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도유지 방법
머리기울임-턱들어올리기(head tilt-chin lift) 방법
턱밀어올리기(Jaw Thrust Maneuver) 방법
인공호흡 방법
입-입 인공호흡
입-보호기구(barrier device) 인공호흡
입-코, 입-창(stoma, 스토마) 인공호흡
백마스크 인공호흡/전문 기도유지(advanced airway)
기도유지 방법
머리기울임-턱들어올리기(head tilt-chin lift) 방법
- 한 손을 심정지 환자의 이마에 대고 손바닥으로 압력을 가하여 환자의 머리가 뒤로 기울어지게 한다. → 동시에 다른 손의 손가락으로 아래턱의 뼈 부분을 머리 쪽으로 당겨 턱을 받쳐주어 머리를 뒤로 기울인다. → 기도가 열리면 환자의 입을 열어 입-입 호흡을 준비한다.
턱 아래 부위의 연부조직을 깊게 누르면 오히려 기도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할 것!!
턱밀어올리기(Jaw Thrust Maneuver) 방법
- 머리를 신전시키지 않는 방법
- 구조자는 심정지 환자의 머리 쪽에서 두 손을 각각 환자 머리의 양 옆에 두고, 팔꿈치는 바닥에 닿게 한다. → 두 손으로 아래턱 모서리(mandibular angle)를 잡아 위로 들어올린다. → 입술이 닫히면 엄지손가락으로 아랫입술을 밀어 열리게 한다.
일반인 구조자에 의한 기도유지 | 의료제공자에 의한 기도유지 |
|
(∵ 기도 개방을 유지하고 적절한 환기를 제공하는 것이 경추 손상의 보호보다 우선되기 때문) |
인공호흡 방법
인공호흡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
|
입-입 인공호흡
- 먼저 환자의 기도를 개방하고, 환자의 코를 막은 다음 구조자의 입을 환자의 입에 밀착 → 인공호흡 시행: ‘보통 호흡’을 1초 동안 환자에게 불어넣는 것
- 보통 호흡: 구조자가 숨을 깊이 들이 쉬는 것이 아니라 평상 시 호흡과 같은 양을 들이쉬는 것
- ‘깊은 호흡’보다 ‘보통 호흡’을 하는 이유
- 환자: 환자의 폐가 과다팽창되는 것을 방지
- 구조자: 과호흡할 때 발생되는 어지러움이나 두통 예방
- 첫 번째 인공호흡을 시도했을 때 환자의 가슴이 상승되지 않는다면 머리기울임-턱들어올리기를 다시 정확하게 시행 → 두 번째 인공호흡 시행(인공호흡이 실패하는 가장 흔한 원인: 부적절한 기도 개방)
- 자발순환이 있는 환자(예: 강한 맥박이 쉽게 만져지는 경우)에게 호흡 보조가 필요한 경우: 5~6초마다 한 번씩 인공호흡 시행 혹은 분당 10~12회의 인공호흡 시행
입-보호기구(barrier device) 인공호흡
- 보호기구를 준비하기 위해 인공호흡을 지연시키지 않아야 한다.(입-입 인공호흡을 통해 질병이 전염될 위험성은 매우 낮기 때문)
입-코, 입-창(stoma, 스토마) 인공호흡
- 입-코 인공호흡: 환자의 입을 통해 인공호흡을 할 수 없거나 입을 열 수 없는 경우, 입과 입의 밀착이 어려운 경우, 환자가 물속에 있는 경우
- 입-창 인공호흡: 환자가 기관절개 창(stoma)을 가지고 있는 경우. 둥근 소아용 안면마스크를 창 주변에 꼭 맞게 밀착시켜 사용가능
백마스크 인공호흡/전문 기도유지(advanced airway)
백마스크 인공호흡① |
|
↓ |
|
전문기도가 확보되기 전까지 |
|
↓ |
|
전문 기도기② 가 삽관된 후 |
|
① 백마스크 대 전문 기도기: 의료종사자는 성인 심정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하는 동안 백마스크 또는 전문 기도기 삽관 중 어느 방법을 선택해도 된다.
② 전문기도유지방법
- 기관 내 삽관
- 성문상 기도기(supraglottic airway): 기관 속으로 관을 넣지 않고 후두에 위치시키는 방법; 종류: 후두마스크 기도기(laryngeal mask airway, LMA), 식도-기관 콤비튜브(esophageal-tracheal Combitube), 후두 기도기(laryngeal airway)
(→ 모든 성인 심정지에서 심폐소생술 동안에 초기 전문 기도기로서 성문상 기도기 또는 기관튜브 중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
참고자료
-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대한심폐소생협회. 2015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2015 Korea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