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e review
진단적 접근
- 호흡곤란의 원인을 감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단계적 진단법을 적용할 수 있다.
1단계 |
|
2단계 |
|
3단계 |
|
급성 호흡곤란
급성 호흡곤란의 원인
- 흔한 원인: 대개 기존에 가지고 있던 호흡기 혹은 심장 질환에 기인한 경우(COPD, 천식, 폐렴, 폐색전증, 기흉, 심부전 및 심근 경색 등)
- 기타 원인: 급성 신부전, 당뇨성 혼수, 패혈증 및 기타 대사성 산증 등 기타 생리적 및 심인성 원인
호흡곤란의 양상에 따른 감별진단
- 간헐적 호흡곤란: 천식
- 지속적 혹은 점점 악화되는 호흡곤란: 만성질환(COPD, 폐 섬유화증, 폐동맥 고혈압 등)
- 야간 호흡곤란: 천식, 심부전, 위식도 역류질환
- 신체활동과 관계없는 호흡곤란: 심인성 원인(흔함), 기계적 요인 혹은 알레르기에 의한 경우도 가능
진단적 검사
1차 검사: Level 1 검사 |
|
↓ | |
추가 검사: Level II 검사 |
|
호흡기 질환과 심장 질환의 감별 방법
- 호흡곤란의 주된 원인 질환: 호흡기 질환 & 심장 질환
- 호흡기 질환과 심장 질환의 구별이 쉽지는 않다.
- 고령의 만성 흡연자의 경우 양 질환을 모두 갖고 있는 경우도 흔하다.
- 대개 동반되는 증상과 경과를 관찰해서 감별한다.
병력 및 신체검사
야간호흡곤란 |
| |||||
천명음 |
|
진단적 검사
가슴 X선, 심폐확산능 |
| |||||
BNP/NT-pro-BNP |
심부전에 대한 예민도/특이도/정확도 90%/76%/83%
| |||||
그 외의 심혈관 질환의 중요한 표지자 |
|
만성 호흡곤란
- 원인: 천식, COPD, 간질 폐질환(interstitial lung disease), 심근염(cardiomyopathy)
병력
- 수 주에서 수개월까지의 지속기간을 보인다.
- 호흡곤란의 중증도에 따라 활동량과 활동 범위를 무의식적으로 변경하는 경향이 있다.
- 병력 청취에서 확인할 내용
- 호흡곤란의 발생 시점, 빈도 및 지속 기간, 악화 및 완화 인자
- 간헐적 호흡곤란의 경우: 가역적 요인에 의한 경우가 많다(기관지수축, 흉수, 심부전, 만성 재발성 색전증 등).
- 점점 악화되는 호흡곤란의 경우: COPD, 신경근육 질환, 간질성 폐질환 등
- 동반증상의 확인: 기침, 객담, 천명, 기좌 호흡, 흉통, 야간 호흡곤란 등
신체검사
- 경부, 흉부, 폐, 심장 및 사지를 모두 포함
- 호흡음: 1) 흡기성 수포음(심부전); 2) 호흡음 저하(COPD, 흉수)
진단적 검사
- 만성 호흡곤란에서의 검사는 특정 질환을 의심하는 쪽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1차 검사: Level 1 검사 |
|
↓ | |
추가검사: Level II 검사 |
|
만성 호흡곤란: 주요 원인질환별 특징
질병 | 병력 소견 | 신체검사 |
우/좌 심부전(CHF) | 흉통, 앉아 숨쉬기, PND, 부종 | 청색증, 수포음, 부종, 경정맥확장(jugular venous distension, JVD), 잡음, S3 or S4, 간경정맥역류(hepatojugular reflex, HJR), 고혈압 |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 흡연, 만성 기침 | 오므린 입술로 호흡, 천명, 통모양가슴, 감소된 호흡음 |
천식 | 아동기의 병력, 알레르기 병력 | 천명, 기침 |
간질폐질환(ILD) | 점진적인 호흡곤란의 발생, 직업적인 환경적인 노출 | 미세한 흡기-수포음 |
암 | 기침, 객혈, 숨참, 피로, 발열, 야간발한, 체중감소 | 감소된 호흡음, 곤봉형 |
심인성: 과호흡, 불안, 공황발작 | 화난 감정, 임박한 불행을 느낌, 신경증성 인격 | 한숨 |
빈혈 | 피로, 운동성 호흡장애 | 빈맥, 창백한 결막 |
만성호흡곤란의 평가흐름도
평가 단계 |
| 수립 가능한 질환 |
| → |
|
▼ | ||
| → |
|
▼ | ||
| → |
|
- 호흡곤란은 빈혈과 같은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크게 심혈관계 문제가 원인인 경우와 호흡기(폐) 문제가 원인인 경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 그리고 급성으로 발생한 호흡곤란인지 만성적인 호흡곤란인지에 따라서도 접근방법이 달라진다.
- 일차진료현장에서 호흡곤란 환자를 보는 건 사실상 부담스러운 일이다.
|
위와 같은 경우가 아니라면 일단 상급병원으로 refer를 우선 고려할 수밖에 없다.
Practical guide: 원인 및 감별진단
핵심포인트: 호흡곤란은 급성 호흡곤란, 만성 호흡곤란으로 구분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
- 발생 시기에 따라 보통 수 시간에서 수일에 걸쳐 발생하는 급성 호흡곤란, 수 주에서 수개월에 걸쳐 지속되는 만성 호흡곤란으로 구분할 수 있다.
- 급성인지, 만성인지에 따라 호발원인의 양상에 다소 차이를 보인다.
핵심포인트: 가장 초점을 맞춰야할 원인은 크게 2가지, 호흡기질환 아니면 심장질환이다.
- 초기 평가(병력/신체검사, 기본 lab, chest X-ray, EKG 등)에서 의심되는 경우에 따라 이후 검사를 선택할 수 있을 것 같다.
- 폐질환의 가능성이 높을지, 심장질환의 가능성이 높을지에 따라 접근방식이 달라질텐데, 가장 핵심이 되는 검사는 폐기능검사와 심초음파이다. 아울러 폐기능검사, 심초음파는 일차진료환경에서도 충분히 시행해볼 수 있는 검사이기도 하다.
| 급성 호흡곤란 | 만성 호흡곤란 |
심장 질환 | 심근허혈, 심부전, 심장압전, 폐색전증 등 | 심부전, 심근병증, 심낭질환, 협심증 등 |
호흡기 질환 | 기관지 수축, 기흉, 호흡기 감염, 상기도 폐쇄(흡인, 아나필락시스), 급성 호흡곤란증후군 등 | 천식, COPD, 간질 폐렴 등 |
Practical guide: 진단적 접근
핵심 포인트: 단계적인 접근법을 적용하라!!
- 호흡곤란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감별하기 위해서는 병력 청취, 신체 검사부터 기본적인 검사나 특수 검사까지 단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 주요 가이드라인이나 종설(review article)에서도 호흡곤란의 원인을 감별하기 위해 단계적 진단법을 제안하고 있다.
- 결국 심장질환 혹은 폐질환 이외의 원인을 탐색하기 위한 과정이 선행되고 거기에서 의심되는 특별한 원인이 없다면 심장질환 혹은 폐질환에 대한 정밀검사를 고려하는 방식이다.
1단계: 기본 검사 | 가슴 X선, 심전도, 기본 혈액 검사[CBC(빈혈), 신장 기능, 갑상선 기능 등] 정밀 혈액검사[BNP 또는 NT-pro BNP, CK-MB, troponin, D-dimer 등] | ||||||
▼ | |||||||
2단계 |
| ||||||
▼ | |||||||
3단계: 정밀 검사 | CPET 등 시행 |
핵심포인트: 심폐운동검사(cardiopulmonary exercise test, CPET)가 유용할 수 있다.
- 심초음파 검사, 폐기능 검사를 포함한 기본적인 W/U에서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 심폐운동검사(cardiopulmonary exercise test, CPET)를 고려해볼 수 있다.
- CPET는 환자에게 호흡곤란의 경험을 유발하여 폐, 심장, 심인성 및 탈조건화에 의한 호흡곤란을 각각 감별할 수 있다.
핵심포인트: 명백한 원인질환이 있다면 해당 원인질환에 대한 치료(과거 치료 참조)를 시도해볼 수 있다.
- 뚜렷한 병력이 있고 반복되는 호흡곤란양상을 보이고 호흡곤란양상이 이전과 차이가 없다다면 이전과 유사한 치료를 하면서 지켜볼 수 있겠다.
- 대표적으로 천식, COPD, 만성심부전 등이 대표적이다.
실전 처방 예시
[참조] "Case based approach" 참조
상병명
코드 | 상병명 |
R06.0 | 호흡곤란 Dyspnoea, 좌위호흡 Orthopnea, 숨가쁨 Shortness of breath, 단기(短氣) Shortness of breath, 천증(喘證) Dyspnea |
Case based approach
증례: 천식의 급성악화가 의심되는 증례
S | C.C: dyspnea
과거력
asthma 병력이 있는 환자. 3일 전 URI로 의심되는 증상 발생하였고 내원 당일 dyspnea 갑자기 발생 | ||||||
O |
가슴청진에서 wheezing이 양쪽폐야에서 들리고 있다. | ||||||
A |
| ||||||
P |
asthma의 급성 악화 가능성이 가장 높다. 유발인자는 URI 내지 acute bronchitis가 의심된다. | ||||||
▼ | |||||||
S/O |
▼
| ||||||
P |
퇴원약 Cefditoren (Meiact tab. 100mg) 3T #3 x3days Ebastine/pseudoephedrine (Rinoebastel cap.) 1C #1 Levodropropizine (Levotuss tab. 60mg) 3T #3 Salbutamol (Ventolin evohaler 200dose/EA) 1ea #1 : 필요시 흡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