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정의
- Rabies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뇌염 신경 증상 등 중추신경계 이상을 일으켜 ,발병 시 대부분 사망하는 대표적인 인수공통질환
- 사람의 경우 공수병(현재제3군 법정감염병); 동물의 경우 광견병(제2종 법정가축전염병)
발병 기전
병원체 |
|
↓ |
|
감염원 |
|
↓ |
|
감염경로 |
|
↓ |
|
발병기전 | 공수병
광견병
|
임상 양상
잠복기
- 평균 3-8주(사람마다 매우 다양; 수일 ~ 수년)
- 잠복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교상을 입은 정도, 부위, 교상 부위에 분포된 신경 종말부의 숫자, 감수성
- 보통 머리 가까운 부위를 물리면 짧아진다.(뇌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단축되고 이동 방식이 척수를 거치지 않고 안면 혹은 두부의 뇌신경을 통해 직접 침입하기 때문)
- 무증상. 바이러스 배출(-)
임상 증상
전구기 |
|
↓ |
|
급성 신경질환기 |
격노형 공수병(뇌염형 공수병)
마비형 공수병
|
진단
- 전 세계적으로 공수병 발병 전에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음
- 실험실에서 수행하는 검사는 대부분 발병 후 확진을 하거나 또는 백신접종자의 중화항체가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 방법
검사분류 | 검사종류 | 검체 |
항체검사 | 신속형광응집 억제시험법(RFFIT) | 백신접종자의 혈청 및 뇌척수액 |
항원검사 | 면역형광 항체법 | 뇌조직, 피부조직 |
면역조직 화학염색법 | 뇌조직, 피부조직 | |
유전자검사 | 역전사효소연쇄반응법(RT-PCR) | 타액, 피부조직 |
배양검사 | 바이러스 분리 | 타액, 뇌척수액, 중추신경계 조직 |
치료
상처 소독
- 교상자: 모든 교상환자는 교상을 당한 직후 최소 15분 이내에 소독비누(소독비누가 없을 경우 일반비누)를 사용하여 상처를 충분히 세척해야 함
- 의료기관
-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소독제로 충분히 소독해야 함
- 임상적 상황에 따라 파상풍 예방에 대한 치료가 필요함
- 상처를 바로 봉합하는 것은 감염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상처가 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급적 봉합을 하지 않는 것이 좋음
- 봉합이 꼭 필요할 경우에는 상처 주위에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한 후 느슨하게 봉합하여 혈액이나 조직 삼출물이 쉽게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해야 함
교상 후 치료
면역력이 없는 교상환자
- 사전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 중 교상을 유발한 동물이 야생동물이거나 가축의 경우 유기견 등 교상을 유발한 동물을 관찰할 수 없는 경우 → 노출 후 치료 시행
- 단 동물의 상태를 평가하기 어려운 경우 등 역학적 임상적 필요성에 따라 노출 후 치료 여부를 결정
- 치료방법
구분 | 백신 | 면역글로불린 |
투여일 |
|
|
투여량 |
|
|
투여방법 |
|
|
면역력이 있는 교상환자
- 면역력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①
- 과거 예방접종을 받았고 정기적으로 추가 접종을 받아 중화항체가가 0.5 IU/ml 이상 유지되고 있는 경우
- 과거 교상 후 치료를 적절히 받고 5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 치료방법②
① 이 외의 경우에는 면역력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면역력이 없는 교상환자에 준하여 치료함
② 면역글로불린의 투여는 필요없음
구분 | 백신 |
투여일 |
|
투여량 |
|
투여방법 |
|
비교상 접촉자에 대한 치료
- 국내에서는 비교상에 의한 공수병 발생 사례가 확인된 바 없으나 외국 사례 등으로 볼 때 비교상에 의한 전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노출 등급 | 노출상황 및 접촉동물의 상태 | 필요한 노출 후 치료 |
I |
|
|
II |
|
|
III |
|
|
참고자료
-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2016년도 공수병 관리지침
- Park J-S, Han M-G. General Features and Post-Exposure Prophylaxis of Rabies. Infection and Chemotherapy 2009;42(1):6.
- Use of a Reduced (4-Dose) Vaccine Schedule for Postexposure Prophylaxis to Prevent Human Rabies [Internet]. [cited 2016 Dec 30];Available from: https://www.cdc.gov/mmwr/preview/mmwrhtml/rr5902a1.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