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상대정맥증후군(superior vena cava syndrome)
개요
임상양상
진단
치료
악성 척수압박증후군(malignant spinal cord compression)/ 척수압박증후군 (spinal cord compression syndrome)
개요
임상양상
진단
치료
상대정맥증후군(superior vena cava syndrome)
개요
- 상대정맥을 통한 혈류의 흐름이 외인성(extrinsic) 혹은 내인성(intrinsic)으로 폐색이 초래됨으로써 일어나는 증상
- 원인: 악성 종양(m/c):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소세포암(small cell lung cancer), 비호즈킨즈 림프종(non-Hodgkin lymphoma), 흉선종(thymoma) 등
폐암과 비호즈킨림프종이 모든 상대정맥증후군 발생 원인의 약 85%를 차지합니다. 소세포폐암 중 약10%, 비소세포암 중 약 2~4%, 그리고 비호즈킨 림프종 중 약 2~4%에서 상대정맥증후군이 발생합니다.
임상양상
- 상대정맥 폐쇄 -> 윗부분의 정맥흐름 장애 발생 → 상체에 관련 증상 발생
- 안면종창, 팔부종, 호흡곤란 등
- 특히 앞으로 숙일 때 증상이 심해지는 경향
진단
- 영상검사: 가슴 X선, 가슴 CT
- 가슴 X선: 대부분 종물이 보이고 가장 흔한 이상 소견은 종격상부 확장과 흉막유출
- 가슴 CT: 병의 진행정도 등 은 흉부 단층촬영을 통해 자세히 알 수 있으며 특징적으로 측부혈류확장(collateral vessel dilatation) 소견을 보인다.
심한 호흡곤란 등 생명이 위태로울 경우 조직학적 확진 없이 치료를 시행하기도 하나 소세포암이나 림프종 등은 항암약물요법 혹은 방사선치료와의 병용요법으로 완치가 가능함으로 가능한 조직검사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치료
| |
▼ |
|
스테로이드 |
|
+ |
|
원인 질환 치료 |
|
악성 척수압박증후군(malignant spinal cord compression)/ 척수압박증후군 (spinal cord compression syndrome)
개요
- 척추로의 전이: 직접, 혈행성, 뇌척수액을 통한 전이
척추 전이 중 흉추전이가 가장 흔하다. 암환자들 중 약 5-10%에서 척수압박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원인 질환: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신장암, 림프종
척수압박으로 상하지 마비 발생 시 불가역적으로 진행되어 환자의 삶의 질을 현격히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조기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임상양상
- 허리통증(m/c), 근통, 근력약화, 감각이상, 배변/배뇨이상
- 심한 경우 마비증상 동반
진단
- 암환자에서 허리통증이 발생하였을 경우 의심할 것
- 신경학적 검사
- 영상검사: 척추 MRI(prefered), CT myelography
치료
- 치료방법: 스테로이드, 수술, 방사선치료
척수압박은 초 응급상황으로 스테로이드, 수술, 방사선치료 등으로 치료하게 됩니다.
특히 척수압박증후군이 의심되는 경우 우선 스테로이드 투여를 개시하고 동시에 방사선종양학과 및 신경외과의사에게 의뢰를 진행하고 치료방향을 결정하여야 합니다.
- 스테로이드
- 개시: dexamethasone 10~16mg 정주(intravenous bolus) → 이후 4mg을 4시간 간격으로 투여: 방사선치료 등 치료 중 혹은 종결 후에 서서히 스테로이드 감량
- 수술: 척추후궁 절제술 (laminectomy), 전방 감압술(anterior decompressive approach)
- 적응증: MRI상 단일병변이고 기대여명이 3개월 이상인 경우 그리고 방사선에 민감한 종양 (림프종, 생식세포종, 다발성골수종 등)이 아닌 경우
- 비적응증: 마비가 발생한지 48시간이상 지난 경우, 방사선에 민감한 종양, 이전에 척추압박이 있었거나 다른 신경학적 질환이 있는 경우
- 응급 방사선 치료
- 적응증: 수술적 적응증에 해당하지 않거나 마비가 발생한지 48시간 이상 지나 병원에 내원하여 수술적 적응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71장
- Zimmerman S, Davis M. Rapid Fire: Superior Vena Cava Syndrome. Emergency Medicine Clinics of North America 2018;36(3):577–84.
- Khan UA, Shanholtz CB, McCurdy MT. Oncologic Mechanical Emergencies. Hematol Oncol Clin North Am 2017;31(6):927–40.
- Brzezniak C, Oronsky B, Carter CA, Thilagar B, Caroen S, Zeman K. Superior Vena Cava Syndrome in a Patient with Small-Cell Lung Cancer: A Case Report. Case Rep Oncol 2017;10(1):2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