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전족부 통증의 흔한 원인
Morton's 지간 신경종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해부
발의 plantar nerves
- 내측 족저 신경: 후경골 신경의 분지. 제1, 2, 3 족지간 물갈퀴 공간에 공통 족지 신경(common digital nerve) 분지
- 외측 족저 신경: 제4 공통 족지 신경 분지. 제4 족지간 물갈퀴 공간에 위치
제4 공통 족지 신경에서 제3 족지간 물갈퀴 공간에 교통 분지(communicating branch)를 내는 경우에는 두 신경이 만나 두꺼워지게 되고 외상이나 압박에 취약하게 됨 - 공통 족지 신경
횡형 중족골 골간 인대의 바로 원위부에서 고유 족저 족지신경으로 끝나 족지간 피부의 감각 담당
발바닥의 인대
- 횡형 중족골 골간 인대(transverse metatarsal ligament)
- 천층과 깊은층으로 구분
- 깊은층: 훨씬 더 굵고 단단. 족지간 신경이 바로 아래를 지남. 족배부에서 주사 치료를 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해부학적 구조물
neurovascular bundle(deep transverse metatarsal ligament 바로 밑에 위치)
Morton 지간 신경종이란?
- 족부에서 발생하는 신경 압박 증후군의 가장 흔한 형태
- 1876년 Thomas Morton이 기술하여 Morton 신경종이라고 불리고 있음
- 진정한 신경의 종양이 아닌 중족지골 두부 위치에서 중족골간을 주행하는 족저지 신경(plantar digital nerve)을 침범하는 신경주위의 섬유화(perineural fibrosis)
이름은 신경종이지만 신경의 종양은 아닙니다. 중족골 두부 위치(보통 제 3∼4 중족골 사이)에서 중족골간을 주행하는 족지간 신경이 횡형 중족골 골간 인대를 지나면서 압박되어 나타나는 신경 종창, 신경주위의 섬유화(perineural fibrosis)입니다. 즉 압박성 신경병증입니다.
원인
- 크게 해부학적 요인, 외적 요인, 외상성 요인으로 구분 가능
해부학적 요인 | 외적 요인 | 외상 |
|
|
|
주로 중년 여성에서 호발하며 하이힐 구두를 오랫동안 신는 것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무지외반증을 가지고 있는 중년 여성에서 지간 신경종을 동반한 경우를 자주 볼 수 있으며, 일단 무지외반증이 발생하면 나머지 족지의 동반변형이 뒤따르면서 지간 신경종 발생에 취약해집니다.
진단
증상/병력
- 주 증상: 특정 발가락의 통증을 포함한 감각이상
- 제2지간(2, 3 발가락 사이), 제 3지간(3, 4 발가락 사이)에 발생
- 서있거나 걸을 때 통증 발생
- 통증은 전족부 체중 부하 활동과 좁은 신발에 의해 증가됨
- 발가락으로 방사되는 통증이나 저린감을 호소하기도 함
> Dr. 김지형의 코멘트 이 부위에 생기는 통증은 흔히 보는 통증이 아닌 신경성 통증으로 찌르는 듯 날카로운 통증입니다. |
신체검사
- 물갈퀴 공간 압박 검사
- 국소화된 압통
- Mulder’s sign: 압박 검사에 의해서 나타나는 통증성 클릭
광범위한 만성 증식이 있는 경우에는 중족골 두부 압박 시 만져지는 딸깍음(Mulder’s click)이 나타날 수 있다.
- 유발검사: 과도한 회내는 중족골 과운동성, 지간 신경의 충돌 유발 가능
영상 검사
- 단순 방사선 검사: 특이 소견 없음
- 초음파 검사: 전족부 3∼4번 또는 2∼3번 중족골두 사이 공간에 원형의 저에코 종괴가 눌리는 소견
치료
치료는 우선적으로 보존적 방법을 시행하고 증상이 완화되지 않을 때 수술적 치료를 고려합니다.
비수술적(보존적) 치료
우선 보존적 치료는 지간 신경종이 신경포착증후군이라는 가설하에 전족부의 신경압박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시행됩니다.
치료 전 이환 기간이 짧을 수록 보존적 치료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보존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 발환경 개선
- 신발: 폭이 넓고 부드럽고 굽이 낮은 신발
- 중족골두 근위부에 붙이는 중족골 패드나 보조 깔창 같은 보조기사용 → 중족골에 걸친 하중을 분산시켜 전족부 압박
- 약물요법
- NSAIDs
- 항뇌전증제
= 저용량 gabapentin(300-600 mg)을 최소 3개월 투여하면 환자의 80% 이상에서 통증이 감소되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 주사요법
-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때는 다음 단계로 병변내 스테로이드, 국소마취제 또는 알코올 주사 치료 시도
- 병변내 스테로이드 주입법: 3회 이상 시행은 피할 것(혈관 확장, 피부 변색, 지방 조직 위축 등의 부작용)
- 병변내 알코올 주입법: 70% 이상의 환자에게서 통증을 감소시키는 만족할 만한 결과도 있음
-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때는 다음 단계로 병변내 스테로이드, 국소마취제 또는 알코올 주사 치료 시도
- 기타
- 물리치료
- 체외충격파: 최근 지간 신경종에 체외충격파를 시도하여 통증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얻었다는 보고 존재
수술적 치료
- 보존적인 요법을 약 3~4개월간 시행해도 반응이 없거나 계속 증상을 호소하면 신경절제술 고려
- 수술 적응증(국내 특정 논문): 다음과 같은 조건을 모두 만족시 수술 시행
- 일상생활이 불편
- 신체검사상 Mulder’s click(+)
- 초음파 검사상 최소 3mm 이상
원인이 되는 중족골 사이의 인대를 절제하여 신경에 가해지는 압박을 풀어주는 수술만을 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이와 함께 지간 신경종 자체를 절제하는 수술을 시행한다.
참고자료
- Lee KT, Park YU, Kim K-C, Song Y-D. Common Foot and Ankle Diseas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0;53(3):236.
- Jung H-G, Kim T. Clinical Approach of Common Foot and Ankle Disord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Rheumatism Association 2010;17(4):348.
- Lee KT, Lee YK, Young KW, Kim HJ, Park SY. Results of operative treatment of double Morton’s neuroma in the same foot. Journal of Orthopaedic Science 2009;14(5):574–8.
- Young K-W, Lee H-S. Morton’s Neuroma. J Korean Orthop Assoc 2017;52(4):298.
- Park H-W. Morton’s Neuroma (Interdigital Neuritis).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2011;15(2):58–61.
- Chu I, Jang H, Park H-W. Corrective Osteotomy of Metatarsal Bone for Surgical Treatment of Morton’s Neuroma. J Korean Foot Ankle Soc 2015;19(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