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평가측정도구
- Anatomic(해부학적 측정) : CT, MRI
- Tumor size
- Enhancing lesion
- Tumor density (HU)
- Functional (metabolic)(기능적 측정)
- Glycolysis : PET
- Cellular metabolite transport : MR spectroscopy
- Diffusion of water molecule : DW-MRI
- Perfusion of contrast agents : DCE-MRI, perfusion CT
- Tumor marker
- CTC (circulating tumor cells)
- Molecular markers
해부학적 측정방식으로 치료효과를 측정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Response evaluation criteria를 이용하게 되는데 크게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기준과 RECIST(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 기준이 대표적입니다. WHO 기준보다는 RECIST 기준이 보다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 WHO 기준 | RECIST criteria |
측정방식 |
|
| |
치료반응 | CR(complete response) |
|
|
PR(partial response) |
|
| |
PD(progressive disease) |
|
| |
SD(stable disease) |
|
|
RECIST(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기준
Baseline에서 종양 병변(baseline lesions)은 계측 가능한 병변 (measurable lesions)과 계측 불가능한 병변 (nonmeasurable lesions)으로 분류합니다.
계측 가능한 병변 (measurable lesions)은 또 다시 대상 병변 (target lesions) 과 비대상병변 (nontarget lesions)으로 구분합니다.
계측 가능한 병변 (measurable lesions)
-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계측 가능한 병변이 있는 경우(a lesion you CAN follow quantitatively)
- 측정 가능한 표적 병변: CT에서 장경 10 mm 이상의 종양
- 림프절: 단경으로 측정 - 표적병변: ≥15 mm / 비표적 병변: 10–15 mm / 정상 림프절: ≤10 mm
|
| RECIST 1.0 | RECIST 1.1 |
tumor burden 측정 | target lesion 개수 |
|
|
CT (MRI) |
|
| |
Chest x-ray |
|
| |
Clinical |
|
| |
림프절(LN) |
|
|
- 계측 가능한 병변 (measurable lesions)은 크게 대상 병변 (target lesions)과 비대상 병변 (nontarget lesions)으로 구분
대상 병변 (target lesions) | vs. | 비대상병변 (nontarget lesions) |
|
|
|
|
|
|
2. 재현성 있는 target lesion의 조건
|
|
|
Response criteria of RECIST 1.1
Response | Target lesion response | Non-target lesion response |
Definition | Definition | |
완전 관해(CR) | 관찰되었던 모든 표적 병변의 소실(All (non-nodal) target lesions gone) 병리학적 림프절의 단경이 10 mm 미만으로 감소(Lymph nodes: short axis <10 m) | 모든 비표적 병변의 소실(All non-target lesions disappeared) AND 모든 림프절 크기가 10 mm 미만(All lymph nodes <10 mm) tumor marker의 정상화 |
부분관해(PR) | 모든 표적 병변의 장경 합이 30% 이상 감소(SLD down 30% or more from baseline) |
|
불완전반응(IR)/불변(SD) | 완전 관해(CR)/부분 관해(PR) 또는 진행(PD)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 비관해/비진행(Non-CR/Non-PD) 한 개 이상의 비표적 병변이 계속 존재하거나/존재하며 상승된 종양 표지자 수치가 계속 유지되는 경우 |
진행(PD) | 모든 표적 병변의 장경 합이 20%를 넘어 증가하고 그 절대값의 합이 최소 5 mm 이상 증가하거나 또는 새로운 종양이 관찰되는 경우 cf. RECIST 1.0: 모든 표적 병변의 장경 합이 20%를 넘어 증가 | 기존의 비표적 병변이 명료하게 진행하거나 또는 새로운 병변이 생기는 경우 |
RECIST,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urs; CR, complete response; PR, partial response; PD, progressive response; SD, stable disease; IR/SD, incomplete response/stable disease
계측 불가능한 병변 (nonmeasurable lesions)
- 계측 가능한 병변 외의 다른 모든 병변
작은 병변 | + | 실제 계측할 수 없는(truly nonmeasurable lesions) (RECIST 1.1) |
|
|
cf. Bone lesions, Cystic disease는 1.1에서 제외 |
최대 종합 반응 평가
Target lesion + Non-target lesion + New lesion의 유무를 모두 평가해야 Overall response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최대 종합 반응: 치료 시작부터 병의 진행까지 기록된 최상의 반응
- 평가 방식
- 새로운 병변이 발견된 경우: 10 mm 이상의 동맥기 조영증강 및 문맥/지연기 씻김을 보이는 새로운 병변이 발견된 경우에는 표적병변 및 비표적 병변의 치료 반응에 상관없이 종합 종양 반응을 진행(PD)으로 판정
- 새로운 병변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 표적 병변과 비표적 치료 반응 평가 중 더 진행된 치료 반응을 종합 종양 반응으로 선택하게 된다.
- 평가 시기
- CR/PR: 처음으로 반응이 평가된 후 최소 4주의 차이가 나는 두번째 평가에서 반응이 확인되어야 한다.
- SD: 치료 시작 후 최소 6주(2주기) 후에 적어도 한번 측정되었을 때 인정된다.
Overall Response Assessment(RECIST 1.1)
Target | Non-Target | New | Overall |
CR | CR | No | CR |
CR | Non-CR/Non-PD | No | PR |
CR | Not evaluated | No | PR |
PR | Non-PD or not evaluated | No | PR |
SD | Non-PD or not evaluated | No | SD |
Not evaluated | Non-PD | No | NE |
PD | Any | Yes or No | PD |
Any | PD | Yes or No | PD |
Any | Any | Yes | PD |
반응지속기관과 병의 진행까지의 시간, 생존기간
- Duration of overall response(반응지속기간): PR 기준을 만족시킨 날부터 병의 진행이 확인된 날까지
- Duration of stable disease(안정병변 지속기간): 치료 시작일로부터 병의 진행이 확인된 날까지
- Time to progression (병의 진행까지의 시간): 치료 시작일로부터 병의 진행이 확인된 시점 또는 마지막 접촉 시점 또는 다른 항암 치료를 시작한 시점까지
- Survival(생존기간): 치료 시작일로부터 사망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