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분류
황색포도알균(S. aureus) 감염
황색포도알균 감염의 특징
황색포도알균 특징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ec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감염
임상증상
내성현황
효과적인 항생제
- 그람염색에서 포도송이 모양의 그람양성 알균으로 관찰된다.
분류
- coagulase 양성 포도알균: 황색포도알균(Stapylococcus aureus)
- coagulase 음성 포도알균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CoNS): S.epidermidis
포도알균(Staphylococcus): 주요 병원성 종은 3가지
균주 | 관련질환 |
Staphylococcus aureus |
|
Staphylococcus Epidermidis |
|
Staphylococcus saprophyticus |
|
황색포도알균(S. aureus) 감염
황색포도알균 감염의 특징
황색포도알균 특징
- 비강내 정상 상재균(일부 사람)
- 다양한 임상 양상: 균혈증, 여러 장기 침범
- 상대적으로 감염이 발생한 조직으로부터의 제거가 어렵다. (→ 적절한 항생제를 투여함에도 불구하고 균혈증이 지속되거나, 장기의 감염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ec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감염
- MRSA 감염의 선택적 치료제인 glycopeptide 계열의 항생제 인 vancomcyin, teicoplanin 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된 균주가 증가하는 양상
- MRSA 감염 양상변화: [과거] 주로 의료관련 감염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또는 병원 획득 감염(hospital-acquired infection 또는 nosocomial infection) 에 국한 → [현재]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MRSA 감염의 위험인자를 갖고 있지 않은 사람에게서 MRSA 감염(community-acquired MRSA infection) 발생
임상증상
-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임상증후군(2가지 형태)
- 황색포도알균이 분비하는 독소에 의하여 매개되는 질환
- 황색포도알균의 일반적 병인 요인 (general virulence factors) 에 의하여 발생하는 감염
황색포도알균에 의하여 발생하는 2가지 형태의 임상증후군
일반적 병인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화농성 감염 | 독소 매개 질환 |
|
|
내성현황
- 페니실린 내성
- 임상에서 분리되는 황색포도알균의 90% 이상
- 내성기전: penicillinase를 생성하여 페니실린을 가수분해
효과적인 항생제
MSSA | MRSA |
|
|
MSSA: methicillin sensitive S. aureus(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MRSA: methicillin resistant S. aureus(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참고자료
- 대한감염학회. 감염학 개정판(2014). P345-361
- Liu C, Bayer A, Cosgrove SE,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by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for the treatment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in adults and children. Clin Infect Dis 2011;52(3):e1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