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람 음성균
gram (-) + 모양(cocci, coccobacilli, bacilli) | ||
▼ | ||
Gram (-) cocci |
| |
Gram (-) coccobacilli (pleomorphism) |
| |
Gram (-) bacilli : Glucose 발효 여부 및 oxidase 반응 여부로 구분 | 1. fermentative |
|
2. non-fermentative |
|
그람음성구균(gram negative cocci, GNC)
- N. gonorrhoeae, N. meningitidis가 대표적입니다.
- coccobacilli는 bacilli에서 같이 다루겠습니다.
genus | species | 관련질환 | 항생제 |
Neisseria | Neisseria meningitides(수막구균) |
※ 뇌수막염 + DIC + 부신부전 | 페니실린 G가 매우 효과적
|
Neisseria gonorrheae(임균) |
※ 요도염의 대표적인 균: 클라미디아와의 감별 중요. 그람 염색에서 균이 보이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 | ceftriaxone (cf. chlamydia: macrolide계) |
그람음성막대균(gram negative rod, GNR)(+coccobacilli)
균의 종류가 많기 때문에 무엇보다 큰 틀로 접근하는 게 중요한데요. 그람음성막대균을 큰 틀로 묶는 게 쉽지는 않습니다. 접근방식도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습니다.
일단 가장 중요한 세균을 꼽으라면 Enterobacteriaceae로 E. coli, K. pneumoniae 등 임상적으로 중요한 세균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 GI normal flora이거나 소화기질환을 유발하는 균
- 위장관 정상균무리에 속하는 세균: Enterobacteriaceae
- 호염성이고 위장관감염을 일으키는 세균: Vibrionaceae(V. cholerae, V. parahaemolyticus)
- 미산소성세균: campylobacteraceae(Campylobacter, Helicobacter)
- 호흡기감염(폐렴)과 연관된 세균: H. influenzae, M. catarrhalis, Legionella pneumophila
- 비발효(non-fermentative) 그람음성막대균: Pseudomonas, Acinetobacter
- 기타 그람음성막대균
cf. 성장이 까다로운 균: Legionella spp., Bordetella spp., Francisella tularensis, Brucella spp., Haemophilus spp.
cf. Gram (-) coccobacilli (pleomorphism): Legionella pneumophila, Haemophilus influenzae, Gardnerella vaginalis, Bordetella pertussis
GI normal flora이거나 소화기질환을 유발하는 균
- 위장관 정상균무리에 속하는 세균: Enterobacteriaceae
- 호염성이고 위장관감염을 일으키는 세균: Vibrio
- 미산소성세균: Campylobacter, Helicobacter
family | genus | species | 관련질환 | 항생제 |
Enterobacteriaceae | Escherichia | E. coli |
|
|
Klebsiella | K. pneumonia |
|
| |
Proteus | Proteus mirabilis |
|
| |
Shigella | Shigella dysenteriae |
|
| |
Salmonella | S. typhi/S. paratyphi |
|
| |
Non-typhi groups of salmonella |
|
| ||
Yersinia | Yersinia enterocolitica |
|
| |
Vibrionaceae | vibrio | V. cholerae |
|
|
V. parahaemolyticus |
|
| ||
V. vulnificus① |
|
| ||
campylobacteraceae | Campylobacter | Campylobacter: C. jejuni, C. fetus |
|
|
Helicobacter | Helicobacter pylori |
|
|
① V. vulnificu는 위장관 증상을 동반하기는 하지만 비브리오패혈증(특징적인 피부병변 동반)이나 창상감염 형태의 임상양상을 보인다.
호흡기감염(폐렴)과 연관된 세균
family | genus | species | 관련질환 | 항생제 |
Pasteurellaceae | hemophilus | H. influenzae①
|
※ 폐렴, 중이염, 부비동염, 뇌수막염, 급성 후두개염 ※ H. influenzae가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 S. pneumoniae, moraxella catarrhalis와 거의 비슷 |
|
Moraxellaceae | Moraxella | M. catarrhalis |
※ 중이염, 비부비동염의 3대 원인균(M. catairhalis, S. pneumoniae, Nonencapsulted H. influenza) ※ S. pneumoniae와 비슷한 것이 특징 |
|
Legionellaceae | Legionella | L. pneumophila |
| fluoroquinolone, macroides, doxycycline |
① H. influenzae의 항생제 감수성에 따른 분류
- BLPAS (β-Lactamase Producing Ampicillin Sensitive): ‘β-Lactamase를 생산하지만, ampicillin이 효과 있다.’
- BLPAR (β-Lactamase Producing Ampicillin Resistant): 'β-Lactamase를 생산함으로써 ampicillin에 내성을 나타낸다' → β-Lactamase inhibitor를 배합한 ampicillin/sulbactam이 효과 있다.
- BLNAS (β-Lactamase Non-producing Ampicillin Sensitive): ‘β-Lactamase를 생산하지 않으면서 ampicillin이 효과 있다.’
- BLNAR (β-Lactamase Non-producing Ampicillin Resistant): ‘β-Lactamase 는 생산하지 않는데, ampicillin이 효과 없다.’ → β-Lactamase 를 생산함으로써 내성을 획득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BLPAR과는 달리 ampicillin/sulbactam이 효과 없다.
※ 뇌수막염에서 ampicillin/sulbactam이 아니라 ceftriaxone인 이유
ceftriaxone + vancomycin (+ampicillin)
BLNAR이 있기 때문입니다! 뇌수막염 치료에서는 위의 조합 외에 그다지 좋은 선택지가 없습니다. BLNAR만 없었어도 ampicillin/sulbactam 가능
비발효(non-fermentative) 그람음성막대균
Pseudomonaceae | Pseudomonas. aeruginosa |
|
|
Moraxellaceae | Acinetobacter baumanii |
※ Acinetobacter 감염은 대체로 면역저하 환자와 외상 환자에게서 발생 |
※ 내성: aminopenicillin, ureidopenicillin, 1st/2nd cephalosporin, 3rd cephalosporin(cefotaxime, ceftriaxone), tetracyclcine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