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알균(Staphylococcal)


목차
  • 그람염색에서 포도송이 모양의 그람양성 알균으로 관찰된다. 

 

 

 

분류

  1. coagulase 양성 포도알균: 황색포도알균(Stapylococcus aureus) 
  2. coagulase 음성 포도알균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CoNS): S.epidermidis

 

포도알균(Staphylococcus): 주요 병원성 종은 3가지 

균주

관련질환

Staphylococcus aureus

  • Exotoxin dependent
    1. Gastroenteritis(food poisoning)
    2. toxic shock syndrome
    3. Scalded skin syndrome
  • Direct invasion
    1. pneumonia
    2. meningitis
    3. osteomyelitis(in children)
    4. Acute bacterial endocarditis
    5. septic arthritis
    6. skin infection
    7. bacteremia/sepsis
    8. urinary tract infection

Staphylococcus Epidermidis

  • Nosocomial infection
    1. prosthetic joints
    2. prosthetic heart valves
    3. sepsis from intravenous lines
    4. urinary tract infection
  • Frequent skin contaminant in blood culture!

Staphylococcus saprophyticus

  • Urinary tract infections in sexually active women

 

 

 

황색포도알균(S. aureus) 감염 

황색포도알균 감염의 특징

황색포도알균 특징

  • 비강내 정상 상재균(일부 사람) 
  • 다양한 임상 양상: 균혈증, 여러 장기 침범 
  • 상대적으로 감염이 발생한 조직으로부터의 제거가 어렵다. (→ 적절한 항생제를 투여함에도 불구하고 균혈증이 지속되거나, 장기의 감염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ec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감염

  • MRSA 감염의 선택적 치료제인 glycopeptide 계열의 항생제 인 vancomcyin, teicoplanin 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된 균주가 증가하는 양상
  • MRSA 감염 양상변화: [과거] 주로 의료관련 감염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또는 병원 획득 감염(hospital-acquired infection 또는 nosocomial infection) 에 국한 → [현재]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MRSA 감염의 위험인자를 갖고 있지 않은 사람에게서 MRSA 감염(community-acquired MRSA infection) 발생

 

임상증상

  •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임상증후군(2가지 형태)
    1. 황색포도알균이 분비하는 독소에 의하여 매개되는 질환
    2. 황색포도알균의 일반적 병인 요인 (general virulence factors) 에 의하여 발생하는 감염

 

황색포도알균에 의하여 발생하는 2가지 형태의 임상증후군

일반적 병인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화농성 감염

독소 매개 질환

  • 균혈증
  • 심내막염
  • 카테터 관련 감염증
  •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
  • 골감염증
  • 폐렴
  • 요로감염증
  • 인체 내에서 독소가 생산되어 발생하는 질환
    • TSS(Toxic shock syndrome)
    • TEN(toxic epidermal necrosis)
  • 오염된 음식에서 생산된 독소에 의한 식중독

 

 

내성현황

  • 페니실린 내성
    • 임상에서 분리되는 황색포도알균의 90% 이상 
    • 내성기전: penicillinase를 생성하여 페니실린을 가수분해

 

효과적인 항생제

MSSA 

MRSA

  • 선택항균제: ① antistaphylococcal penicillins(nafcillin, oxacillin ), ② penicillinase-resistant penicillins
  • 균혈증이 없는 경우: narrow spectrum cephalo sporin(cefazolin) → 대체항생제 가능
  • 최근에는 vertebral osteomyelitis에서 broad spectrum cephalosporin인 ceftriaxone이 임상연구를 거쳐서 1차 약제로 추천되기도 하였다.

 

  • 선택항균제: glycopepide 계열(vancomycin, teicoplanin)
  • MRSA 감염의 경우 감수성을 보인다고 해서 clindamyc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flurozuinolone 등의 약제를 특히 단독으로 투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 사용 도중 내성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
  • 병합요법
    • Aminoglycoside 병합: 중증 감염에서 사용가능
    • rifampin 병합: 인공삽입물이 있는 경우에 반드시 사용
  • Vancomycin에 저하된 감수성을 보이는경우, vancomycin의 투여에도 감염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 → 다른 계열의 항균제 투여 시도

MSSA: methicillin sensitive S. aureus(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MRSA: methicillin resistant S. aureus(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참고자료

  • 대한감염학회. 감염학 개정판(2014). P345-361
  • Liu C, Bayer A, Cosgrove SE,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by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for the treatment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in adults and children. Clin Infect Dis 2011;52(3):e18-55.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