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 열성질환: 쯔쯔가무시증(Tsutsugamushi disease)


목차

개요

  • 쯔쯔가무시병은 조기 진단 및 치료 시 합병증 없이 치료될 수 있으나, 효과적인 항생제 투여가 늦어짐에 따라 치명적인 합병증과 사망이 초래될 수 있다. 그러나 신속한 진단과 치료는 질병의 이환 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1. 정의

  • Orienta tsutsugamushi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2. 역학

매개충

  • 털진드기과 (Trombiculidae) 진드기 유충 (chigger)

 

전파경로

  • 감염된 진드기 유충에 물려 감염된다

 

잠복기

  • 8-11일

 

전염기간

  • 사람간 감염(-): 격리/소독 불필요
  • 털진드기 유충이 동물의 체액을 흡입하는 봄과 가을이 감염에 위험한 시기

 

사람의 감수성

  • 한번 이환되면 항체가 검출되며 약 2년 이내에 IgG 항체가 소실되므로 재감염 될 수 있다.

 

 

 

진단

1. 임상소견

  • 갑자기 시작되는 오한, 발열, 두통 -> 기침, 구토, 근육통, 복통, 인후염 → 발진/가피

 

가피(Eschar)형성

  •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발생한다.
  • 가피 부위(우리나라): 겨드랑이 (24.3%) > 세혜부 (9.3%) > 가슴(8.3%) > 배 > 등

 

발진

  • 발병 5일 이후 발진이 몸통에서 시작하여 손바닥과 발바닥을 제외하고 상, 하지로 퍼지는 양상을 보인다.
  • 소양감이 동반되지 않은 홍반 구진성 발진
  • 크기는 직경 3~5mm로 각 반점은 경계가 비교적 명확하고 병이 진행되어도 발진이 합쳐지는 경향은 보이지 않는다. 

 

특징적인 가피

이미지


2. 진단적 검사

혈청학적 검사

  • 현재까지 진단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진단법
  • 미세간접면역형광항체법(Indirect immunofluorescent antibody test, IFA): 급성기와 회복기 혈청에서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해 4배 이상 증가 또는 IgM 항체가 1:16 또는 IgG 항체가 1:256이상
  • 수동적혈구응집법(Passive hemagglutination assay, PHA): 급성기와 회복기 혈청에서 단일항체가가 1:320 이상
  •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 (Immuno Chromatographic Assay, ICA): 특이항체 확인

 

원인병원체 분리

  • 발병 초기에 채취된 환자의 혈액에서 균 분리

 

 

 

치료

1. 치료법

치료원칙

  • 환자 격리는 필요 없다.
  • 충분한 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항생제를 투여하여야 한다.

 

항생제 요법

  • O. tsutsugamushi는 혈관 내피 세포에 증식 후 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퍼져나가므로,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혈관내피세포나 백혈구, 대식세포(macrophage) 등 세포내 항생제 농도가 충분하여야 한다.

 

1차 항생제는?
  • Doxycycline: 100mg, 1일 2회 복용
  • Tetracycline: 25-20mg/kg/일
  • Chloramphenicol: 50mg/일, 4회 복용


치료기간: 
  • 중증이 아닐 경우: 5-7일 치료 혹은 해열이 되고 하루 더 투여(치료기간이 짧을 경우 재발이나 치료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Doxycycline이나 chloramphenicol에 내성인 경우
  • Azithromycin: 500mg 한번 투여
  • Telithromycin: 800mg 하루 한번 5일 투여
  • Rifampin: 600-900mg 7일간 투여

 

2. 예방법

  • 예방적 화학요법: 독시사이클린 200mg, 주1회 (권장하지는 않는다.)
  • 노출회피: 야회 활동 시에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풀숲에 앉는 것을 피해야 한다.
  • 밭일, 벌초 등 야외활동으로 진드기에 물리거나 작업 후 발열 증상을 보이면 빠른 시간 내에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참고자료

  • 질병관리본부. 2011년 가을철 열성질환 관리지침. 
  • 질병관리본부. 2012년 가을철 열성질환 관리지침. 
  • Kim DM. Clinical Features and Diagnosis of ScrubTyphus. Infection and Chemotherapy 2009;41(6):315–22. 
  • Sheehy TW, Hazlett D, Turk RE. Scrub typhus: a comparison of chloramphenicol and tetracycline in its treatment.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973;132(1):77. 
  • Jung MH, Kang JS. Treatment of tsutsugamushi disease. Korean J Med 2002;63:234–8.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