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e review
원인 및 감별진단
- 부종(edema)이란? 간질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간질에 수분이 축적된 상태
- 부종의 원인
전신 부종 | 국소 부종 |
몸 전체가 다 붓는 경우 → 주로 전신질환이 원인 | 특정 부위만 붓는 경우→ 주로 혈관계 이상이 원인 |
|
|
부종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전신부종
| 발생기전 | 임상양상 |
간경변증에 의한 부종 |
|
|
심장질환에 의한 부종 |
|
|
신장질환에 의한 부종 |
|
|
약물에 의한 부종 |
|
|
부종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국소부종
| 정의 | 발생기전 | 임상양상 |
정맥 부전증 |
|
|
|
갑상선기능저하증 |
|
|
|
림프 부종 |
|
|
|
지방부종(lipedema) |
|
|
|
월경 전 부종 |
|
|
|
진단적 접근
기본검사 |
| ||||||||||||
↓(의심되는 질환에 따른 추가 검사) | |||||||||||||
심장 질환 의심 | 심초음파 | ||||||||||||
간 질환/신장 질환 의심 | 복부 초음파 | ||||||||||||
갑상선 질환 의심 | 갑상선 초음파 | ||||||||||||
국소 부종 의심 | 상기 검사 이외 추가 검사 시행
|
치료
- 부종의 치료: 원인 치료 ± 증상 치료
- 원인 치료는 부종을 유발시키는 원인을 찾아 교정하는 것
- 원인 치료가 실패한 경우에 증상 치료 시행
Practical guide: 진단/평가
핵심포인트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파악해야 할까?
포인트
부었다고 하면, 어떤 부위가 부었는지부터 파악을 해야 한다.
- "얼굴이 부었다.", "다리가 부었다."라는 식으로 환자분들이 호소를 하지만 다른 부위는 괜찮은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 우선 전신부종인지, 일정한 부위에만 국한된 국소부종인지로 구분하고 접근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전신부종인지 국소부종인지에 따라 감별해야할 원인질환이 다르기 때문이다.
- 임상적으로는 주로 하지부종으로 발현하는 경우가 많은데 하지부종의 경우 unilateral인지 bilateral인지에 따라 감별진단이 달라진다.
- 흔한 원인
- 덜 흔한 원인
- 흔한 원인
- 양측성 하지부종에서 전신 질환이 아니라고 생각될 때, 가장 흔한 것은
- 젊은 여성인 경우 → idiopathic edema
- 고령인 경우 → chronic venous insufficiency
포인트
감별진단 포인트: 이환기간 & 이환범위
- 이환기간과 이환범위가 가장 중요하다.
- 이환 기간(duration): acute vs. chronic
- 범위: 양측성(bilateral) or 단측성(unilateral)
- 72시간 이내의 급성 다리 부종의 경우, 하지 골절 시 → 심부정맥 혈전증 (Deep Vein thrombosis)을 반드시 감별해야 한다.
이환기간(duration) |
갑자기 특별한 원인이 없이 한쪽 다리가 붓는 환자는 반드시 심부정맥혈전증을 고려해야 한다. |
통증 유무(pain) |
|
일간 변동(Daily fluctuation) |
|
핵심포인트
복용 약물을 가급적 자세히 파악해보자!
- 약물에 의해 붓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혈압약(calcicum channel blocker), 당뇨약(thiozolinedione), 파킨슨약(dopa agonist) 등을 먹고있는지를 확인해보자! 의심해서 물어보지 않으면 놓치기 쉬운 부분이다.
핵심포인트
초기에 어떤 검사를 시행해야 할까?
- 어떤 형태의 edema이든 공통적으로 heart function, renal function, thyroid function은 평가해야 한다.
- 그 외 하지 부종인 경우 D-dimer, lower extremity doppler USG를 고려해야 한다.
Practical guide: 치료
핵심포인트
원인 치료 ± 증상 치료
- 원인 치료는 부종을 유발시키는 원인을 찾아 교정하는 것이다.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여 원인을 교정하여 위험인자를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 원인 치료가 실패한 경우에 증상 치료 시행
핵심포인트
증상 치료
- 염분과 수분 제한, 필요에 따라 이뇨제 사용
- 이뇨제 치료
- 이뇨제를 사용할 경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약물의 종류, 투여 경로, 용량 결정
- 이뇨제는 종류에 따라 신장에서 작용하는 부위가 각각 다르다.
실전 처방 예시
[참조] "Case base approach" 참조
상병명
코드 | 상병명 |
I89.0 | 달리 분류되지 않은 림프부종 Lymphoedema, NEC, 림프관확장증 Lymphangiectasis |
R60 | 달리 분류되지 않은 부종 Oedema, NEC |
R60.0 | 국소부종 Localized oedema |
R60.1 | 전신부종 Generalized oedema |
R60.9 | 상세불명의 부종 Oedema, unspecified, 수액정체 NOS Fluid retention NOS |
Case based approach
증례: 양쪽 다리가 붓는 경우
S/O | C.C: M/50. 2년 정도 지속되고 있는 both leg edema 과거력
만성 하지부종에 해당한다. |
A/P |
Vein Doppler U/S: 만성 하지부종으로 chronic venous insufficiency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D-dimer: chronic DVT 가능성도 있으므로 D-dimer도 lab에 포함해야 한다. |
▼ | |
S/O |
|
A |
chronic venous insufficiency, DVT 등이 배제된 상황으로 약물, 생활습관(잦은 음주, 야식)과 연관성을 생각할 수 있다. |
P |
|
증례: 얼굴이 붓는 경우
S/O | C.C:6개월 전부터 발생한 얼굴부종을 주소로 내원
과거력
얼굴 시술 병력을 물어보는 것도 필요하다.(다른 곳 부종 없으며 얼굴만 붓는다. 이뇨제에 반응하지 않는다.) life style 변화 확인 필요 |
A |
우선 실제 edema인지 감별이 필요하다.(e.g. 단순 체중증가) |
P |
체중증가에 따른 lipid accumulation 가능성도 있으면 체성분 검사 고려 (fat ratio 확인 가능) Cusing's syndrome에 대한 의심되는 추가적인 증상/징후가 존재했다면 이에 대한 screening 시행도 고려할 만 하다. 얼굴부종이 주소이긴 하지만 다리부종 병력도 있기 때문에 D-dimer도 lab에 포함시킬 수 있을 것 같다. |
▼ |
|
S/O |
|
A |
|
P |
venous insufficienty 감별 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