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에게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그람 양성균은 6종류가 있고, 그 이외의 균들은 그람 음성이라는 것을 기억하자!
세균의 형태
- 기본 형태 3가지: 알균(cocci ), 막대균(bacilli), 나선균(spirilla)
- 세균 형태는 세균의 동정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 중 하나
Cf. 일부 세균은 형태가 불규칙한 다형태(pleomorphism) 양상
- 세균 배열: 하나씩 존재 혹은 둘 이상의 세포가 규칙적인 배열을 이룸(예: 쌍알균, 사슬알균).
주요 나선균
Vibrio속 라틴어 'Vibro'는 진동한다는 의미이다. 진동 → 물결친다. → 나선이라고 연결해서 생각하자.!!
Helicobacter속 그리스어 'helix'가 어원이다. Helicopter와 같은 어원을 가지고 있다.
Campylobacter 속 '활 모양으로 굽었다'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compylos'가 어원이다.
spirochete 속/leptospira속 그리스어 'speira'는 코일이라는 의미로서 영어 'spiral'의 어원이다. |
세균 구조
- 세균은 한 개의 세포로 구성
- 주요 구조물: 세포질, 세포질을 둘러싸고 있는 세포막/세포벽, 기타 구조물(협막, 편모, 섬모 등)
세포벽
- 모든 세균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견고한 구조물. 세포막 밖에 위치(cf. 자연적으로 세포벽이 없는 세균: mycoplasma 속, ureaplasma 속)
- 기능: 세균 형태 결정. 삼투압으로부터 세균세포 보호 → 세포벽이 제거되면 세포막만으로는 삼투압을 유지하지 못해 세균용해 발생
- 세포벽 구조와구성은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서 차이가 있다.
공통 구조물: Peptidoglycan
- 뼈대(두 종류의 6탄당(N -acetylglucosamine, N - acetylmuramic acid )이 교대로 이어짐) + 곁사슬(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
- 뼈대: 평행하게 존재. 한쪽 뼈대 곁사슬의 3번째 아미노산과 다른 쪽 뼈대 곁사슬의 4번째 아미노산을 연결하는 교차다리에 의해 상호 결합
- 교차다리(가교): 5개의 glycine으로 구성
- 곁사슬: 균종에 따라 구성하는 아미노산이 다르다.
peptidoglycan은 몇 개가 평행으로 달려 peptide의 부분에서 가교(crosslink)한다. 가교에는 peptide가 사용된다. 이렇게 되면, 꼬챙이 모양이었던 peptidoglycan이 집합체가 되어, 1장의 종이모양이 된다. 이 종이가 몇 장이고 포개져 두꺼운 벽이 된다.
그람양성균 vs. 그람음성균
- 그람염색에 의해 대부분의 세균은 양성균과 음성균으로 분류
- 그람염색 과정(4단계)
① Crystal violet 색소로 모든 균체가 보라색으로 염색된다. 요오드 용액 처리로 crystal violet-요오드 혼합물이 형성되어 염색 상태가 더 견고하게 유지된다.
② 아세톤 또는 에틸알코올 같은 유기용매는 그람 양성균과 비교하여 그람음성균을 선택적으로 더 잘 탈색시킨다.(그람양성균이 지방성분이 적고 두꺼운 Peptidoglycan층을 가진 데 비하여 그람음성균은 얇은 Peptidoglycan층을 가지는 구조적 차이 때문). 그람음성균은 무색으로 되지만, 양성균은 염색된 보라색을 유지
③ 적색 safranine 의 대조염색으로 탈색된 그람음성균은 다시 적색으로 염색되지만 탈색되지 않은 그람양성세균은 여전히 보라색으로 남게 된다.
Cf. 그람염색으로 구별할 수 없는 세균: mycobacteria, rickettsia, chlamydia, mycoplasma, spirochete
mycobacteria |
|
rickettsia |
|
chlamydia | |
Mycoplasma |
|
spirochete |
|
그람양성균 | 그람음성균 |
|
|
세포막
- 세포벽 안쪽, Peptidoglycan 층 바로 안쪽에 위치
- 진핵세포막과 유사한 이중지질막 구조(cf. 진핵세포막과는 다르게 원핵세포막은 sterol을 함유하지 않는다.)
- 기능: 분자 물질의 세포내 능동적 수송, 산화-인산화 작용에 의한 에너지 생산, 세포벽 전구물질의 생산, 효소와 독소의 분비 등
세포질
- 구성성분: 유전물질 복제, 단백 합성에 필요한 세포내 소기관
- 핵막(-): 진핵세포와 다른 점. 핵이 없는 구조 때문에 진핵 세포와 구별하여 원핵 세포라고 부른다.
- 염색체: 원형으로 된 이중가닥 DNA 하나로 구성
- 플라스미드: 염색체 이외의 유전물질. 여러 항생제에 대한 내성 유전자,세균 병원성인자 유전자 포함. 세균 접합을 통하여 복제된 플라스미드 유전체가 다른 세균에 전달
- 리보솜(단백 합성): 70S 리보솜(cf. 진핵 세포: 80S 리보솜)
Cf. 메소좀: 세포막의 일부가 세포질로 함입된 부위
기타 구조물
협막
- 세균체를 둘러싸고 있는 구조물. 다당체로 구성
- 종류: 비교적 치밀한 구조(협막, capsule), 느슨한 구조(당피질, glycocalyx ), 점질층(slime layer)
- 기능: 포식세포의 작용 억제 → 세균의 병원성에 기여(협막 보유 세균이 협막생산 능력을 상실할 경우 병원성이 사라진다.)
편모
- 세균이 이동하도록 회전운동을 하는 말채 모양의 부속기관
섬모
- 세포막에서 출발하여 세포벽 밖으로 뻗어 나온 부속기관. 주로 그람음성균에서 관찰된다.
- 종류(2가지)
- 보통섬모(common pili): 감염 첫 단계에 필요한 숙주 조직 부착 작용
- 성섬모(sex pili): 세균 접합 과정에서의 연결통로 역할
세균 아포
- 2종류의 그람 양성 막대균(Bacillus속, Clostridium 속)에서 형성
- '영양형'(보통 세균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상태)에서 세균이 살기 힘든 환경이 되면 '아포'로 변형
- 아포: 물리적 처리(열, 건조), 화학적 처리(산 등)에 대한 강한 내성. 대사 중단 및 증식 불가능 상태. 환경이 개선되면 다시 영양형으로 변환, 증식 재개
참고자료
- 대한감염학회. 감염학 개정판(2014). P295-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