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치료 원칙
- 심정지를 일으키는 4가지 리듬: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VF), 무맥성 심실빈맥(Pulseless ventricular tachycardia, VT), 무맥성 전기활성(Pulseless electric activity, PEA), 무수축성(Asystole) → 전문 심폐소생술은 이들 4가지 리듬에 따라 치료방법이나 사용하는 약물이 달라지게 된다.
- 약물투여보다는 높은 수준의 심폐소생술과 빠른 제세동이 더욱 중요
- 심정지 시 약물 치료 목적: 자발 순환의 회복과 유지
- 심폐소생술을 시작하고, 제세동을 실시한 후에는 약물 투여를 목적으로 정맥이나 골내 삽관을 시행한다.
- 제세동이 필요한 리듬을 지닌 심정지에서는 제세동이 우선적으로 시행된 다음 주기부터 에피네프린 투여가 시작되지만, 제세동이 필요하지 않은 리듬인 경우 가슴압박이 시작되고 정맥로만 확보되었다면 조기에 즉시 투여
심정지 시 약물 투여 경로
- 주로 사용되는 약물 투여 경로: 정맥로(Venous access)
- 대체 경로(정맥로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 뼈내 경로(Intraosseous access), 기관 내 투여(정맥로와 뼈내 경로를 확보하기 어렵거나 지연되는 경우)
말초 정맥로
- 반드시 덩이주사 후 20mL의 수액을 추가 주입하여 약물이 사지에서 중심혈류로 빨리 들어가도록 도와야 한다.
골내 주사로
- 정맥로 확보가 어렵다면 골내 접근 고려(성인에게는 골내 주사를 위하여 상용화된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
- 장점: 허탈현상 없이 정맥 얼기로의 접근 가능. 말초 정맥로를 통해 약물을 주입하는 경우 약물 전달 능력 비슷. 안전. 수액 주입이나 약물 투여, 검사를 위한 혈액 채취에 유용. 모든 나이의 환자에게 시행가능
중심정맥로
- 심폐소생술을 방해할 수 있어 소생술 중 권장되지 않는다.
기관 내 투여
- 정맥주사로와 골내주사로가 모두 확보되지 않았을 경우에 기관내 투입 가능
- 투여가능 약물: epinephrine, vasopressin, lidocaine(cf. amiodarone은 투여불가)
- 용량: 정맥로 투입 용량의 2~2.5배
심정지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기능 | 약물 | 특징 | 용량/용법 |
혈관수축제(vasopressor)① | epinephrine② |
|
|
vasopressin |
|
| |
항부정맥제③ | amiodarone |
|
|
lidocaine |
|
|
① 심정지환자에게 투여된 혈관수축제는 자발 순환의 회복 가능성을 높이지만 혈관수축제의 사용이 장기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약 대조시험이 시행된 적은 없다. 또한 에피네프린과 비교하여 생존율을 높이는 혈압상승제는 아직 없다.
② β-아드레날린 효과 → 심근부하를 증가시키고 심내막하 관류를 낮추기 때문에 그 가치와 안전성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
③ 아미오다론은 위약이나 리도카인과 비교하여 단기간 퇴원 시 생존율을 높인다. Mg의 경우 이전 2011년 가이드라인까지 다형성 심실빈맥에 의한 심정지 환자에서 저마그네슘혈증이 의심되는 경우 사용하였으나, 새로운 권고안에서는 일상적인 Mg 사용을 성인 심정지 환자에서는 권고하지 않는다.
자발순환 회복 후 항부정맥제의 예방적 사용: 불응성 심실세동/무맥성 심실빈맥에 의한 심정지 환자에서 자발순환회복 직후 예방적인 측면에서 리도카인이나 베타차단제 투여 고려. 심실세동이나 빈맥이 아닌 리듬에 의한 심정지인 경우에는 항부정맥제의 예방적 사용에 대한 근거가 없다.
Magnesium sulfate: 2010년 AHA(국내 2011년) 가이드라인에서는 QT 간격 연장과 관계된 비틀림 심실빈맥(torsade de pointes)에서 투여했지만, 생존예후에 이득을 보이지 못해 2015년 가이드라인에서는 더 이상 일상적인 투여는 하지 않는다. Atropine: 일반적으로 Atropine을 무맥성 전기활성(PEA)/무수축성(Asystole)관리에 사용하는 것을 더 이상 권장하지 않는다. |
참고자료
-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대한심폐소생협회. 2015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2015 Korea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 대한심폐소생협회. 2011 한국 심폐소생술 지침
- Soar J, Callaway CW, Aibiki M, et al. Part 4: Advanced life support: 2015 International Consensus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Science with Treatment Recommendations. Resuscitation 2015;95:e71-120.
-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ardiovascular Care, Part 8: Adult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ardiovascular Care, Part 12: Cardiac Arrest in Special Situations, S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