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사슬알균 (Streptococci)의 특징
분류
β 용혈성을 보이는 사슬알균
β 용혈성을 보이지 않는 사슬알균
주요 사슬알균
A군 사슬알균
병원체 특성: S. pyogenes
임상증상
인두염
성홍열
피부연조직감염
심부연조직감염
폐렴/농흉
균혈증, 산욕기 패혈증
질염
항문주위 피부염
사슬알균 독성 쇼크 증후군
치료: 어떤 항생제를 쓸 것인가?
개요
사슬알균 (Streptococci)의 특징
- 쌍 또는 사슬모양의 그람양성 알균, catalase 음성, 통성혐기성균
- 보통 한천배지에서는 발육이 어렵고 혈액이나 혈청 등을 첨가한 배지에서 잘 발육한다.
- 포도당이나 다른 탄수화물을 분해하나 포도당을 분해하여 가스를 생성하지 않는다.
- 최소 25종 이상의 세포외 물질 및 효소를 생산
- 적혈구 용혈능력 → 사슬알균 분류의 중요한 기초
분류
- 만족할 만한 단일 분류방법이 없다.
- 분류기준: 혈액한천 배지에서의 집락형태, 용혈성, 세포벽 군 특이물질 (group-specific substance)의 혈청학적인 특이성, 생리 생화학적 검사 및 물리 화학적 인자에 대한 저항성 등
- 적혈구 용혈에 따른 분류
- β-용혈 사슬알균: 혈액 배지에서 자란 균 집락 부위가 완전 용혈되는 경우
- α-용혈 사슬알균: 부분용혈을 보이는 경우
- γ-용혈 사슬알균: 용혈을 보이지 않는 경우
β 용혈성을 보이는 사슬알균
- 세포벽에 있는 다당질의 항원성 (Lancefield carbohydrate C)에 의해 다시 세분화: 20가지 이상의 혈청학적군
- 군 특이 탄수화물: C-다당체 (C-polysaccharide)를 함유한 산 추출물은 군 특이 항혈청과 침강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에 의해 A~H 군 그리고 K~V 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Lancefield 분류).
β 용혈성을 보이지 않는 사슬알균
- 혈청학적으로 분류할 수 없는 균종, 생리 화학적 검사로 감별
β 용혈성을 보이지 않는 사슬알균의 감별
Species | Optochin susceptibility | Bile solubility | Bile esculin |
S. pneumoniae | (+) | (+) | (-) |
S. bovis | (-) | (-) | (+) |
Other viridans group streptococci | (-) | (-) | (-) |
주요 사슬알균
- 30여종: S. pyogenes 외 30여종
- 임상적으로 중요한 균종: S. pyogenes, S. pneumoniae
- 각 group의 대표적인 감염증은 다음 표와 같다.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주요 사슬알균 감염증
균종 | 군 특이물질 | 용혈성 | 서식처 | 주요질환 |
S. pyogenes | A | 베타 | 인후, 피부 | 인후염, 농가진, 류마티스열, 사구체신염 |
S. agalactiae | B | 베타 | Female genital tract | 신생아패혈증, 수막염 |
S. dysgalactiae subsp. Equisimillis | C, G | 베타(사람감염), 알파, none | 인후 | 인후염 |
S. pneumonia | None | 알파 | 인후 | 폐렴, 수막염, 심내막염 |
A군 사슬알균
병원체 특성: S. pyogenes
- 그람양성 알균, 사슬을 형성하면서 증식,, 산소 농도가 감소된 환경에서 더 잘 증식
임상증상
- S. pyogenes 에 의한 감염증은 주로 사람에게 인두염과 표피의 국소감염 (농피증)뿐만 아니라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류마티스열 및 급성사구체 신염등의 비화농성합병증을 일으키며, 또한 산욕열, 패혈성 성홍열, 균혈증, 단독등의 다양한 침습성 감염을 일으킨다.
S. pyogenes 와 연관된 질병
가장 흔한 질환(Most common) | 덜 흔한 질환(Less common) | 비화농성 합병증(Nonsuppurative sequelae) |
|
|
|
인두염
- A군 사슬알균 인두염: 삼출성 인두염의 20-40%를 차지
- 바이러스 인두염과 임상증상이 비슷: 사슬알균인두염을 가려내기 위한 임상기준 존재(Centor criteria, modified centor criteria)
성홍열
- 발열외독소를 생산하는 S. pyogenes 감염에 의한 질환
피부연조직감염
- 농가진(impetigo), 연조직염(cellulitis), 단독(erysipelas)
심부연조직감염
- 괴사근막염(necritizing fasciitis)
폐렴/농흉
- S. pyogenes 폐렴 환자의 1/2가 흉막삼출액 동반
균혈증, 산욕기 패혈증
- 합병증이 없는 인두염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음
- 연조직염이나 폐렴에 더 잘 동반되고, 괴사근막염이 있는 환자에서 상대적으로 호발
질염
- S. pyogenes에 의한 질염은 사춘기 전 여아에 흔하다.
항문주위 피부염
- 항문주위 사슬알균질환(perianal streptococcal disease)
- 경계가 명확. 소양증, 배변시 동통, 혈액이 동반되는 변, 항문주위 발적
사슬알균 독성 쇼크 증후군
- 포도알균 독성 쇼크 증후군과 비슷한 특징
치료: 어떤 항생제를 쓸 것인가?
- penicillin, cephalosporin에 높은 감수성을 보인다.
- erythromycin, clarithromycin, azithromycin, lincomycin, clindamycin에 감수성이 있다.
- Aminoglycoside, sulfonamide, choloramphenicol, tetracycline은 사슬알균 감염에 사용하지 않는다.
참고자료
- 대한감염학회. 감염학 개정판(2014). P363-388
- Lynskey NN, Lawrenson RA, Sriskandan S. New understandings in Streptococcus pyogenes. Curr Opin Infect Dis 2011;24(3):196–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