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정의
역학
병원소
전파경로
고위험군
잠복기
진단
임상소견
발열기 (3~5일)
저혈압기 (1~3일)
핍뇨기 (3~5일)
이뇨기 (7~14일)
회복기 (1~2개월)
진단적 검사
기본검사
혈청학적 검사
원인병원체 분리
치료
치료법
예방법: 사균백신 접종
개요
정의
- 한탄 바이러스 (Hantaan virus)와 서울 바이러스 (Seoul virus)등에 의한 급성발열성 질환
역학
병원소
- 설치류 (등줄쥐, 집쥐)
전파경로
- 감염된 설치류의 소변, 대변, 타액 등을 통하여 분비되는 바이러스를 흡입하여 감염된다.
고위험군
- 야외 활동이 많은 남자, 군인, 농부, 실험실 요원
잠복기
- 1-3주
진단
임상소견
- 특징적인 5단계의 임상 양상
발열기 (3~5일)
- 갑자기 시작하는 발열, 권태감, 심한 두통, 얼굴/몸통 발적, 결막충혈, 출혈반, 혈소판 감소, 단백뇨 등을 보인다.
저혈압기 (1~3일)
- 전신 증상이 지속되고 불안해 보이며, 심하면 착란, 섬망, 혼수 등 쇼크 증상을 보인다.
핍뇨기 (3~5일)
- 구역, 구토, 핍뇨, 질소혈증, 전해질 이상(K 증가), 고혈압 때로는 뇌부종으로 인한 경련, 폐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
이뇨기 (7~14일)
- 신기능이 회복되는 시기로 다량의 배뇨가 있어 심한 탈수, 쇼크 등으로 사망할 수 있다.
회복기 (1~2개월)
- 전신 쇠약감이나 근력감소 등이 있으나 서서히 회복된다.
- 점상 출혈: 90% 이상에서 관찰
진단적 검사
기본검사
- 소변 검사: 단백뇨(약 100%) → 신증후군출혈열을 의심하고 진단하는데 상당히 유용
혈청학적 검사
- 간접면역형광항체법 (Indirect Immuno Fluorescence Antibody Test, IFA)
- 급성기와 회복기 혈청에서 항체가가 4배 이상 증가
- 급성기 혈청에서 IgM항체 검출
- 단일항체가가 1:512 이상
-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ICA): 특이항체 확인
신증후군출혈열 환자의 상당수에서 초기에 패혈증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패혈증이 의심되는 경우(특히 가을철) 점상 출혈(액와부 점상 출혈,구강 내 출혈)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것
원인병원체 분리
- 발병 초기에 채취된 환자의 혈액 및 사망자의 병변조직에서 바이러스 분리
치료
치료법
- 사람간의 전파는 없으므로 격리시킬 필요는 없다.
- 현재까지 리바비린(ribavirin)을 제외하고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 병의 경과에 따라 대증요법을 실시한다.
예방법: 사균백신 접종
- 대상: 한탄바이러스에 오염된 환경에 자주 노출되거나 고위험군에 속하는 경우
- 방법: 백신 0.5ml를 한달 간격으로 2회, 피하 또는 근육내 주사 → 12개월 뒤 근육 또는 피하 1회 접종
참고자료
- 질병관리본부. 2011년 가을철 열성질환 관리지침.
- 질병관리본부. 2012년 가을철 열성질환 관리지침.
- 김동민. 가을철 열성 질환의 치료(증례중심으로). 대한내과학회지 2011;81(3):322–7.
- 김효욜. 신증후군 출혈열. Infection and Chemotherapy 2009;41(6):323–32.
- Lee J. Clinical features of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in Korea. Kidney international Supplement 1991;35:S88.
- Huggins JW, Hsiang CM, Cosgriff TM, et al. Prospective, double-blind, concurrent,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of intravenous ribavirin therapy of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1991;164(6):1119.
- Rusnak JM, Byrne WR, Chung KN, et al. Experience with intravenous ribavirin in the treatment of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in Korea. Antiviral Research 2009;81(1):6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