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2011년 공용가이드라인과 비교하여 2015년 가이드라인의 제세동술과 인공심장박동조율에 관한 가이드라인은 큰 변화는 없다.
- 심정지가 발생한 모든 환자에서는 신속히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되 제세동기가 준비되면 즉시 심전도 리듬을 확인한 후 필요한 경우에 즉시 제세동 시행 → 두 번째 제세동부터는 첫 에너지 권고량과 동일하거나 혹은 높은 에너지로 제세동 시행
제세동술
기본 원리
- 신속한 제세동과 심폐소생술이 심정지 환자의 소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이유
- 갑자기 발생한 심정지 환자의 가장 중요한 심장 리듬은 심실세동
- 심실세동의 유일한 치료 방법은 전기적 제세동
- 심실세동이 발생한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제세동의 성공 가능성은 떨어진다.
- 심실세동은 수분 이내에 무수축 상태가 된다.
심정지가 발생한 모든 환자에서는 신속히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되 제세동기가 준비되면 즉시 심전도 리듬을 확인한 후 제세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즉시 제세동을 하도록 권장합니다.
제세동술의 실제
- 자동제세동기와 순서는 대동소이
- 전문심장소생술에서는 수동제세동기를 사용할 것(자동제세동기가 아니다.!!)
1단계 |
| ||||||
↓ |
| ||||||
2단계: 패드 부착 |
제세동을 위한 패들 또는 전극의 위치(좌, 수동제세동 시 패들의 위치; 우, 자동제세동시 전극의 위치)
| ||||||
↓ |
| ||||||
3단계: 제세동 시행 | 파형/에너지 선택
제세동 횟수
가슴압박
호흡
|
인공심장박동조율
개요
- 심장박동조율이란? 외부에서 전기를 유발시켜 심장과 접촉하고 있는 전극도자를 통해 심장으로 전리를 전달하여 탈분극을 유발하여 심장박동을 유발하는 방법
- 종류(전기를 유발시키는 전극도자의 위치별): 경피 심장박동조율(transcutaneous pacing), 경정맥 심장박동조율(transvenous pacing), 경식도 심장박동조율(transesophageal pacing)
원리
- 경피 심장박동조율술: 피부에 큰 전극을 부착하여 심장에 전기 자극을 가하여 심장에 탈분극을 유도하는 방법; 쉽게 사용가능. 최근에 개발된 대부분의 제세동기에는 경피 심장박동조율기가 내장되어 있음;
- 응급 심장박동조율이 필요한 환자에게 가장 먼저 시도할 수 있는 심장박동조율 방법
적응증
- 증상을 동반한 서맥 환자[특히 고위방실차단(2도 2형 방실차단, 완전방실차단)]
- 혈역학적으로 불안정 상태일 때 atropine의 효과가 없으면 즉시 시행
- 경피 심장박동조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 경정맥 심장박동조율 시행
- 무수축 심정지 환자에게는 경피 심장박동조율이 효과가 없다.(☞ 무수축 환자에게 조율을 시행하기 위해서 가슴압박을 중지하지 말 것)
시행방법
- 경피 심장박동조율을 위한 장비
- 최근에 개발된 제세동기에는 대부분 경피 심장박동조율 기능이 내장되어 있음 → 전극만 있으면 경피 심장박동조율 가능
- 제세동기에 부착되어 있는 경피 심장박동조율장치에서 심장박동수는 분당 30-180회, 출력은 0-200mA 가능
- 경피 심장박동조율 방법
- 전극을 전흉벽의 흉골 가장자리와 좌측 견갑골 하부에 부착한다.
- 전극을 경피 심장박동조율기와 연결한 후에 분당 60회로 심장박동조율기를 활성화시킨다. 서맥 환자에서는 통증을 줄이기 위해 최소출력에서 전류를 서서히 증가시키면서 포획박동(capture beat)이 발생하는 역치를 관찰한 후에 역치보다 10% 높은 출력으로 경피 심장박동조율을 유지한다.
- 심전도 상 독특한 파형과 포획박동이 보이는지 확인
목동맥 촉지, 혈압 측정, 동맥도관이나 산소포화도 측정 → 경피 심장박동조율에 의하여 혈역학적으로 안정화되는지 재평가
경피 심장박동조율 동안에는 근육수축이 동반되므로 우측 목동맥이나 우측 넙다리 동맥에서 맥박을 확인해야 한다. - 근육수축으로 인해 환자의 동통이 유발되므로 진정제 혹은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다.
주의점
- 심실세동의 발생이 간과되는 경우
- 포획실패
- 동통유발
- 조직손상 혹은 화상
참고자료
-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대한심폐소생협회. 2015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2015 Korea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 Soar J, Callaway CW, Aibiki M, et al. Part 4: Advanced life support: 2015 International Consensus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Science with Treatment Recommendations. Resuscitation 2015;95:e7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