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복강경 수술이란?
복강경 수술 시 생리학적 변화
호흡계 변화
심혈관계 변화
신기능변화
복강 내 접근: 복강 내로 접근하는 방법 2가지
Veress 침을 복강 내로 직접 천자하는 방법
직접 복막을 절개한 뒤 유착여부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투관침을 삽입하는 방법
CO2 주입 중 합병증 : 주입된 CO2로 인해 여러 기전으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CO2 embolism
압력으로 인한 합병증
복강경 수술이란?
- 1cm 정도의 절개 부위를 만들어 CO2 가스를 복강에 집어넣어 기복(Pneumoperitoneum)을 만든 후 복강경 도구들을 삽입해 수술하는 수술법
- 장점: 절개부위가 작기 때문에 수술 후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빨라 입원기간이 단축된다.
- 단점: 수술자의 숙련도가 낮을 시 수술 부위 외의 손상을 입힐 확률이 커진다.(e.g. 담낭 수술 시 담도 손상 높아짐)
복강경 수술 시 생리학적 변화
호흡계 변화
- 최고치 기도내압 상승
- 폐활량 감소
심혈관계 변화
- 기복 형성 → 대동맥/내장혈관 압박 → 체액인자(catecholamine, RAAS activation) → 전신혈관저항↑ → 평균동맥압↑
- 기복 형성 → 하대정맥/골반정맥 압박 → 심박출량↓
신기능변화
- 기복 형성 → 복강내 압력↑ → 신장혈류↓→ 사구체여과율/소변량↓
- 심박출량↓, RAAS activation→ 신혈관수축
복강 내 접근: 복강 내로 접근하는 방법 2가지
Veress 침을 복강 내로 직접 천자하는 방법
- 배꼽주변: 복벽이 매우 얇아 가장 선호되는 최소침습 수술접근 통로
- 배꼽 주위에 소절개를 가한 후 노출된 근막을 2개의 타월집게 또는 엄지와 검지를 이용해 들어올린 뒤 Veress 침을 복강 내로 천자한 후 복벽을 지나 복강 내로 삽입
- Veress침이 복강 내로 정확히 삽입되면 이산화탄소 가스를 연결하여 복압이 12-14mmHg 정도가 되도록 유지한다(15mmHg 이상 오르면 하대정맥이 압박되어 혈압이 감소될 수 있다).
직접 복막을 절개한 뒤 유착여부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투관침을 삽입하는 방법
- 이전 복부수술로 인한 장관유착이 예상되는 경우 장관손상 및 혈관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CO2 주입 중 합병증 : 주입된 CO2로 인해 여러 기전으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CO2 embolism
- CO2가 혈관에 흡수되어 색전을 형성해 폐순환을 막는 경우
- 치료 : Central venous catheter, Direct intra cardiac insertion of needle
압력으로 인한 합병증
- CO2 가스의 압력으로 인해 IVC가 눌린 경우
- Cardiac output 감소
- Vasovagal response로 인해 맥박 감소, 혈압 감소
- 치료 : 복강 내 CO2 배출, Lateral decubitus 자세, Atrop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