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결핵이란?
원인 병원체
용어 정의
(활동성) 결핵 = (Active) Tuberculosis
폐결핵(Pulmonary TB) / 폐외결핵(Extrapulmonary TB, EPTB)
전염성 결핵 / 비전염성 결핵
잠복결핵감염(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
결핵이란?
원인 병원체
- 결핵균 복합체: 결핵균(M. tuberculosis), 소결핵균(M. bovis), M. caprae, 아프리카 결핵균(M. africanum), 쥐결핵균(M. microti), M. canettii, M. pinnipedii
- 결핵균(M. tuberculosis): 가장 흔하고 중요한 균
- 항산균(Acid-fast bacilli; AFB)
- Mycobacterium 속이 가지는 특징
- 그람 염색에서 흔히 중성을 나타내지만 염색되면 산성 알코올에 의해 탈색되지 않는 특징
용어 정의
(활동성) 결핵 = (Active) Tuberculosis
: 결핵균이 증식 등 활동을 하면서 몸에 병변을 일으키는 상태로, 아래의 두 가지 경우에
따라 진단
- 세균학적으로 확진된 결핵 (A bacteriologically confirmed TB): 객담 또는 기관지세척액 등 ‘인체유래물’에 대한 항산균 도말, 배양 또는 결핵균 핵산증폭검사(PCR, Xpert MTB/RIF 포함) 결과 양성인 결핵
- 임상적으로 진단된 결핵 (A clinically diagnosed TB): 세균학적으로 확진되지는 않았지만 증상, 영상의학 검사[흉부 X선 검사 또는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CT) 등], 조직학적 검사 등에 의해 주치의가 활동성 결핵으로 진단하고 항결핵제를 투여하기 시작한 경우
폐결핵(Pulmonary TB) / 폐외결핵(Extrapulmonary TB, EPTB)
폐결핵 | 폐외결핵 |
|
|
전염성 결핵 / 비전염성 결핵
전염성 결핵 | 비전염성 결핵 |
|
|
잠복결핵감염(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
- 결핵균에 감염되어 체내에 소수의 살아있는 균이 존재하나
- 임상적으로 결핵 증상이 없고
- 균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타인에게 전파되지 않으며
- 객담 항산균 검사와 흉부 X선 검사에서 정상인 경우
참고자료
- 대한감염학회. 감염학 2판(2014). P621-622
-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국가결핵관리지침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