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적치료 항암제란?
- 암이 발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전이나 암의 침범, 전이, 신생혈관형성 등의 특징을 담당하는 기전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항암제(cf. 전통적인 항암제: 세포독성을 나타내므로 정상세포까지 손상을 주어 원치 않는 부작용 발현)
- 200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소개되어 현재 적극적으로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신약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
표적 치료 항암제란?
- 특정 암세포의 기전만 공격하는 함암제
전통적인 항암제 | ↔ | 표적치료 항암제 |
|
|
|
분류
-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
- -mab으로 명명된 단클론 항체 계열(monoclonal antibody)
- -nib으로 명명된 inhibitor 계열(Tyrosine-kinase inhibitor)
- 항암 면역 치료제: 면역항암제는 이후에 따로 살펴볼 예정
단클론 항체 계열
분류 |
| 기전 | 비고 |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저해제 | Cetuximab (Erbitux®), panitumumab (Vectibix®) |
|
|
HER-2/neu를 표적으로 하는 항암제 | Trastuzumab (Herceptin®) |
|
|
신생혈관형성 저해제 | Bevacizumab (Avastin®) |
|
|
기타 | Rituximab |
|
|
Alemtuzumab (Campath®) |
|
| |
Denosumab (Prolia®, Xgeva®) |
|
|
CTLA-4 억제제(Ipilimumab), Programmed cell death protein 1 (PD1) 억제제(Nivolumab, Pembrolizumab) 혹은 Programmed death-ligand 1 (PDL1) 억제제(Atezolizumab, Avelumab, Duralumab)는 표적치료제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면역을 회피하는 기전으로 면역치료제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Tyrosine-kiase ihhibitor (TKI)
Receptor | Non-receptor | ||
HER1/EFGR | Erlotinib, Gefitinib, Vandetanib | bcr-abl | Imatinib, Dasatinib, Nilotinib |
HER2/Neu | Afatinib, Lapatinib, Neratinib | Src | Bosutinib |
PDGFR, VEGFR | Axitinib, Masitinib, Pazopanib, Sunitiinb, Sorafenib, Toceranib, Cediranib, Lenvatinib, Nintedanib, Regorafenib, Semaxanib, Tivozanib, Vandetanib | JAK | Lestaurtinib, Ruxolitinib,Pacritinib |
MAP2K | Cobimethinib,Selumetinib, Trametinib, Binimetinib | ||
MEL4-ALK | Ceritibin, Crizotini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