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장기)이식(transplantation)이란?
이식의 분류
수혜자와 기증자간의 유전자 차이(genetic disparity)에 따른 분류
기증자의 상태에 따른 분류
뇌사 시 기증
뇌사란?
뇌사판정기준
뇌사 공여자 기준(예: 신장 이식)
(장기)이식(transplantation)이란?
- 수혜자(recipient)의 조직이나 장기의 상실된 기능을 대체할 목적으로 기증자(donor)의 조직이나 장기의 일부 또는 전체를 원래 존재하는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옮기는 것
이식의 분류
수혜자와 기증자간의 유전자 차이(genetic disparity)에 따른 분류
- 자가이식(autograft): 자신의 조직이나 장기의 위치를 옮기는 이식
- 동종이식(allograft): 같은 종의 두 개체 사이의 이식
- 이종이식(xenograft): 다른 종 간의 이식
- 수혜자와 기증자 간의 유전자 차이가 클수록 이식 면역반응은 강하게 발생한다.
기증자의 상태에 따른 분류
- 크게 생체 및 사후 기증으로 분류
- 생체 기증: 혈연간 기증, 비혈연간(제3자 순수기증) 기증, 교환기증 등
- 사후 기증: ① 뇌사 시 기증 ② 심장정지 후 기증
뇌사 시 기증
뇌사란?
뇌사 상태 | ↔ | 식물상태 |
|
|
|
뇌사판정기준
- 뇌사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선행조건과 판정기준에 모두 적합해야 한다.
뇌사판정 기준(6세 이상)
선행조건
판정기준
재확인(2차 검사)
뇌파 검사
|
- 생후 2개월 이상 1세 미만 : 48시간 경과 후 재확인 검사, 뇌파 검사는 2차 검사 전과 후에 각각 실시
- 1세 이상 6세 미만 : 24시간 경과 후 재확인 검사, 2차 검사 후 뇌파 검사
뇌사 공여자 기준(예: 신장 이식)
- 최근에는 뇌사자의 장기 활용을 증가시키지 위해 확대기준 기증자로부터의 기증이 증가하는 추세
- 확대기준 기증자: 장기의 상태가 전반적으로 양호하지 않은 기증자를 의미
신장 확대기준 기증자
KONOS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 UNOS (United Network for Organ Sharing)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