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렙토스피라증은 가을철 열성질환에서 다루었습니다."
- Treponema pallidum이 주로 성접촉을 통해 사람 간에 전파되어 일으키는 만성 전신성 감염질환이다.
병원체
- Treponema pallidum (Spirochaetales 목, Spirochaetaceae과, Treponema 속)
cf. 인체 감염을 일으키는 Treponema 속에 속하는 다른 세균: T. pallidum subspecies perenue (yaws, 요스), T. pallidum subspecies endemicum (bejel, 베젤, 풍토성 매독), T. camteum (pinta, 열대백반피부염, 핀타)
임상양상
증상 및 징후
병기 | 임상소견 | |
1기 |
| |
2기 |
| |
| ||
잠복 |
| |
3기 | 심혈관매독 |
|
신경매독 |
| |
고무종(gumma) |
|
임상경과
진단
- 혈청검사(트레포네마검사 + 비트레포네마검사)
- 치료 전 반드시 비트레포네마 역가검사를 시행한 후 치료 후 역가변화로 추적관찰한다.
- 트레포네마검사는 매독감염 후 평생 양성으로 남으며, 매독 활성도와 관련이 없어 그 역가는 임상적으로 의미가 없다.
- 조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면 비트레포네마검사는 음성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하지만 치료가 늦은 경우 역가는 감소하지만 낮은 역가로 (<1:8) 지속될 수 있다.(serofast state)
트레포네마검사(TPHA/TPPA) | 비트레포네마검사(RPR/VDRL) | 비트레포네마검사 역가 | 해석 |
음성 | 음성 |
|
|
양성 | 양성 | 대개≥1:16 |
|
대개≤1:8 |
| ||
양성 | 음성 |
|
|
음성 | 양성 |
|
|
① 임신,예방접종, 급성심근경색, 열성감염질환, 마약접종자, 자가면역질환, 한센병, 만성B형/C형간염 등에서 위양성이 나타날 수 있다.
치료
병기 | 권장요법 | 대체요법 |
조기매독(1기, 2기, 조기잠복매독) |
|
|
후기잠복매독, 지속기간을 모르는 잠복매독, 심혈관매독 |
|
|
참고자료
- 질병관리본부/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성매개감염 진료지침. 2016.
- 질병관리본부/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성매개감염 진료지침 요약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