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e review
진단
- 다음과 같은 경우에 급성기관지염의 진단을 고려할 것!
- 급성 호흡기감염, 기침(+/-객담)이 3주 미만 지속되는 경우
- 폐렴의 임상적인 증거는 없는 경우
치료
항생제
|
|
진해제 |
|
점액작용제 |
|
기관지확장제 |
|
스테로이드 |
|
Practical guide: 진단/평가
핵심포인트: 건강보험 진료환자 기준 가장 흔한 질병이 급성 기관지염이다.
- 국내 보건의료 자료에 의하면 매년 병 의원을 방문하는 환자 수 1위 질환이 급성 기관지염으로 보고되고 있다.

- 실제로 그럴 수도 있지만 상기도감염에서 급여처방을 위해서 "급성 기관지염" 상병명을 집어넣는 등의 특수한 상황이 반영된 결과가 아닐까 싶다.
- 대표적으로 진해/거담제를 들 수 있다. 상기도감염에서는 2종까지, 하기도감염에서는 3종까지 급여인정을 받을 수 있다. 상기도 감염 같은데 증상이 심해 진해/거담제를 3종 처방하고 싶다면 하기도 감염에 해당하는 "급성 기관지염" 상병명을 넣어야 하는 것이다.
핵심포인트: 호흡기 질환을 접함에 있어 급성기관지염은 보통 상기도감염과 폐렴의 중간 정도에 위치한다.
- 감기보다는 심한 것 같고, 청진이나 가슴 X선에서 폐렴까지는 아닐 경우 보통 급성 기관지염으로 진단내리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따라서 감별해야 할 주요 질환은 폐렴과 급성 상기도 감염이다.
Practical guide: 치료
핵심포인트: 급성 기관지염에서 항생제 투여는?
- 폐렴에서는 항생제 투여가 기본인데(물론 바이러스 폐렴도 있긴 하지만 임상적으로 구분하기가 쉽지 않아서 폐렴으로 진단되면 항생제는 기본적으로 투여) 급성 기관지염에서는 어떨까?
- 대부분 바이러스가 원인이므로 급성 기관지염으로 추정되는 환자에게 일상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은 추천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항생제를 투여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 한 연구에서 급성 기관지염의 60-80%의 환자들이 항생제를 처방받는다고 보고하고 있다.
핵심포인트: 대증치료
- 급성 기관지염은 원인병원체의 90% 이상이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대증 치료가 원칙이다.
포인트: 기침 증상이 심한 경우 진해제나 거담제가 도움이 될 수 있다.
- codeine, dextromethorphan 등
- 천연추출물: 아이비 엽 추출물, pelargonium 추출물
- 진해/거담제 중에는 상기도/하기도 감염 모두에 적응증을 가지는 경우도 있지만 pelargonium 추출물 성분 제제(예. 움카민)처럼 하기도 감염에만 적응증을 가지는 제제도 있으니 이를 잘 확인할 필요가 있다.
포인트: 베타-2 확장제가 유용하다.
- 천식이나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같은 기저 폐질환이 없는 경우에도 호흡기 감염과 동반된 기류제한이 흔히 발생할 수 있다.
- 매우 심한 기침(수면을 방해하는 정도)이나 호흡곤란, 천명음 같은 증상이 동반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 베타-2 확장제는 도움이 될 수 있다.
실전 처방 예시
진해제: 1-2개 정도 거담제: 1개 정도 베타-2 확장제: 필요시 투여 항생제: 필요시 투여 |
처방예시: 기침, 가래
Theobromine (Anycough cap. 300mg) 2C #2 x3days Acetylcysteine (Muteran cap. 200mg) 3C #3 x3days Cough syrup 20ml/P (Dihydrocodeine, Methylephedrine, Chlorpheniramine 외) 3포 #3 x3days |
처방예시: 기침, 가래, 호흡곤란(혹은 천명음)
Pelargonium (umckamin tab.) 3T #3 x 3days Acetylcysteine (Muteran cap. 200mg) 3C #3 x3days Cough syrup 20ml/P (Dihydrocodeine, Methylephedrine, Chlorpheniramine 외) 3포 #3 x3days Formoterol (atock tab. 40mcg) 1.5T #3 or 2T #2 x 3days |
상병명
코드 | 상병명 |
J20 | 급성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15세 미만에서의 기관지염 NOS Bronchitis in those under 15 years of age NOS, (~을 동반한) 급성 및 아급성 기관지염 Acute and subacute bronchitis (with): 기관지연축 Bronchospasm, 피브린성 Fibrinous, 막성 Membranous, 화농성 Purulent, 패혈성 Septic, 기관염 Tracheitis, 급성 기관기관지염 Tracheobronchitis, acute |
J20.0 | 폐렴마이코플라스마에 의한 급성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due to Mycoplasma pneumoniae |
J20.1 | 인플루엔자균에 의한 급성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due to Haemophilus influenzae |
J20.2 | 연쇄구균에 의한 급성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due to streptococcus |
J20.3 | 콕사키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due to coxsackievirus |
J20.4 |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due to parainfluenza virus |
J20.5 |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due to respiratory syncytial virus |
J20.6 | 라이노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due to rhinovirus |
J20.7 | 에코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due to echovirus |
J20.8 | 기타 명시된 병원체에 의한 급성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due to other specified organisms |
J20.80 | 사람보카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due to human bocavirus |
J20.88 | 기타 명시된 병원체에 의한 급성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due to other specified organisms |
J20.9 | 상세불명의 급성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unspecified |
Case based approach
증례: 일주일간 지속되는 기침, 가래
S | C.C: cough, fever
과거력
|
O |
|
A |
|
P |
===
|
▼ | |
S/O |
![]() |
A |
|
P | ===
대부분 바이러스가 원인이므로 급성 기관지염으로 추정되는 환자에게 일상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은 추천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항생제를 투여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 한 연구에서 급성 기관지염의 60-80%의 환자들이 항생제를 처방받는다고 보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