg/d |
수액량(fluid) | Minimum needed to deliver adequate macronutrients | 25∼35 mL/kg/d |
예시: 70kg 성인 기준 수분(25-35 mL/kg/day)=30ml/kg/day×70kg=2100 ml 총 칼로리(25-35kcal/kg/day)=30kcal/kg/day×70kg=2100kcal 단백질(1.5g/kg/day)=1.5kcal/kg/day×70kg=105g |
물
- 멸균증류수를 주로 사용함.
- 수분: 위장관 혹은 다른 손실이 없다면 수분 요구량은 최소한도로 설정. 25-35 mL/kg/day
단백질
- 필수 아미노산 + 비필수 아미노산
- 단백질 투여는 대사성 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초기 단백질 공급은 60∼70 g/L까지 가능함.
탄수화물
- 정맥영양지원에서 1차 영양원으로 사용되는 구성성분
- 환자의 열량요구량, 산화속도, 지방과 포도당의 비율을 고려하여 정맥영양제제에 포함되는 포도당 양을 결정
- 초기 포도당 공급: 최대 150∼200 g/day 혹은 15%∼20% 농도까지 가능
- 당뇨환자나 스트레스로 인해 고혈당을 보이는 경우: 100∼150 g/day 또는 10∼15% 농도의 용액으로 조절 필요
- 말초 혈당이 180 mg/dl이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추가 포도당 공급 가능
지방
- 필수지방산 공급원과 열량원으로 사용함.
- 유제의 형태로 공급가능
- 지방유제의 경우: ml당 kcal로 계산함(예; 10% LCT 제제: 1 kcal/ml, 20% 제제: 2 kcal/ml)
- MCT (medium chain triglyceride)/LCT (long chain triglyceride) 제제의 경우: LCT 보다 빠르게 산화되는 장점을 가진 MCT를 포함한 제제. 마찬가지로 ml당 kcal로 계산함
- 혈중 중성 지방 수치가 400 mg/dl가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추가 지방의 공급이 가능함.
전해질/미량원소/비타민
- 전해질: 전해질 균형을 위해 정맥영양제제에 혼합함
- 미량원소
- 일반적인 권장량에 준해 정맥영양제제에 혼합함.
- 미량원소의 종류: chromium, copper, iodine, iron, manganese, molybdenum, selenium, zinc
- 상용화되고 있는 정맥용 종합미량원소 제제를 사용할 수도 있음
- 정맥 단일 미량원소 제제: copper, zinc, selenium, iron
- 비타민: 정맥영양제제에 비타민은 일반적인 권장량에 준해 고정된 양을 투여
정맥 영양 처방의 실제
지방을 포함하지 않은 TPN (two-in-one solution)①
- Total kilocalories=2100kcal
- Calories from amino acids=105g×4kcal/g=420kcal
- Remaining calories=2100−420=1680kcal
- 1680kcal/(3.4kcal/g)=494g dextrose
① 필수지방산 결핍을 예방하기 위해 적어도 매 1-2주마다 lipid infusion을 시행할 것
TPN formulated with lipid (three-in-one solution)
- Total kilocalories=2100kcal
- 총 칼로리의 20%는 지방으로 공급
- Lipid=2100kcal×0.2=420kcal
- 420kcal/(9kcal/g)=47g lipid
- Calories from amino acids:
- 105g×4kcal/g=420kcal
- 남아있는 칼로리
- 2100−420−420=1260kcal
- 포도당으로 나머지 칼로리를 채운다면
- 1260kcal/(3.4kcal/g)=370g dextrose
- 최종 volume (for three-in-one, maximally concentrated):
- Amino acids(10%stock solution)=105g=1050mL Dextrose(70%stock solution)=370g=528mL
- Lipids(20%stock solution)=47g=235mL
- Total volume=1813mL/day
- 최종 농도(wt/vol): 5.8% amino acids, 20.4% dextrose, 2.6% lipid.
합병증
- 기계적 혹은 카테터 연관(catheter related)/감염, 대사, 위장관 합병증 등으로 분류된다.
비경구양양법의 가능한 합병증
기술적 합병증(카테터 연관)
대사 합병증
위장관 합병증
|
참고자료
- 대한외과학회. 외과학 2판(2017). p121-144
- Sabiston Textbook of Surgery 20판(2017). Chapter 5, 98-129
- 대한외과대사영양학회. 외과대사영양 지침서 제1판(2013)
- Kim YJ.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Possible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otal Parenteral Nutrition. Hanyang Medical Reviews 2011;31(1):269-275
- Lee JG. Parenteral Nutritional Support in Critical Patients. J Neurocrit Care 2010;3 Suppl 2:S108-S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