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내용/추가 reference
|
Core review
개요
- 니코틴: 담배에 들어있는, 중독성이 강한 알칼로이드. 반감기가 약 2시간 정도로 흡수된 후 급격히 농도가 줄기 때문에 금단 증상이 심함
- 담배를 못 끊는 가장 중요한 요인
- 니코틴: 습관성중독물질/금단증상의 주요인
- 흡입 후 7초 만에 뇌에 도달 → 신경전달물질분비 → 흥분, 진정효과
- 흡연 20~40분 후 니코틴효과가 사라짐 → 재흡연
- 담배사용장애는 명확한 진단기준이 있는 질환이며 치료의 대상임
- 담배금단증상: 불안, 짜증, 집중곤란 등
상담 및 평가
- 5 A’S: 이 과정은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적으로 적용하며, 특히 금연동기 유발이 된 경우에는 전체 과정을 적용한다.
- 모든 환자에게 흡연여부를 질문한다.(Ask about smoking) → 담배 피십니까?
- 흡연을 하고 있다면 금연을 하도록 조언한다.(Advise tobacco user to quit) → 담배 끊으시지요.
- 흡연상태를 평가한다.(Assess smoking status) → 담배 끊을 생각이 있으십니까?
- 금연계획을 통해 환자를 돕는다.(Assist the patient with a quit plan)
- 추적관찰을 통해 금연을 유지하도록 돕는다.(Arrange follow-up)
- 니코틴 의존/갈망 평가: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FTND) 등의 척도를 통해 흡연자의 금연성공률을 예측할 수 있고,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음
- 호기 일산화탄소 검사나 소변 코티닌 검사로 금연성공 여부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
치료
- 효과적인 금연법: 행동요법 + 약물요법
- 약물요법: 1. 니코틴 대체요법 (NRT) : 니코틴 패치, 니코틴 껌, 니코틴 로젠지, 니코틴 흡입기 (국내 시판 안됨), 니코틴 스프레이 (국내 시판 안 됨); 2. 바레니클린; 3. 부프로피온 서방정; 4. 기타 약물치료: clonidine, nortriptyline, mecamylamine, naltrexone, buspirone
- 금연성공율은 바레니클린이 가장 높다.
약물요법
1. 대상자 선정 |
|
↓(약물요법을 시행하기로 한 경우) | |
2. 약물요법 시행 |
|
↓ | |
3. 약물요법 평가 |
|
신종담배
연기 없는 담배 |
|
물담배 |
|
각련 |
|
전자담배 |
|
가열담배 |
|
Practical guide: 진단/평가
핵심포인트: 모든 환자에서 금연을 권유하여야 한다( = 흡연은 만성질환이다).
- 스스로의 의지만으로 끊는 경우보다 의사의 권고가 있는 경우 2배의 효과
- 의사의 권고만으로 끊는 경우보다 의사의 행동요법 상담이 있는 경우 2배의 효과
- 행동요법만으로 끊는 경우보다 약물요법을 같이 쓸 경우 2배의 효과
핵심포인트: 금연 환자를 도와주는 방법에 익숙해져야 한다. 금연 진료 5As를 기억하자!!
- 도입초기: 1년에 최대 두 차례 등록 가능(2차수까지 지원)
- 2017년~ : 1년에 총 세 차례 등록 가능(3차수까지 지원)
2015년부터 국가 금연치료 지원 사업이 시행되면서 금연치료 참여 신청한 의료기관과 약국을 통해 금연치료를 희망하는 모든 국민에게 금연 치료를 지원하고 있다. 도입 초기에는 1년에 최대 두 차례 등록 가능했으나 2017년부터는 더 확대되어 1년에 총 세 차례 등록이 가능하니 이를 활용할 필요가 있겠다.
Practical guide: 치료
약물군 | 약물종류 |
니코틴대체치료(nicotine replacement therapy) | 니코틴 패치, 니코틴 껌, 니코틴 트로키(Troche) |
주로 사용되는 약물 | varenicline, Bupropion |
기타 약물 | clonidine, nortriptyline, mecamylamine, naltrexone, buspirone |
금연약물 | 투여예제 |
니코틴 패치 |
|
니코틴 껌 |
|
니코틴 트로키 |
|
Varenicline |
|
bupropion |
|
핵심포인트: 금연치료에서 약물 사용은 표준치료이다.
- 특별한 상황(예: 금기증이 있는 경우)이 없는 한 모든 흡연자는 약물치료의 대상이 된다.
핵심포인트: 금연약물의 선택: 금연약물 사용에 대한 금기증이 없는지 확인한다.
- “최근 2주 이내 심근경색이나 중풍, 심한 부정맥으로 치료받으신 적이 있습니까?” [니코틴 보조제 금기]
- “현재 궤양으로 약물치료 중이시라면 니코틴 보조제 사용은 어렵습니다[니코틴 보조제 금기]. 다른 경구약물 사용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건선이나 기타 심한 피부질환을 진단받으신 적이 있으신가요?” [니코틴 패치 금기]
- “과거 경련발작의 병력이 있으신가요?”[부프로피온 금기]
- “혹시 과거 우울증 병력이 있으셨나요?”[바레니클린 금기]
핵심포인트: 점진적 금연법이 새로운 금연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 금연방법에는 단연법, 절연법, 그리고 단연법과 절연법을 혼합한 점진적 금연법이 있다.
- 갑작스럽게 중단할 수 없거나 중단하고자 하지 않는 환자에서 점진적 금연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겠다(e.g. 기존 흡연량 많은 사람, 금연 준비 및 실행 단계가 아직 아닌 사람).
- 아직은 당장에 금연할 생각이 아닌 흡연자들에게도 점진적 금연 방법을 적용한다면, 금연치료 대상이 확대되니, 궁극적으로는 더 많은 흡연자들을 금연 단계로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점진적 금연 방법으로는 다음 방식이 연구로 입증된 바 있다.
흡연량 4주차까지 50% 감소 → 8주차까지 75% 감소 →12주까지 금연
- Varenicline을 사용하는 점진적 금연 방법도 한 번에 금연하는 것과 비슷하게 효과적일 것으로 여겨진다.
- NRT는 한 번에 금연하는 것이 점진적 금연보다 더 효과적일 것 같다.
핵심포인트: varenicline이 최신 금연약물요법의 핵심이다.
포인트: 금연치료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약물이다.
- 위약 대비 2배 정도 효과를 보이는 bupropion보다도 2배 정도 더 좋은 효과를 보인다.
포인트: 12주에 더해 12주를 추가로 투여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 varenicline 12주 투여 후 금연에 성공한 사람에게 12주 추가 투여 시 위약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은 금연지속률을 보인다. 따라서 처음 12주의 치료로 금연에 성공한 환자의 경우에는 장기간 금연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챔픽스를 추가로 12주간 더 투여할 것이 권장된다.
포인트: 점진점인 금연법에도 활용할 수 있다.
- 최근 흡연량을 줄이면서 금연을 시도할 수 있는 점진적인 감연법(금연법)이 추가되었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단번에 금연하기 어려운 환자에 대해서도 금연치료를 더 쉽게 권장할 수 있게 되었다. 2017년 중반 식약처로부터 단계적 금연법에 대한 용법•용량을 확대 승인받았다.
- 챔픽스 투여 시작 후 첫 4주 이내에 치료 시작 전 대비 흡연량을 50% 감소시키고 다음 4주 이내에 추가로 50%를 감소시키는 등 12주까지 완전한 금연에 성공할 수 있도록 하고, 준비가 됐을 때 더 빠른 시일 내에 금연하면 되는 것

포인트: 비교적 안전한 약물이다.
- 한동안 이슈가 되었던 suicide risk도 다른 금연보조요법에 비해 더 증가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 2016년 미FDA에서 varenicline(champix) 제품설명서에 적힌 ‘심각한 신경정신학적 이상반응’에 대한 블랙박스 경고문을 삭제할 것을 최종 승인했다. 이는 대규모 임상연구에서 정신질환 유무와 관계없이 위약 또는 다른 금연보조제(니코틴패치 · 니코틴껌)과 비교해 중등도 혹은 중증의 이상반응률을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않았다는 결론에 기인한다.
Practical guide: 신종 담배에 대한 고찰
전자담배, 가열담배(궐련형 전자담배, 찐담배) 등 신종담배의 등장으로 금연 진료 중 이에 대한 환자들의 질문을 접할 기회가 많을 것이다. 신종담배에 대해 잘 알고 수진자에서 적절하게 교육할 필요가 있다.
핵심포인트: 전자담배에 대해 알아보자!
- 전자담배를 금연의 대안으로 여기며 이를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따라서 전자담배를 피우는 수진자를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상담해줘야 하는지 입장을 정리할 필요가 있겠다.
- 전자담배는 일반 궐련의 연소과정을 거치지 않고 니코틴 용액을 기화시켜 인체로 흡입하게 하는 전자 기구이며, 이에 따라 판매 측에서는 타르 등 발암물질이 없으므로 일반 담배에 비해 훨씬 안전하다고 홍보하고 있다.
- 그러나 전자 담배가 담배를 대체해 금연에 도움이 된다는 근거가 명확치 않고 위해 인자가 존재한다. → 현재까지 CDC, WHO, AHA 를 비롯한 대부분의 권위있는 단체에서는 전자담배를 권장하지 않고 있다.
설명 예시
|
핵심포인트: "가열 담배"의 돌풍,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2017년 6월 아이코스(iQOS)라는 이름의 신종담배가 출시되면서 기존 흡연자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대한금연학회의 입장문을 토대로 이를 정리해 보았다.
용어는 "궐련형 전자담배"가 아닌 가열담배로 할 것 |
| ||||
가열담배는 궐련보다 안전한가? |
| ||||
가열담배는 간접노출 위험이 없는가? |
|
실전 처방 예시
처방예시: 니코틴 대체제를 투여하는 경우
- 종류: 껌(chewing gum), 패치(transdermal patches), 로젠지(tablets/lozenges) , 흡입기(inhalers)(국내시판 안 됨), 스프레이(oral and nasal sprays)(국내 시판 안 됨)
니코틴 보조제(NRT)의 구체적 사용법(단독요법 기준)
종류 | 용량과 사용법 | 사용 기간 |
니코틴 패치 |
| 8~12주 |
| ||
| ||
| ||
니코틴 껌 |
| 12주까지 |
| ||
| ||
니코틴 트로키① |
| 3~6개월간 |
| ||
|
① 국내에는 1, 2㎎짜리만 공급
처방예시: varenicline을 투여하는 경우
- Varenicline 복용방법(즉각적인 금연법)
금연을 준비하는 주(1주) |
|
↓ | |
금연을 시작하는 주(2-12주) |
|
- Varenicline 복용방법(점진적인 금연법)

처방예시: bupropion을 투여하는 경우
- 금연 1-2주 전부터 150mg을 오전에 복용하기 시작하여, 투여 3일째부터는 300mg으로 증량하여 복용하며, 7-12주간 복용한다.
- 웰부트린(wellbutrin) 투여 시작(금연시작일 1주일 전)
- 1-2일 150mg, 1T #1
- 3-금연종료일, 2T #2
- 1주 후 f/u
- 약물에 대한 순응도를 점검하고, 금연을 재차 격려한다.
- 웰부트린(wellbutrin) 투여 시작(금연시작일 1주일 전)
※ 보험기준: 금연 시 니코틴 의존을 치료하기 위한 단기간의 보조요법으로 투여 시에는 비급여 함.
Practical guide: 금연치료지원사업
배경 |
| ||||||||||||
프로그램 구성 |
| ||||||||||||
비고 |
|
상병명
코드 | 상병명 |
F17.2 | 담배흡연에 의한 의존증후군 Dependence syndrome due to use of tobacco |
T65.2 | 담배 및 니코틴 Tobacco and nicotine |
Case based approach
증례: bupropion을 투여한 경우
S/O | C.C: 담배를 끊고 싶다.
비만 여성으로 금연 후 체중증가에 대한 걱정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우울증 병력도 가지고 있다. |
A |
|
P |
bupropion은 항우울제로서 우울증 병력을 가진 경우 유용할 수 있다. 체중증가 지연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어 본 증례에서는 varenicline보다도 유리한 면이 있다. varenicline은 정신과적 질환의 병력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하기 조심스러운 면이 있다. |
▼ | |
S/O |
|
P |
bupropion은 7-12주 정도 투여해 볼 수 있다. 2주 정도 간격으로 f/u하면서 금연상황을 monitoring하면 되겠다. |
증례: varenicline을 투여한 경우
S | C.C: 담배를 끊고 싶다.
| ||||||
O |
| ||||||
A |
| ||||||
P |
=== varenicline tartrate (Champix tab. 0.5 mg) 1T #1 × 3days varenicline tartrate (Champix tab. 0.5 mg) 2T #2 × 4days
|
| S/O | P |
2회 | 잘 지낸다. 불편한 것은 없다. | varenicline tartrate (Champix tab. 1 mg) 2T #2 x 7days |
3회 | 꿈을 많이 꾼다. 가끔 구토감이 있다. | varenicline tartrate (Champix tab. 1 mg) 2T #2 x 14days 메스꺼움이 흔한 부작용이다. 메스꺼움을 줄이기 위해 식후 30분에 충분한 물과 함께 복용하도록 교육한다. |
4회 | 담배를 안 핀다. 속이 울렁거린다. | varenicline tartrate (Champix tab. 1 mg) 2T #2 x 14days |
5회 | 담배를 안 핀다. 가끔 담배가 꿈에 나타난다. | varenicline tartrate (Champix tab. 1 mg) 2T #2 x 14days 수면장애, 생생한 꿈 등도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다. |
6회 | 담배를 안 핀다. 이번으로서 금연사업 종결 | varenicline tartrate (Champix tab. 1 mg) 2T #2 x 28days varenicline은 보통 12주를 투여한다. 상황에 따라 12주를 연장해서 투여할 수 있다. 12주 연장 투여 시 금연율을 더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