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임상양상
- 잠복기와 증상기로 분류할 수 있다.
| 잠복기 | 증상기 |
삼일열 말라리아 |
|
|
난형열원충 말라리아 |
|
|
사일열원충말라리아 |
|
|
열대열원충 말라리아 |
|
|
병력
- 경기 북부, 강원도, 인천광역시의 위험지역에 거주하거나 방문 병력이 있는 경우 의심
- 해외 말라리아 유행지로의 여행 경력이 있는 경우 의심: 해외여행자는 여행 기간을 명확히 청취하고 말라리아의 잠복기를 고려하여 의심자로 확정
실험실 검사
- 혈액 도말검사로 말라리아 원충 확인
- 검체(혈액 등)에서 말라리아 유전자 검출
혈액도말검사
- 급성기: 하루에 3매씩 3일간 검경하여 원충이 관찰되지 않으면 음성으로 판정. 급성기에는 발열 직전과 직후에 말초 혈액으로 검사하는 것이 원충을 검출할 확률이 높음
- 만성기: 1주일에 1매씩 8주간 검경하여 원충이 관찰되지 않으면 음성으로 판정
삼일열 말라리아의 말초혈액도말검사 소견①
| 박층도말(thin smear) | 후층도말(thick smear) |
윤상체(ring form) | 다른 열원충보다 다소 큰 편 | |
영양형(trophozoite) | 아메바 모양으로 불규칙한 경우가 많다. | |
분열체(schizont) | 분열체 내에 분열소체(merozoite)는 12~24개(평균 20~24개) | |
생식모세포(gametocyte) | RBC보다 큼 | |
① 정상 적혈구보다 감염된 적혈구가 커지고 희게(pale) 보이며 감염된 적혈구 내에 붉은 반점(Schuffner’s dot)들이 보임. 하나의 적혈구에 여러 마리의 충체가 들어 있는 경우는 열대열 원충보다 비교적 드문 편임
그 외 검사방법
종류 | 검사법 | 검출가능 말라리아종 | 특징 |
말라리아 유전자 검출법 | |||
이중 중합효소연쇄반응법(nested PCR) |
|
|
|
등온유전자증폭법(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assay, LAMP) |
|
|
|
말라리아 항원 검출법: RDT (Rapid Diagnostic Test : 신속진단키트) |
|
|
|
말라리아 혈청학적 진단법: ELISA (IgG, IgM, IgA 검출) |
|
|
|
① 도서지역 등 현미경 검경이 용이하지 않는 경우에 말라리아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의사의 판단 하에 신속진단키트에 의해서 확진 가능
참고자료
-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2016년 말라리아 관리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