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ore review
백혈구감소증: 중성구감소증(호중구감소증, neutropenia)
호중구의 기능
호중구 감소증의 정의
임상양상
호중구 수치에 따른 임상양상
호중구 감소증이 있는 환자에서의 감염증
호중구 감소증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
약제에 의한 경우: 임상적으로 접할 수 있는 가장 흔한 호중구 감소증의 원인
백혈구감소증: 림프구감소증(lymphopenia)
림프구감소증이란?
감별진단
Practical guide: 백혈구 감소증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핵심포인트: 백혈구 감소증(leukopenia)은 대개는 중성구감소증(neutropenia)으로부터 기인한다.
핵심포인트: 동반된 증상을 파악해보자!
포인트: neutropenia의 경우 종종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는 감염의 증상, 징후를 동반하곤 한다.
포인트: 비장비대(splenomegaly)를 동반한 경우 대개는 thrombocytopenia와도 연관되어 있다.
포인트: neutropenia의 대부분은 anemia and/or thrombocytopenia와 연관되어 있다.
포인트: 약물이나 감염이 강하게 의심되지 않는다면 일차혈액질환을 배제하기 위해 골수검사가 필요하다.
핵심포인트: 백혈구 감소증의 가장 흔한 원인 2가지는 감염과 약물이다.
포인트: 호중구감소증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은 감염이다.
포인트: 약물도 백혈구 감소증의 흔한 원인이다.
핵심포인트: neutropenia와 동반되지 않은 Lymphopenia는 드물다.
Core review
백혈구감소증: 중성구감소증(호중구감소증, neutropenia)
호중구의 기능
- 정상인에서 호중구는 순환 백혈구의 반 이상을 차지하며, 이들은 화농 세균감염에 대한 체내의 주된 방어 작용을 한다.
호중구 감소증의 정의
- 호중구가 1.5×109/L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임상양상
호중구 수치에 따른 임상양상
호중구 수치 | 임상양상 |
1.0~1.5×109/L |
|
0.5~1.0×109/L |
|
<0.5×109/L |
|
호중구 감소증이 있는 환자에서의 감염증
- 흔한 감염 부위: 폐, 비뇨기계, 장, 입안과 목, 피부 등
- 원인균
- 포도알균, 녹농균 및 대장균을 포함한 장내 세균들에 의한 경우가 흔하다.
- 진균감염이나 바이러스감염은 매우 드물다(항암제에 의한 호중구감소증은 제외).
호중구 감소증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
- 크게 다음 2가지로 분류한다.
- 골수내의 문제로 생산과정이나 성숙단계에 이상이 있는 경우
- 말초혈액에서 소모되거나 비장 등에 저류되는 경우
유발기전 | 해당질환 |
골수 내의 문제 | |
생산감소 |
|
성숙 장애 |
|
말초혈액 내의 문제 | |
파괴 증가 |
|
말초 저류(비장 등) |
|
약제에 의한 경우: 임상적으로 접할 수 있는 가장 흔한 호중구 감소증의 원인
조혈전구세포 증식 억제 | 자가면역에 의한 말초파괴 |
|
|
약물군 | 약물 |
항경련제 | Carbamazepine, valproic acid, diphenylhydantoin |
항갑상선제 | Carbimazole, methimazole, propylthiouracil |
항생제 | Penicillins, cephalosporins, sulfonamides, chloramphenicol, vancomyc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
항정신병제 | Clozapine |
항부정맥제 | Procainamide |
항류마티스제 | Gold salts, hydroxychloroquine, penicillamine |
항염증제 | Aminosalicylates, NSAIDs |
백혈구감소증: 림프구감소증(lymphopenia)
림프구감소증이란?
- 림프구가 1.5×109/L 미만으로 감소한 경우
- 중증 림프구감소증: 0.7×109/L 미만으로 감소한 경우
감별진단
림프구감소증의 주요 원인
|
Practical guide: 백혈구 감소증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핵심포인트: 백혈구 감소증(leukopenia)은 대개는 중성구감소증(neutropenia)으로부터 기인한다.
- 아무래도 중성구가 백혈구 분율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 백혈구 감소증의 대부분은 absolute neutropenia (<2500 cells/mm3)에 의해 발생하고 드물게는 absolute lymphopenia (<1000 cells/mm3)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한다.
- 대개 중성구감소증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백혈구 증가증만큼 감별계수가 중요한 역할을 하지는 않는다.
백혈구감소증은 거의 중성구감소증이라고 봐도 무방하기 때문에 이후부터는 중성구감소증을 위주로 논하고자 한다.
핵심포인트: 동반된 증상을 파악해보자!
- adenopathy, splenomegaly, ecchymoses, petechiae, 감염 징후 등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 빈혈, 혈소판감소증의 동반여부도 중요하다.
포인트: neutropenia의 경우 종종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는 감염의 증상, 징후를 동반하곤 한다.
- 아울러 fever focus가 애매모호한 형태의 발열로 나타나는 경우도 흔하다.
- neutropenic fever의 경우 배양검사를 한 후 즉각 광범위 항생제를 투여할 필요가 있다.
포인트: 비장비대(splenomegaly)를 동반한 경우 대개는 thrombocytopenia와도 연관되어 있다.
- 비장비대인 경우 splenic sequestration에 의해 neutropenia를 유발할 수 있는데 대개는 thrombocytopenia와 연관되어 있다. 가능한 원인으로는 cirrhosis, sarcoidosis, glycogen storage diseases 등이 있다.
- 골수검사가 진단적이지 않고 splenomegaly, 자가면역질환의 증거가 없다면 드물긴 하지만 chronic neutropenic states를 고려해야 한다. 연속적으로 혈구검사를 하면서 지켜볼 수 있다.
포인트: neutropenia의 대부분은 anemia and/or thrombocytopenia와 연관되어 있다.
- 약물에 의한 경우나 감염에 의한 경우 모두 neutropenia뿐만 아니라 anemia, thrombocytopenia와 연관될 수 있다. 즉 pancytopenia를 보인다고 해서 무조건 primary hematologic disorders는 아니란 의미이다.
포인트: 약물이나 감염이 강하게 의심되지 않는다면 일차혈액질환을 배제하기 위해 골수검사가 필요하다.
- 의심되는 약물이 있거나 감염이 의심된다면 의심되는 약을 끊고, 감염질환을 치료하면서 백혈구수치를 자주 f/u하며 경과관찰해볼 수 있다. 만약에 neutropenia가 5-7일 내에 호전되지 않는다면 골수검사를 고려해야 한다.
핵심포인트: 백혈구 감소증의 가장 흔한 원인 2가지는 감염과 약물이다.
- 호중구 감소증인지, 림프구감소증인지에 따라 원인은 약간 차이가 있지만 백혈구감소증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 2가지는 감염, 그리고 약물이다. 따라서 백혈구감소증에서는 감염병력 및 복약력 파악이 중요하다.
포인트: 호중구감소증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은 감염이다.
- 다양한 감염에서 호중구감소증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 중 바이러스 감염이 특히 중요하다.
- 바이러스 감염: Epstein-Barr, cytomegalovirus, HIV, hepatitis, measles
- 세균 감염: severe 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organisms
- 기타 감염: Mycobacterium, typhoid fever, malaria, fungi
- 바이러스 감염은 감염 후 바이러스 혈증이 발생하는 처음 1~2일에 호중구감소증이 주로 발생하며 3~7일간 지속된다.
- 감염에 의한 경우 대부분 기저질환인 감염이 호전되면 백혈구감소증도 자연스레 회복되는 경향을 보인다.
포인트: 약물도 백혈구 감소증의 흔한 원인이다.
- 약제에 의한 혈구감소증은 호중구감소증 단독으로 나타나기보다는 범혈구감소증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 여러 가지 기전에 의해 백혈구 감소증이 발생할 수 있다.
핵심포인트: neutropenia와 동반되지 않은 Lymphopenia는 드물다.
- 약물(예. steroids), radiation injury, renal failure, 일부 바이러스 감염(특히 HIV)에 의해 absolute lymphopenia가 발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