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술 후에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수술 후 첫 이틀간 폐활량(vital capacity)이 50% 이상 감소합니다. 이로 인해 기능적 잔기 용량(functional residual capacity)이 감소되고, 여러 가지 호흡기계 합병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무기폐(atelectasis)는 마취, 복부 절개, 수술 후 진통제 사용으로 인해 폐포가 허탈(collapse)되어 폐단락(pulmonary shunt)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기폐 (Atelectasis)
- 수술 후 가장 흔한 호흡기 합병증은 무기폐(atelectasis)이다.
원인
- 마취, 통증이 심한 상부 복부 절개 및 흉부 절개, 진통제로 인해 peripheral alveoli가 collapse
- 분비물의 축적
- 이차적 감염으로 인해
- 고령, 비만, 흡연력, COPD, 오래 지속된 supine position
- 수액 과다
증상
- 미열, 전신통, 권태감, 환측 폐 하부에서 호흡음 감소
치료
- 통증 조절 → 심호흡, 효과적인 객담배출 보조
- 바로 누운 자세보다는 30-45도 정도의 앉은 자세 → 기능적 잔기용량 증가에 도움
- Incentive spirometer(유발성 폐활량 측정기) 사용하여 호흡을 도와줌
- 깊은 호흡, 기침 장려 (Encourage Deep Cough)
- 조기 보행 (Early ambulation)
- 수술 전 합병증 예방을 위해 최소한 2주 전에는 금연(명백한 효과는 8주 이상해야 나타남)
폐부종 (Pulmonary edema)
원인
- vascular hydrostatic pressure 증가 : CHF, AMI
- 과도하게 빨리/많이 수액 요법을 시행한 경우
진단
- 병력: 심장 병력, 최근 대량의 수액 주입의 병력
- 증상: 호흡곤란, 호기시 wheezing 청진, crackle, 기도 내 거품 함유한 삼출액
- 검사 소견: 가슴 X선: batwing appearance, increased C/T ratio, pleural effusion
치료
- 가슴 X선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 Swan- Ganz catheter로 PCWP 측정
- Oxygenation and ventilation support (양압 환기)
- 수액요법 중단, 이뇨제 사용, upright position, morphine, 혈액 투석
폐색전증 (Pulmonary embolism)
원인
- DVT
- Thrombophilia
(타과 수술에 비해 정형외과 수술 후 비교적 흔하게 발생)
치료
- 폐색전증이 진단된 경우 금기 사항이 없다면 헤파린 치료를 즉시 시작해야 한다.
- 헤파린: 1) 미분류 헤파린(unfrac-tionated heparin) 혹은 저분자량 헤파린(low-molecular weight heparin), 2) warfarin을 병용 투여하여 INR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이 2.0-3.0으로 도달할 때까지 4-5일 정도 투여
예방
- 예방법
- 비약물 요법: 기계적인 방법(→ 주로 위험성이 낮은 경우)
- 하지 거상(Leg elevation), 조기보행
- 다단계 압축스타킹, 간헐적 공기압박법, Venous foot pump
- Electrical stimulation of calf muscle
- 약물 요법: 위험성이 높은 경우
- unfractionated heparin, LMWH, warfarin, fondaparinux,
- 비약물 요법: 기계적인 방법(→ 주로 위험성이 낮은 경우)
- 정맥혈전색전증 예방 시 환자군을 혈전발생위험도에 따라 4군으로 분류하여 예방법을 달리하고 있다:
1) 초저위험군(정맥혈전색전증 발생률<0.5%), 2) 저위험군(0.5%~1.5%), 3) 중등도위험군(1.5%~3.0%), 4) 고위험군(>3%)
위험군 | 수술의 종류 | 예방법 |
Very low |
|
|
Low |
|
|
Moderate |
|
|
High |
|
|
참고자료
- 대한외과학회. 외과학 2판(2017). 13장
-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enous Thromboembolism. J Kyung Hee Univ Med Cent 2014;29(1):18-25
- 대한혈관외과학회 권고안. 정맥혈전색전증의 예방과 치료.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