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병원체
C. perfringenes
C. botulinum
C. difficile
C. tetanii
임상양상
파상풍
보툴리즘
장질환
균혈증/Clostridium 패혈증
피부/연조직 감염
- Clostridium 균속: 202균종, 임상검체에서 분리되는 균종은 많지 않다.
- 이들 균주의 일부는 사람과 동물에서 병원성이며 특히 낮은 산화 환원력 (oxidation - reduction potential)의 상황에서 병원성일 때가 많다.
병원체
- Clostridium 속: 그람양성균, 포자 형성, 혐기균
- 대부분 catalase음성, 양성인 균주라도 약양성
- C. perfringenes > C. novyi, C. septicum
C. perfringenes
- 식중독, 괴사성 장염
C. botulinum
- 전 세계 토양과 해양에서 발견되며 알려진 세균독소 중 가장 강력한 독소인 신경독소를 생산 → 보툴리즘 유발
C. difficile
- 항생제 관련 대장염의 가장 중요한 원인균
C. tetanii
- 파상풍의 원인균, 색깔 없는 말단 아포가 있어 테니스채와 모양이 비슷
임상양상
- 파상풍, 보툴리즘, 기타(장질환, 균혈증, 피부 및 연조직감염)
파상풍
- 따로 기술
보툴리즘
- 음식매개성의 경우 음식을 섭취하고 나서 18-36시간 후에 발생한다.
- 대칭적인 하향성 마비, 호흡마비, 사망
- 구역, 구갈, 설사(±), 장마비, 심한 변비, 요정체
- 뇌신경장애: 주로 눈의 부교감신경 침범 → 안검하수, 동공반사 저하, 고정되거나 확장된 동공
- 발열(-), 감각저하(-), 의식저하(-)
- 구역반사 억제, 심건반사(정상, 감소)
- 위장관 증상이 없는 것을 제외하고 음식매개 보툴리즘과 유사
장질환
- 식중독: C. perfringens(식중독의 흔한 원인)
- 괴사성 장염: C. perfringens C형 균주에 의해 생성되는 β독소에 의해 발생
균혈증/Clostridium 패혈증
- 일시적인 균혈증: 위장관, 담도계, 자궁 등에 선행하는 병소를 가진 경우에 호발
- 악성질환자, 특히 위장관 병소로부터 생기는 경우: 급속히 치명적인 Clostridium 패혈증 유발가능, 가장 흔한 균주 C. septicum
- 화농성 조건에서 다른 혐기성 혹은 호기성 세균과 함께 혹은 단일 세균으로 분리
- 복강 내 패혈증, 농흉, 골반 내 농양, 피하농양, 가스괴저와 동반된 동상, 절단환자에서 기저부의 감염, 뇌농양, 전립선 농양, 항문 주위 농양, 결막염, 신세포성 종양의 감염, 대동맥 이식편의 감염 등
- 장천공으로 인한 복강 내 감염 환자
- 여성 생식기의 화농성 감염(난관난소 또는 골반농양)
피부/연조직 감염
- 피부 및 연조직의 국소 감염~근막염~가스괴저 (gas gangrene)
- 가스괴저
- C. perfringens 80%, C. novy/ C. septicum 20%
- 가스 형성과 전신독성을 동반하는 빠르고 광범위한 근육괴사
- Clostridium으로 오염된 상처에서 세균이 손상된 근육이나 연조직에 인접한 건강한 근육을 침범할 때 발생한다.
- 잠복기: 거의 3일 이하로 흔히 24시간 이내이다.
- 상처 부위의 갑작스런 통증으로 시작 (→ 연조직염의 확산과의 감별점)
- 일단 발생하면 통증은 점진적으로 심해지지만 감염된 부위에 국한되고 감염이 퍼지는 경우에만 통증의 범위도 넓어진다.
참고자료
- 대한감염학회. 감염학 개정판(2014). P425-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