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e review
원인/감별진단
- 객혈이란? 폐 혹은 기관지출혈의 결과로 폐 혹은 기관지에 생기는 혈액을 뱉어내는 것
Cf. 가성객혈(pseudohemoptysis): 폐 혹은 기관지로부터 연유하지 않는 혈액을 뱉어내는 것
Cf. 토혈(hematemesis): 혈액을 구토해내는 것(위장관으로부터 유래한 혈액을 토해내는 것) - 객혈의 분류
- 출혈양에 따른 분류: 비대량객혈(Nonmassive hemoptysis), 대량객혈(massive hemoptysis)
- 대량객혈: ≥100ml/24hrs ~~ ≥600ml/24hrs
- 일차진료에서 가장 흔한 객혈의 원인: 1) 급성/만성 기관지염; 2) 폐렴; 3) 폐결핵; 4) 폐암
진단적 접근
- 객혈과 토혈의 감별
| 객혈 | 토혈 |
병력 | 구역/구토가 없음. 폐질환 존재. 질식병력 가능 | 구역/구토 존재. 위 혹은 간질환 존재. 질식은 드물다. |
객담검사 | 거품 액체 혹은 clot이 존재하는 양상. 밝은 적색 혹은 핑크색 | 거품은 드물다. 커피가루 양상 갈색 혹은 검은색 |
검사실 검사 | 알칼리 pH. 대식세포, 중성구 | 산성 pH. 음식물 |
- 진단적 검사
검사목적 |
| |
검사방법 | 검사실 검사 |
|
영상의학 검사 |
| |
기타검사 |
|
Practical guide: 진단적 접근
핵심포인트: 진짜 객혈인지를 구별하는 것이 필요하다.
- 객혈이란 폐 혹은 기관지출혈의 결과로 폐 혹은 기관지에 생기는 혈액을 뱉어내는 것을 말한다. 객혈과 구별해야할 상황으로는 가성객혈과 토혈이 있다.
- 가성객혈(pseudohemoptysis): 폐 혹은 기관지로부터 연유하지 않는 혈액을 뱉어내는 것
- 토혈(hematemesis): 혈액을 구토해내는 것(위장관으로부터 유래한 혈액을 토해내는 것)
- 객혈은 보통 보통 혈담(blood tinged sputum, BTS)의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객혈의 원인이 대부분 폐질환이다 보니 가래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이에 객혈이 배출될 때 가래와 섞여서 나오는 것이다.
핵심포인트: 가장 흔한 원인은 급성 호흡기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이다.
- 일차진료에서 가장 흔한 객혈의 원인은 ① 급성/만성 기관지염; ② 폐렴; ③ 폐결핵; ④ 폐암
- 이 중 아마도 가장 흔하면서 일차진료에서도 부담없이 볼 수 있는 경우는 급성 호흡기감염(특히 하기도감염, 기관지염이나 폐렴)에 의해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객혈일 것이다.
- 따라서 호흡기감염을 의심할 만한 병력, 동반증상, 신체검사 소견이 있다면 호흡기감염 치료를 하면서 객혈이 소실되는지 여부를 관찰해볼 필요가 있다.
핵심포인트: 여건이 된다면 기본적인 검사는 시행하자.
- 여건이 된다면 치료 전후로 해서 기본적인 혈액검사, Chest X-ray 정도는 확인할 필요가 있다.
- 기본적으로 시행하는 lab에서 응고검사(PT, aPTT)(객혈은 기본적으로 출혈이므로 응고기능에 대한 평가 고려), ESR/CRP(호흡기감염이 의심되는 경우)를 추가하는 것이 좋겠다.
Practical guide: 치료
핵심포인트: 지혈제를 사용해 볼 수 있다.
- 추정되는 원인질환에 대한 평가 및 치료를 시행하면서 지혈제를 같이 투여해 볼 수 있다.
- 임상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지혈제인 tranexamic acid를 투여할 수 있다.
실전 처방 예시
[참조] "Case based approach" 참조
상병명
코드 | 상병명 |
R04.2 | 객혈 Haemoptysis, 피섞인 가래 Blood-stained sputum, 출혈을 동반한 기침 Cough with haemorrhage |
R04.8 | 기타 기도부위의 출혈 Haemorrhage from other sites in respiratory passages, 폐출혈 NOS Pulmonary haemorrhage NOS |
R04.9 | 상세불명의 기도의 출혈 Haemorrhage from respiratory passages, unspecified |
Case based approach
증례: 하기도 감염에 의한 객혈
S/O | C.C: 혈담(blood tinged sputum, BTS)을 주소로 내원
과거력
P/E: coarse breath sound at both lower lung field 최근 상기도감염 병력, 동반증상(기침, Pleuritic chest pain)을 감안하면 기관지염이나 폐렴에 의해 발생한 객혈을 우선 의심해 볼 수 있다. |
A |
|
P | ===== 검사①
===== medication②
+ (option)
①
②
③ 본 증례의 경우에는 pleuritic chest pain이 동반되어 있기 때문에 처방 고려 |
▼ | |
S/O |
|
P |
===
|
증례: underlying bronchiectasis, 최근 항응고제 복용
S | C.C: Hemoptysis
과거력
| ||||
O |
| ||||
A |
bronchiectasis 병력이 있고 이전에도 간간이 Hemoptysis 있었다는 병력으로 볼 때 기저질환인 bronchiectasis에 의한Hemoptysis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 ||||
P |
| ||||
▼ | |||||
S/O |
약물에 대한 병력을 다시 꼼꼼히 시행한 결과 최근에 기저심장질환(atrial fibrillation)과 관련해서 항응고제를 새롭게 복용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 ||||
A |
여전히 bronchiectasis에 의한 Hemoptysis 가능성이 높긴 하지만 최근 투여하기 시작한 항응고제에 의해 발생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
P |
여전히 bronchiectasis에 의한 Hemoptysis 가능성이 높긴 하지만 최근 투여하기 시작한 항응고제에 의해 발생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
▼ 호흡기 F/U | |||||
S/O |
| ||||
P |
① 지혈제이다. ② bronchiectasis와 같은 만성호흡기질환에 사용되는 약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