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병원체: 단순포진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HSV):
임상양상
급성 구강 인두 감염(Acute oropharyngeal infection)
입술헤르페스(Herpes labialis)
피부 감염(cutaneous infection)
생식기 헤르페스(Genital herpes)
눈 감염(Ocular infection)
중추신경계 감염
장기 감염(Visceral infection)
면역저하자 감염
신생아 감염
진단
Tzanck test
혈청학적 검사
배양
PCR
치료
피부 점막 감염
치은구내염
재발 입술 헤르페스
Herpetic whitlow
eczema herpeticum
생식기 감염
최초발현 성기단순포진
입원이 필요한 심한 원발성 성기단순포진
재발성 성기단순포진
재발성 성기단순포진의 항바이러스제 억제요법①
중추 신경계 감염
면역저하자 감염
신생아 감염
병원체: 단순포진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HSV):
- 피막형 이중 나선 DNA바이러스, Herpesviridae과, α-헤르페스바이러스
- 1형과 2형으로 분류
HSV-1 | HSV-2 |
|
|
임상양상
- 감염 부위와 숙주의 면역 상태 및 원발 감염 또는 재발 감염인지에 따라 다양한 질환 유발
- 주요 부위: 피부, 눈, 구강 점막, 생식기 등
- 다양한 중증도: 무증상(대부분) ~ 경한 질환(경한 피부 점막 질환: 홍반±수포) ~ 치명적인 감염(신생아나 면역기능 저하자)
- 임상 증상과 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나이, 침범 부위, 면역 상태, 바이러스 형, 일차 감염 혹은 재발 감염
- 전형적인 소견
- 피부의 수포, 얕은 궤양
- 홍반으로 둘러싸인 2-4 mm 크기의 수포가 무리를 지어 발생 → 수일이 지나면 궤양이 된다.
1차 감염(primary infection) | ▶ | 재활성화(reactivation) |
|
|
|
급성 구강 인두 감염(Acute oropharyngeal infection)
- 1차 감염의 형태로 발현
- 치은구내염(gingivostomatitis)
- 인두염(pharyngitis)
입술헤르페스(Herpes labialis)
- 1형 단순포진 바이러스에 의한 재발 감염 중 가장 흔한 형태
피부 감염(cutaneous infection)
- 피부감염
- Herpetic whitlow
생식기 헤르페스(Genital herpes)
- 성경험이 있는 청소년 또는 젊은 성인에서 주로 발생
- 대부분 무증상(약 90%), 2형과 1형 모두 발생 가능
- 생식기관 부위에 물집 및 궤양의 가장 흔한 원인! [단순포진 > 일차 매독 > 연성하감(chancroid)]
- 특징: painful, multiple, small grouped vesicle & ulcers → 며칠내에 파열되어 까짐을 형성
- 동일 부위에 자주 재발하는 경향
- 일차감염: 통증, 가려움증, 배뇨곤란, 분비물 등의 증상을 동반한 피부 병변이 2~4주 정도 지속
- 이차감염: 피부 병변의 범위가 작고 1~2주 내에 자연 치유됨
눈 감염(Ocular infection)
- 결막 또는 각막에 일차와 재발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 결막염, 각결막염
- 망막염: 신생아나 면역저하자
중추신경계 감염
- Herpes encephalitis : HSV-1이 대부분(95% 이상)
- 갑작스러운 발열, focal neurologic sx 이 발생
- CSF 의 HSV DNA PCR 로 진단함
- 치료는 acyclovir, valacyclovir, famciclovir
장기 감염(Visceral infection)
- 바이러스가 혈류를 침투하여 여러 장기에 감염 유발
- 주로 식도(식도염), 폐(폐렴), 간(간염) 침범
면역저하자 감염
- 심한 면역 결핍 환자, 선천 또는 후천 면역 결핍증, 장기 이식 환자,면역 억제 치료
- 점막염, 식도염, 폐렴(rare)
- 파종감염 발생시 사망가능(패혈증 -> 간/부신 침범 → 사망)
신생아 감염
- 자궁 내, 분만 중 또는 출생 후에 발생가능: 단순포진 신생아 감염은 대부분 분만 중 산도를 통과할 때 이루어진다.
- 신생아 감염의 위험은 산모가 일차 생식기 감염일 때 (>30%)가 재발 감염 때(< 2%) 보다 더 높다.
- 1형과 2형 모두 가능(주로 2형, 약 75%)
- 무증상 감염은 없다.
- 분만 중/분만 후 감염은 다음 세 가지 형태 중 하나로 발현
- 1) 피부, 눈, 입의 국소감염; 2) 중추신경계 감염; 3) 파종 감염
진단
- Tzanck preparation
- 임상 증상과 검사를 통하여 진단가능
- 확진 검사: 바이러스 배양 또는 PCR을 통한 바이러스 DNA 검출법
Tzanck test
- 수포의 바닥을 긁어 특수 염색하여 세포변화를 관찰하는 조직 검사
- 단점: 민감도가 낮고 대상포진 바이러스와 구별할 수 없다.
혈청학적 검사
- 혈청 IgM 검사: 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
- 혈청 IgG 항체: 급성기에 비하여 회복기에 4배 이상 상승하면 진단가능
- 혈청 검사는 신생아 감염 진단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배양
- 세포배양을 통한 바이러스 배양이 표준검사
- 숙주의 면역 상태, 발병 형태에 따라 민감도가 다르다.
PCR
- PCR를 통한 바이러스 DNA 검출
-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으며 빠른 진단이 가능하다.
치료
- 항바이러스제
- 기전: 바이러스 DNA polymerase 억제
- 경구 약제: acyclovir, valacylclovir, famciclovir, 주사제: Acyclovir
- foscarnet: Acyclovir 내성 바이러스 치료
- 안약: 1% trifluridine, 0.1% iododeoxyurine, 3% vidarabine
피부 점막 감염
치은구내염
- 발생 72시간 이내에 acyclovir 투여[15 mg/kg, 하루 5회(최대 1g ), 7일]
재발 입술 헤르페스
- 수포가 발생하기 전에 전구 증상이 있을 때 famciclovir (1,500mg 1회), valacydovir (2,000mg 하루 2회 , 1일) 투여, Acyclovir 연고
Herpetic whitlow
- 초기에 acyclovir(200 mg 하루 5희 또는 400 mg 하루 3회), 7-10 일
eczema herpeticum
- acyclovir 200 mg, 하루 5회, 5일간 복용, 증상이 심한 경우 acyclovir 주사치료
생식기 감염
최초발현 성기단순포진
- Valacyclovir 1g 1일 2회 경구 7일-10일 요법
- Famciclovir 250mg 1일 3회 경구 7-10일 요법
- Acyclovir 400mg 1일 3회 경구 7-10일 요법
- Acyclovir 200mg 1일 5회 경구 7-10일 요법
입원이 필요한 심한 원발성 성기단순포진
- acyclovir 5-10mg/kg을 매 8시간 간격으로 60분 이상에 걸쳐 정맥주사
- 투여기간: 2~7일간 또는 실질적인 증세 호전이 있을 때까지투여
- 정맥주사 기간이 끝난 후에는 경구요법을 총 치료기간 10일 이상 지속
재발성 성기단순포진
- Valacyclovir 500mg 1일 2회 경구 5일 요법
- Valacyclovir 1g 1일 1회 경구 5일 요법
- Famciclovir 125mg 1일 2회 경구 5일 요법
- Acyclovir 400mg 1일 3회 경구 5일 요법
- Acyclovir 800mg 1일 3회 경구 2일 요법
재발성 성기단순포진의 항바이러스제 억제요법①
- Valacyclovir 500mg 1일 1회 경구요법 (1년에 9회 이하 재발하는 경우)
- Valacyclovir 1000mg 1일 1회 경구요법 (1년에 10회 이상 재발하는 경우)
- Famciclovir 250mg 1일 2회 경구요법
- Acyclovir 400mg 1일 2회 경구요법
① 억제요법에 대한 안전성과 효과가 입증된 항바이러스제 투여기간은 다음과 같다. Valacyclovir 1년 / Famciclovir 4개월 / Acyclovir 6년
중추 신경계 감염
- 신생아기 이후에 발생한 뇌염: acyclovir 10 mg/kg, IV, q 8hrs, 14-21 일
면역저하자 감염
- 심한 피부 점막 감염 또는 파종 감염: acyclovir 5-10 mg/kg을 8시간마다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투여
- 심하지 않은 감염: 경구용 acyclovir, valacylclovir, famciclovir
- 면역저하자에서 acyclovir에 대한 내성이 발생하여 통상적인 항바이러스제에 반응하지 않으면 foscarnet을 사용한다.
신생아 감염
-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거나 확진된 모든 신생아의 경우: 고용량 acyclovir (20 mg/kg, 하루 3회)를 즉시 주사
- 투여 기간: 피부, 눈, 입에 국한된 감염(14일), 뇌염/파종 감염(최소 21일)
참고자료
- 대한감염학회. 감염학 개정판(2014). P761-773
- 질병관리본부/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성매개감염 진료지침.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