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근골유합(발목융합, Tarsal coalition)


목차

개요

족근골 유합(tarsal coalition)은 생각보다 흔하지만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고 일부에서 증상을 보일 수도 있으나 막연한 증상이라 혼란스러울 수 있다. 골성 유합(bony coalition)은 그나마 뼈의 변형이 있어 CT라도 찍으면 확실하지만 연골성 유합(cartiligenous coalition)은 그마저 불확실하다.

 


족근골 유합이란?

  •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족근골이 서로 연결된 경우로 골성, 연골성 혹은 섬유성 결합을 이루어 중족부와 후족부에 완전 혹은 부분 유합이 일어나는 질환

족부의 특정 위치에서 발견되는 발달상의 비정상소견이다.

  • 비정상적인 관절을 형성하여 인접 관절 내에 퇴행 변화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진행

 

  • 유병률: 전 인구의 1% 미만

이는 증상이 있는 경우(관절운동 제한, 강직 평편족 등)에 대한 통계자료이며 유합증이 있으나 증상이 없는 환자까지 포함하면 그 수치는 6%∼7% 정도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정상적 거골하 관절의 움직임 방해 -> 발목의 외번, 내번, 전방활주 운동 제한 → 통증, 압통, 추가적으로 평발 변형 유발 가능

 


원인

  • 족근골 유합의 명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분할 단계의 결함이 발생하여 족근골 유합 발생
  • 크게 선천적인 경우와 후천적인 경우로 구분 가능

선천적인 원인

vs.

 후천적인 원인

  • 배아 중간엽의 분화와 분절화의 실패에 기인하는 경우
  • 상염색체 우성의 유전 형태
  • 후천적 족근 골 결합의 경우보다 더 흔하며, 초기에는 증상이 없이 지내다가 청소년기에 이르러 발병
  • 족근골 결합은 대부분에서 단독으로 발생하지만, 다른 사지 기형과도 동반 가능
  • 관절 내 골절, 골 종양, 골 괴사 후에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 선천 족근골 결합에 비하여 드물며, 성인에서 주로 발생

 


분류

  •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분류, 골 결합의 조직학적 형태에 따른 분류, 결합의 정도에 따른 분류 등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분류

  • 종골-주상골 간 유합증(calcaneonavicular coalition), 거골-종골 간 유합증(talocalcaneal coalition), 종골-입방골 간 유합증(calcaneocuboid coalition)

이미지

 

대부분의 유합증은 종골-주상골 간 유합증(53%) 및 거골-종골 간 유합증(37%)으로, 그 비율은 90% 정도

  • 전체 족근골 결합 환자의 약 50%에서는 양측으로 발생
  • 거종 결합에서의 흔한 침범부위는 중간 관절 소면, 후방 관절 소면, 전방 관절 소면 순

 


조직학적 형태에 따른 분류

  • 결합 형태에 따라 연골성, 섬유성, 골성 및 혼합성으로 분류
    1. 불완전 결합: 연골 또는 섬유조직으로 연결된 경우
    2. 완전 결합: 골로 연결된 경우
  • 거종 결합은 연골성, 섬유성, 골성 결합 형태가 비슷한 정도의 분포를 보이며, 종주상골 결합은 대부분이 비골성 형태로 발현

 

 

 

진단

증상/병력

  • 족근 골 결합이 있는 환자는 대부분 골간 결합이 점차로 골화되면서 관절 역학이 변화함에 따라 증상 발생
  • 대체로 10대로, 종주상 결합은 8세에서 12세 사이에, 거종 결합은 12세에서 16세 사이에 증상 발생
  • 통증: 가장 흔한 증상
    • 과격한 운동이나 족관절의 염좌 후에 악화되는 거골하 혹은 족근 동 부위에 미만성의 둔한 통증
  • 종주상 결합(calcaneonavicular coalition)의 경우 족근동에, 거종 결합(talocalcaneal coalition)의 경우 내측 거골하 관절에 국한된 통증 발생
  • 통증의 원인: 골간 결합부위와 골 사이의 경계면에서 미세 골절과 정상 골의 재형성 과정 발생 → 골막의 신경 섬유를 통하여 통증 유발
  • 골간 결합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정도의 거골하 강직, 후족부 외반변형 발생

 


신체검사

  • 거골하 관절의 운동 제한
  • 족근동 혹은 중간 관절 소면 부위에 압통
  • 족근골 결합 대부분에서 족관절의 수동적 내, 외번 운동 시 제한 소견

 

 

영상검사

단순 X선

  • 족근골 결합의 비정상적 관절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차적인 소견

 

거종 결합: 측면 사진

talar beak

거골 두 상연의 거친 돌출면

(거골 경부의 족관절 관절막의 부착부 근위부에서 발생하는 골 관절염의 결과)

C 징후(C sign)

족부의 측면 사진에서 거골의 내측 피질골과 종골의 재거 돌기의 하부 피질골사이에 연속적인 궁이 형성되어 생기는 소견

anteater nose sign

종골의 전방 돌기가 두꺼워지고 신연되는 소견

nonvisualization middle facet

거골하 관절의 중간 소면이 좁아져서 관절면 피질골이 보이지 않게 되는 중간 관절 소면의 소실

dysmorphic sustentaculum tali

재거 돌기가 커져서 편평한 벽돌 모양이 아닌 타원형을 띄게 되는 재거 돌기의 이형성

short talar neck

종골의 전방부에 비해 거골 경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는 거골 경부의 단축

종주상 결합: 전후면 사진

wide navicular

거골 두의 관절면 피질골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상골의 근위 관절면 피질골이 넓게 보이는 넓어진 주상골 소견

laterally tapering navicular

주상골 측면부에서 내측에 비해 좁은 외측 부분이 좁아지는 소견

 

이미지

이미지

talar beak

C sign

 

Kjeldsberg는 족근 골 결합을 진단하는 데 있어서 이상의 족부의 전후면 및 측면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나타나는 이차적인 소견을 통해, 종주상 결합을 진단하는 데 100%의 민감도와 97%의 특이도를 보여 CT, MRI에 못지않음을 주장하였다.

 

CT

  • 족근 골 결합을 진단하기 위한 표준 영상 촬영
  • 특히 거종 결합을 평가하는 데에는 CT가 가장 우수
  • 축상면, 관상면 촬영
    • 축상면 촬영: 거주상 및 종입방 관절 평가 가능
    • 관상면 촬영: 거골하 관절에 수직면으로 시행 → 거종 결합 평가

 

MRI

  • 족근 골 결합의 특성 즉, 골성 혹은 비골성 결합 평가/인접 관절의 이차적인 관절염유무 평가

 

핵 영상 검사

  • 골 주사 검사: 족근 골 결합의 일차적인 선별 검사로 유용

 


 

치료

  •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골 결합의 위치, 정도, 퇴행성 관절염의 유무, 증상의 심한 정도에 따라 결정

 

비수술적 치료

  • 증상이 있는 족근골 결합의 일차적인 치료는 보존적인 치료
  • 활동량 제한
  • 보조기: 내측 발뒤꿈치 쐐기나 족저궁 지지대와 같은 기능성 보조기, 족부 변형의 악화를 막기 위한 UCBL (University of California Biomechanics Laboratory) 보조기
  • 약물치료: NSAIDs
  • 석고고정: 상기 방법으로도 증상이 지속될 경우 3주에서 6주간 석고 고정 시행 → 비정상적인 관절 부하↓, 미세골절 치유↑

 

수술적 치료

  • 환자의 나이와 골 성숙 정도, 활동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
  • 적응증: 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 수술방법
    1. 종주상 결합: 골 결합의 절제 혹은 관절 고정술
    2. 거종 결합: 골 결합의 제거, 관절 고정술
    3. 구제술: 거종 결합 혹은 종주상 결합에 대한 수술적인 치료로 골 결합부 절제술이 적절하지 못하거나, 골 형성이 재발하거나, 인접 관절에 퇴행성 변화가 초래되는 경우, 수술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 

 

> Dr. 김지형의 코멘트
일단 소염진통제를 쓰고 다른 족부 통증과 마찬가지로 자신에게 맞는 적절한 신발을 선택하고, 적절한 생활습관에 신경써야 합니다. 족근골 유합에 대해서는 수술적 치료를 할 수 있는데, 진료의뢰서에 족근골 유합의증이라고 쓰면 되겠습니다. 수술 결과도 진단처럼 다소 불확실합니다.


참고자료

  • Park Y-W, Seo I-W. Tarsal Coalitions.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2012;16(3):141–7.
  • Kim J-H, Gwak H-C, Lee C-R, et al. Incidence of Tarsal Coalition: An Institu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alysis.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2016;20(3):116–20.
  • Wähnert D, Grüneweller N, Evers J, Sellmeier AC, Raschke MJ, Ochman S. An unusual cause of ankle pain: fracture of a talocalcaneal coalition as a differential diagnosis in an acute ankle sprain: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BMC Musculoskelet Disord 2013;14:111.
  • Kim TY et al. Prevalence of Tarsal Coalition in the Korean Population: A Single Institution-Based Study.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20;55(4):324–30.
  • Park Y-W, Yoon T-K, Jeong U-S. Operative Treatment of Tarsal Coalitions.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2003;7(1):41–6.
 
 
PC
화면
메모
+

필진 모집 안내

바른의학연구소와 함께 하실 필진을 모집합니다.
(대한임상진료학회 소속으로 집필 참여)
1. QBook (의사국가시험 문제집)
  • 과목: 산부인과, 예방의학, 의료법규 (그 외 관심있는 과목이 있을 경우 협의가능)
2. QBook Resident (전공의 시험 문제집)
  • 과목: 내과, 외과, 소아과, 산부인과
3. QBook CPX/OS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