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토착 기생충질환
조직 기생충
개회충중(toxocariasis)
개요
임상양상
치료
유구낭미충(Taenia solium metacestode)/유구낭미충증(cysticercosis)
개요
임상양상
치료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폐흡충증(paragonimiasis)
개요
임상양상
폐증상
이소기생
진단
치료
스파르가눔증(고충, plerocercoid of Spirometra erinacei) / 고충증(sparganosis)
개요
임상양상/진단
치료
선모충(Trichinella spiralis)/선모충증(trichinellosis/trichinosis)
개요
임상양상/ 진단
치료
톡소포자충(Toxoplasma gondii)
개요
임상양상/ 진단
선천성 톡소포자충증
후천성 톡소포자충증
면역장애에서의 톡소포자충증
안톡소포자충증
치료
자유생활아메바(free-living amoeba)/자유생활아메바증(free-living amoebiasis)
개요
임상양상/ 진단
치료
장 내 기생충
회충(Ascaris lumbricoides), 편충(Trichuris trichiura)
개요
임상양상
치료
요충(Enterobius vermicularis)
개요
임상양상/진단
치료
고래회충유충증(Anisakiasis)
개요
임상양상
치료
간흡충증
개요
임상양상
치료
장흡충(Intestinal trematodes)/장흡충증
개요
임상양상
치료
이질아메바(Entamoeba histolytica), 람블편모충(Giardia labmlia), 작은와포자충(Cryptosporidium parvum)
개요
임상양상
치료
질편모충(Trichomonas vaginalis)
개요
임상양상
치료
혈액 내 기생충
절지동물
머릿니(Pediculus humanus capitis), 사면발이(Phthiriasis pubis)
개요
임상양상
머릿니
사면발이
치료
머릿니
사면발이
옴(scabies)/옴진드기(Sarcoptes scabiei)
개요
임상양상
치료
토착 기생충질환
- 기생충 체내 감염 부위에 따라 조직내 기생충, 장 내 기생충, 혈액 내 기생충, 절지동물 등으로 분류
- 조직 내 기생충:진단기법의 발달에 따라 발견증가. 진료현장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다.
- 장 내 기생충:1990년대 후반부터 급격하게 감소
- 혈액 내 기생충:말라리아
- 절지동물 감염:머릿니(Pediculus humanus capitis), 옴진드기(Sarcoptes scabiei)
조직 기생충
개회충중(toxocariasis)
개요
- 개회충(Toxocara canis), 고양이회충(T. cati) → 충란이 우연히 공기나 음식을 통하여 체내로 유입 → 장 내에서 유충 부화 → 간, 폐를 지나, 눈이나, 뇌 등 여러 장기에 침범 → 호산구 육아종 유발
임상양상
- 호발대상:어린이
- 대부분 무증상 혹은 가벼운 증상
- 주로 아토피(atopy) 성향이 있는 경우에 임상 증상 발현
- 가슴 X-ray 사진에서 나타나는 음영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 눈에 감염된 경우:시력장애 → 안과진료에서 발견
치료
- 호산구증이 동반되고 음영이 공간점유병터(space occupying lesion)가 아니고 특별한 증상이 없다면 관찰만으로 충분
- 치료가 필요한 경우:눈이나 기타 장기에 병변을 일으킨 경우; albendazole, 스테로이드(충체가 사멸하면서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
유구낭미충(Taenia solium metacestode)/유구낭미충증(cysticercosis)
개요
- 조직 내 기생하는 연충증(helminthiasis)
임상양상
- 국내에서 거의 사라짐
치료
- 수술적 치료
- 약물치료:praziquantel, albendazole
- praziquantel:뇌-혈관 장벽(blood brain barrier)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뇌실(cerebral ventricle)에 기생하는 경우 효과↓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폐흡충증(paragonimiasis)
개요
- 조직 내 기생하는 연충증(helminthiasis)
임상양상
폐증상
- 기침, 객혈, 흉통 등 → 폐결핵과 유사한 양상
- 폐결절:충낭에 의한 결절양상 → 폐암과의 감별 필요
- 늑막염:충체가 흉강과 폐를 수 차례 드나들면서 발생, 늑막강 내 삼줄액, 폐기흉(pneumothorax) 유발가능
이소기생
- 침범된 장기에 따라서 염증반응이나 충낭 덩어리에 의하여 다양한 증상 발현
- 복강:대망(omentum), 장간 막, 간, 비장,자궁,난소,전립선,부고환 등
- 피하조직
- 척수, 뇌, 안구 등 → 두통, 발작, 뇌강내 출혈 등
진단
- 폐 감염을 폐결핵, 폐암과 감별하는 것이 가장 중요!!
- 충란 분리:가래 또는 대변, 특징적인 충란 관찰
- 혈청검사:훨씬 유용
치료
- praziquantel, 25 mg/kg씩 3회, 2~3일 → 쉽게 완치 가능
스파르가눔증(고충, plerocercoid of Spirometra erinacei) / 고충증(sparganosis)
개요
- 조직 내 기생하는 연충증(helminthiasis)
임상양상/진단
- 주로 뱀, 개구리, 돼지고기 생식에 의해 감염, 산에서 시냇물을 마실 때 원미충(procercoid)에 감염된 물벼룩 섭취에 의해 감염가능
- 가장 흔한 침범 부위:피하조직 → 이동성 피하결절 on 복벽, 음낭, 하지, 흉벽, 유방(여성)
- 기타 침범 조직:안구, 뇌, 척수 등
- 뇌를 침범한 경우:두통, 발작, 감각이상(paresthesis), 편마비가 젊은이에서 나타나는 것이 특징
- Interval CT/MRI:증강되는 결절의 이동
- 병소에서 충체 제거:진단 및 치료
치료
- 외과적 적출법이 유일하고 확실한 치료법
- praziquantel 고용량 요법 시도 중
선모충(Trichinella spiralis)/선모충증(trichinellosis/trichinosis)
개요
- 식품 매개성 감염(food-borne parasite disease)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기생충
임상양상/ 진단
- 유충이 감염된 동물 고기(돼지, 곰, 오소리 등)를 덜 익혀 먹을 경우 감염
- 야생동물 생식 후 3-14일 뒤에 고열, 안면과 눈주위 부종, 근육통
- 검사소견:호산구증가증, lactate dehydrogenase↑, creatine phosphokinase↑
- ELISA 검사:혈청 특이 IgG 상승
- 확진:장딴지근(gastro-cnemius) 생검 → 충체발견
치료
- Albendazole; 스테로이드(염증 반응이 심할 경우)
톡소포자충(Toxoplasma gondii)
개요
- 대표적인 ‘기회감염성 병원체(opportunistic pathogens)’
임상양상/ 진단
- 다양한 임상양상
- 면역기능 정상:자각증상이 없거나 림프절병증, 발열, 두통, 오한 등의 미미한 증상 발현
- 면역기능 저하:심각한 증상, 합병증 유발
선천성 톡소포자충증
- 산모가 임신 중에 1차적 급성 획득감염(흔히 무증상)되었을 경우에 발생
후천성 톡소포자충증
- 정상인이 감염되었을 경우 대부분 무증상
면역장애에서의 톡소포자충증
-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감염, 악성종양, 종양 치료제 복용, 방사선에 의한 세포독성 작용, 장기간 부신피질호르몬제 사용, 장기이식거부 반응 예방약 투여, 고령, 심한 영양결핍 등
안톡소포자충증
- 망막맥락막염 원인의 약 35%
- 다른 검사가 음성이고 톡소포자충 항체가가 높게 나타나거나 충체를 검출하였을 때 확진가능
치료
- 정상 면역을 가진 경우:심한 증상이 지속되지 않는 한 대부분 치료 불필요
- 치료가 필요한 경우:선천 감염 신생아, 임산 초기에 급성 톡소포자충증을 가진 임산부, 면역장애가 있는 경우
- 치료제:pyrimethamin[200 mg qd → 50 mg (<60 kg) 또는 75 mg (>60 kg) qd]+ sulfadiazine[1 g/kg (<60 kg) 또는 1.5 g/kg (>60 kg) qid], 증상 회복 정도에 따라 2-4주간 투여
- 임신 중:spiramycin → 태아 감염은 줄일 수 있지만 병세를 약화시키지는 못함
- 눈 감염:항생제, corticosteroid
자유생활아메바(free-living amoeba)/자유생활아메바증(free-living amoebiasis)
개요
- 자유아메바속(Naegleria spp.), 가시아메바속(Acanth-amoeba spp.) → 자유생활아메바증(free-living amoebiasis) 유발
가시아메바 | 자유아메바 |
|
|
임상양상/ 진단
- 가시아메바:육아종성 아메바뇌염, 아메바 각막염, 피부염 등
- 자유아메바:원발성 아메바수막뇌염(primary amoebic meningoencephalitis, PAM) - 기저질환이 없는 건강한 젊은 사람에게 주로 발생, 매우 빠른 경과, 거의 대부분 사망
치료
- 소독제 점안:biguanider계 소독제(chlorhexidine) → 유일하게 가시아메바 포낭을 사멸시킬 수 있는 약제
- 국소 스테로이드제:각막 염증과 같은 합병증이 있을 경우
장 내 기생충
회충(Ascaris lumbricoides), 편충(Trichuris trichiura)
개요
- 회충:거의 없음, 편충:종종 발견
임상양상
- 회충:
- 경한 감염:성충이 소장 내에 기생하는 경우, 대개 무증상
- 중한 감염:복통,구토,구역, 설사 등, 충체들이 서로 뭉쳐 큰 덩어리를 형성하여 기계적인 장폐색 유발가능
- 장외 회충증:침범한 장기에 따른 증상; 담도를 침입한 경우:담도염, 담낭염, 간농양 등; 충수돌기에 들어간 경우:충수돌기염
- 편충:양성률은 높은 편이지만 대개 증상이 없어 대장 내시경을 할 때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
치료
- Albendazole 400 mg 1회, mebendazole 500 mg 1회
요충(Enterobius vermicularis)
개요
- 인체에 감염되는 가장 흔한 접촉감염성 연충
임상양상/진단
- 집단 생활하는 어린이에서 발생
- 산란된 충란(항문 주위, 주변환경에 존재) → 항문을 긁거나, 오염된 침구, 잠옷, 가구 등을 만질 때, 또는 충란이 먼지에 섞여 다른 사람의 입을 통해 감염
- 항문 소양증, 불면증, 소화기 장애, 신경 증상, 정서적 불안, 수음, 빈뇨, 야뇨증 등
- 진단:항문주위도말법
치료
- 치료 원칙:요충은 재감염이 잘 되고 장내에 있는 어린 요충은 현재 시판되는 구충제로 잘 제거되지 않는다.
- 전 가족 또는 전 구성원의 개인 위생 및 환경위생을 철저히 하여 재감염원인 충란을 제거
- 전 구성원이 동시에 구충제를 복용할 것
- 3주 간격으로 3회 이상 반복치료할
- 치료제:① Mebendazole:1회 100 mg, ② pyrantel pamoate:10 mg/kg
고래회충유충증(Anisakiasis)
개요
- 고래회충유충증(anisakiasis)이란? 해산 포유동물에 기생하는 회충류의 제 3기 유충이 해산 어류 또는 두족류를 통하여 인체에 감염되어 위장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것을 통칭
- 병원체:Family Anisakidae 에 속하는 회충의 제 3기 유충 ① 고래회충(Anisakis simplex)의 유충(Anisakis type I); ② 향유고래회중(Anisakis physeteris) 유충(Anisakis type II); ③ 물개회충(Pseudoferranova decipiens) 유충(Terranova type A)
- 감염경로:해산물 생식으로 감염
임상양상
- 해산물 생식 후 24시간 이내 고래회충 유충이 위점막이나 장점막을 파고 들어 심한 복통, 구토, 설사 유발
치료
- 위내시경:진단 및 치료
간흡충증
개요
- 병원체
- Clonorchis sinesis(우리나라), Opisthorchis felineus, O. sinensis
- 전파:민물고기(붕어, 잉어, 참붕어)를 회 또는 덜 익혀먹어서 감염
- 간흡충(Clonorchis sinenssis):장내 기생충 가운데 가장 양성률이 높은 충체
- 담도상피암과 밀접한 연관
임상양상
- 비특이적, 증상 발현 여부와 정도는 감염된 충체의 수와 기간에 비례
- 급성:담관염(cholangitis) → 비특이적인 발열, 오한, 심지 않은 상복통
- 만성:대개 무증상, 상복부 둔통, 설사
- 합병증:간경화(biliary cirrhosis), 담석형성(formation of calculi), 화농성 담관염(pyogenic cholangitis), 담관암(cholangiocarcinoma) 등
- 대개 집단검진에서 대변검사를 통하여 발견하거나 민물고기 생식 경험자가 대변검사를 원하여 발견
- 대변검사에서 특징적인 충란을 찾는 것이 기본
- 현미경소견:① 대변검사 시 특징적인 충란 관찰, 난각(알의 바깥쪽 껍데기)이 두꺼움, 난개(뚜껑)가 두겹임, ② Kato-Katz법, 포르말린-에테르 집란법
- 혈청학적 검사:ELISA 가 널리 사용됨
치료
- Praziquantel:25 mg/kg, 3회/일 → 치유율 85%
장흡충(Intestinal trematodes)/장흡충증
개요
- 인체 감염 장흡충:70종
- 국내의 경우:20종, 요코가와흡충(Metagonimus yokogawai)
임상양상
- 일반적인 증상:설사, 복통, 무력증, 체중감소, 식욕감소
- 중감염이라도 면역력에 따라 전혀 증상이 없어 집단검진에서 우연히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
치료
- Praziquantel:10-20 mg/kg, 1회 투여
이질아메바(Entamoeba histolytica), 람블편모충(Giardia labmlia), 작은와포자충(Cryptosporidium parvum)
개요
- 이질아메바/람블편모충원충:감염자가 거의 없음
- 작은와포자충증:지역에 따라 상당히 높은 유행 지역 존재 → 진료 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장 내 원충
임상양상
- 작은와포자충증
- 면역정상:가벼운 설사나 특별한 증상 없이 2주 이내에 자연회복
- 면역저하자:심한 설사 유발
치료
- 작은와포자충:대증 요법
질편모충(Trichomonas vaginalis)
개요
- 질편모충증:질편모중(trichomonas vaginalis)에 의한 비뇨생식기 감염질환
임상양상
- 성병환자나 골반염증질환자 중 소수에서 발견가능
- 트리코모나스질염:세균성질염과 칸디다질염과 달리 성관계로 전파
- 남성:대부분 무증상, carrier 역할
치료
- metronidazole 500 mg 1일 2회 경구 7일 요법
- metronidazole 2 g 경구 단회 요법
- tinidazole 2 g 경구 단회 요법
- 반드시 Sex partner도 동시에 치료할 것
혈액 내 기생충
- 말라리아는 따로 다루었습니다.
절지동물
머릿니(Pediculus humanus capitis), 사면발이(Phthiriasis pubis)
개요
- 머릿니:충체나 서캐를 보고 진단가능
- 서캐와의 감별:머리카락 뿌리집의 각질 잔여물인 털원주(hair cast) → 잡아당기면 머리카락을 따라 이동이 되고, 서캐인 경우 잘 떨어지지 않는다
- 사면발이:성병의 하나로 감염
임상양상
머릿니
- 가려움증, 피부염(발진, 구진)(머릿니가 분비하는 항응고제나 머릿니의 침(saliva)에 대한 염증반응)
- 2차 세균감염(가려운 부위를 긁을 때 발생하는 상처부위에 머릿니의 표면에 붙어있는 세균(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pyogenes)이 침투할 때)
- 경부 목림프절병증, 결막염
- 반복되는 머릿니 감염:알레르기 증상 유발(코막힘, 콧물, 호흡곤란 등)
- 철결핍 빈혈:암컷의 경우 한 마리당 하루 1 μL 정도까지 흡혈가능 → 중감염 시 치료를 하지 않고 계속 방치되는 경우
사면발이
- 인간이 유일한 보균자
- 머릿이보다 생존기간이 더 짧음(24시간)
- 음모에 존재하나 가슴, 겨드랑이, 속눈썹, 안면의 털에서도 발견가능
- 가려움, 긁힘, 홍반, 피부자극과 염증
- 긁는 경우 2차 세균감염
치료
머릿니
- lindane, permethrin, pyrethrin, malathion
-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첫 번째 약물치료가 끝난 다음 9일 후에 다시 한 번 반복 치료할 것
사면발이
- permethrin 1% 로션 혹은 5% 로션:이환된 털에 바른 후 10분 후에 씻어냄
- 0.33% pyrethrin-piperonyl butoxide 삼푸:이환된 털에 바른 후 10분 후에 씻어냄
- Lindane 1% 로션 또는 크림:이환된 털에 바른 후 4분 후에 씻어냄
- Crotamiton 10% 연고:이환된 털에 바름
옴(scabies)/옴진드기(Sarcoptes scabiei)
개요
- 일반적으로 직접적인 신체 접촉을 통하여 전염된다.
- 주로 성적 접촉없이 사람간의 밀접한 접촉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가족간, 단체활동 시).
- 개인적인 물건을 공유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의복, 침구류).
임상양상
- 심한 야간 가려움증
- 옴진드기에 감염된 피부에는 평균 0.5㎝ 길이의 은색 피부선이 관찰된다.
- 가려움증의 결과로 구진 또는 결절들이 생식기 주변에 생기기도 한다.
- 성기의 고름 피부증이 발생한다.
치료
- Permethrin 5% 크림:목에서 발끝까지 피부 전체에 바른 후 8-14시간 후에 씻어낸다.
- Lindane 1% 로션 또는 크림:피부를 건조하게 한 다음 목에서 발끝까지 피부 전체에 바른후 8시간 후에 씻어낸다.
- Crotamiton 10% 연고:2일 동안 밤마다 도포 후 마지막으로 도포한 지 24시간 후에 씻어낸다.
- 의복 및 침구류는 50 °C 이상의 뜨거운 물로 세탁하거나 드라이클리닝을 한다.
참고자료
- Huh S. Chemotherapeutic drugs for common parasitic diseas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3;56(6):513.
- Kong Y. Tissue Invading Helminthic Disease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7;50(11):967.
- 대한감염학회. 감염학 개정판(2014). p.967-974
- Chai J-Y. Recent Advances in the Use of Anthelmintics for Treating Nematode Infections. Infection and Chemotherapy 2011;43(1):26.
- 질병관리본부/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성매개감염 진료지침. 2011.
- Sim S, Pai K-S. Reemerging skin disease caused by arthropods II:lous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5):5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