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의 평가 및 치료


목차

초기 평가

어디서 치료할 것인가?

입원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

  • 통증 조절이 되지 않을 경우
  • 정맥로 수액 주입이 필요한 경우
  • 상처가 문제가 될 경우
  • 사회적/정신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
  •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

 

화상전문센터로의 이송대상

성인
  • 2도 이상 깊이가 체표면적의 10% 이상, 체표면적의 5% 이상의 전층 화상

 

소아
  • 2도 이상 깊이가 체표면적이 5% 이상인 경우

 

공통
  • 얼굴, 손, 발, 생식기, 항문과 주요 관절부위 화상, 화학 화상, 번개를 포함한 전기 화상, 외상을 동반한 화상, 흡입화상을 동반한 화상

 

 

 

치료

냉각요법(Cooling)

  • 깊이에 관계없이 모든 화상에서는 cooling 및 대증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 시행방법
    • 화상 범위가 제한적인 경우 12-25°C 정도의 상온의 물로(물을 화상 부위에 끼얹거나 화상 부위를 물에 담가서) 30분 이내로 환부를 식히는 것이 권장된다.
    • 10℃ 이하의 냉수, 얼음이나 얼음물 같은 낮은 온도로 환부를 냉각시키지 말 것

① 화상 상처는 상처 조직의 온도가 44°C 이상인 경우 손상이 진행하게 되기 때문에 화상 상처의 열기를 즉시 제거하여 추가적인 조직 손상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② 광범위 화상 환자 또는 소아 화상 환자에게 냉각요법은 저체온증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③ 조직손상 초래. 오랜 시간 사용 시 저체온증이나 과도한 혈관 수축 유발

 

최초 드레싱(화상 드레싱)

  • 상처 치유를 촉진 시킬 수 있는 습윤드레싱 선호
  • 화상의 원인과 크기, 위치, 삼출물의 정도, 오염 정도에 따라 의료진이 결정하여야 하며 특정 드레싱 제제의 선택을 지지하는 임상적인 근거는 아직 없다.
  • 드레싱 목적: 삼출물 흡수; 외부로부터 상처 격리/보호; 상처 통증↓

 

화상 환자의 수포 제거

수포를 유지하는 방법

  • 수포가 터지지 않고 유지되면 이는 표재성 2도 화상이므로 3주 이내에 자연치유가 일어나는데 수포를 터트리게 되면 통증을 유발하고 상처 감염의 기회가 늘어나기 때문에 수포를 유지해야 한다.

 

수포를 즉시 제거하는 방법

  • 수포 안의 수포액이 염증반응을 촉진 시키고, 정상적인 호중구의 활동을 억제시키며, 세균의 배지로 작용할 수 있음을 근거로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기 위해 수포를 즉시 제거해야 한다.

 

수포를 지연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 화상 수상 후 10일째까지 흡수되지 않고 수포가 유지되거나 수포가 터지더라도 10일째까지 수포의 포피를 생체 드레싱으로 유지하다가 화상 수상 10일 째 이후에 수포를 제거하여 수술 또는 보존적 치료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화상 치료 권고안: 아주 작은 화상의 경우가 아니면 수포를 제거할 것
  • 뉴질랜드 화상치료 권고안: 작은 수포의 경우 유지시키고 운동에 제한을 주는 수포의 경우 수포액을 흡인 후 포피를 유지시킬 것
  • 미국/유럽 화상 치료 권고안: 상처 감염과 상처 치유, 기능적 미용적인 측면, 환자 및 의료진의 편리성, 비용 측면을 고려하여 의료진이 수포의 제거여부를 결정할 것

 

화상으로 인한 통증의 진통 및 진정

통증 평가

  • NRS(Numeric Rating Scale), VAS(Visual analog scale): 현재 전세계적으로 일반적으로 8세 이상의 소아, 청소년 및 성인 환자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법
  • WHO pain ladder: mild(1-3점), moderate(4-6점), severe(7-10점)

 

진통제의 선택

  • 급성기 통증을 조절하기 위하여 낮은 역가의 약부터 시작하여 통증이 호전되지 않을 때 그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좀 더 높은 역가의 약을 추가하는 단계적 접근 방법은 비효율적이다. 
  • 통증의 강도가 중등도 이상인 급성기 성인/소아 환자: 마약성 진통제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에 비해 통증 조절에 더 효과적이다.
  • 소아 화상 환자에서 마약성 진통제 투여는 진통제를 투여하지 않은 환자에 비해 약제 관련 부작용이 더 많지 않고 안전하고 효과적이다.
  •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급성기 화상 환자의 통증 조절을 위한 약물 투입 경로는 정맥으로 주사하는 것이 근육, 구강, 피하에 비해 통증 경감의 효과가 더 좋다.

 

 기도 및 호흡관리

  • 기도 삽관을 시행해야 하는 경우: 1) 흡입 화상이 의심되는 경우 2) 안면부 화상 환자 중 의식이 저하된 경우 3) 상기도 폐색의 위험성이 있는 경우
  • 기도 부종 발생 가능성을 염두에 두자!
    1. 수액 치료가 진행되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진행하기 때문에 상기도 폐색의 징후(쉰 목소리, 쌕쌕거림, 호흡 시 가슴 수축)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2. 환자 이송 중에 기도 부종의 위험성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이송 전 기도 삽관을 반드시 시행해야 한다.

 

수액요법

광범위 화상 환자는 화상 수상 후 24시간에서 48시간 동안 체내의 수분 이동 현상이 일어나 심각한 혈량저하증이 발생하므로 화상 범위 20% 이상의 화상 환자는 화상 범위와 신체적 특징이 고려된 공식에 따라 계산된 양의 수액 치료를 필요로 합니다.

 

수액 치료법: Parkland 공식(가장 계산하기 쉽고 널리 쓰이는 공식)

  • 첫 24시간에 투여할 수액량: 4 ml
  • 환자의 체중(kg)
  • 화상범위(%)
  • 이 중 절반을 첫 8시간 동안 투여
  • 수액종류: 하트만 용액(가장 많이 쓰이는 용액)

참고자료

  • Lee JE. The Primary Care for Burns. J Korean Med Assoc 2010; 53(4): 331 - 340
  • 대한화상학회. 응급의료인을 위한 화상환자의 응급처치 및 이송지침. 2015
  • Lloyd ECO, Rodgers BC, Michener M, Williams MS. Outpa­tient burns: prevention and care. Am Fam Physician 2012;85: 25-32.
  • Yastı AÇ, Şenel E, Saydam M, Özok G, Çoruh A, Yorgancı K. Guideline and treatment algorithm for burn injuries. Ulus Travma Acil Cerrahi Derg 2015;21(2):79–89.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