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무지 외반증에 이어 두 번째로 호발하는 무지의 병변
- 제1 중족 족지 관절에 국한된 퇴행 관절염
- 보행이나 체중 부하 시 악화되는 통증, 관절 운동의 제한, 신발 착용의 불편감, 방사선 사진상 퇴행 관절염 소견 등의 특징을 보이는 질환
> Dr. 김지형의 코멘트 크게 보면 퇴행 관절염의 일부라고도 볼 수 있는데, 강직이 된다는 특징, 관절연골이 닳는 것과 별개로 골극에 의한 통증이 크다는 점에서 별도로 다루고 있습니다. |
진단
해당 관절의 동통을 동반한 관절의 운동 범위가 감소되며, 방사선 사진상 퇴행 관절염의 소견을 보이는 특징을 가집니다.
증상/병력
- 엄지발가락의 중족지절에 퇴행 관절염 발생 → 통증(골극 등의 자극으로 인한 통증, 발가락을 움직일 때 악화), 발가락 움직이는 범위의 현저한 감소
영상 검사
- 양측 족부 체중부하 전후면, 측면, 시상면 사진
- 전후면 사진(체중부하): 관절면이 줄고, 골극이 관찰되는 전형적인 퇴행 변화
- 제 1중족지간 관절의 관절 간격과 중족골두의 모양의 변형
- 측면 사진
- 관절 운동을 방해하는 골극 존재 여부, 연골하부 골경화 및 연골하 낭종 발생 여부
- 중족골두 변형(특히 배부)
분류
- Coughlin과 Shurnas 분류법
- 제 1중족지간 관절의 운동 범위와 방사선 사진상의 소견 및 임상적 증상의 정도 등을 종합하여 분류
- 0∼4기
Hallux Rigidus의 Classification System
Grade | Dorsiflexion | Radiographs | Clinical |
0 | 40–60 | Normal | No Pain Stiffness with loss of motion |
1 | 30–40 | Dorsal osteophytes Minimal narrowing Minimal flattening | Mild pain and stiffness Pain with maximum Dorsiflexion/Plantarflexion |
2 | 10–30 | Global osteophytes Mild/moderate narrowing | Moderate to severe pain and stiffness Relatively constant Pain near extreme ROM |
3 | <10 | Cystic changes | Nearly constant pain and stiffness No midrange pain |
4 | <10 | Same as grade 3 | Grade 3+ midrange pain |
감별진단
엄지발가락의 중족지관절(MTP) 통증의 감별진단
|
비슷하지만, 감별해야 할 질환들이 꽤 있습니다.
치료
초기에는 보존적 방법을 시행하다가 증상이 악화되면 수술적 방법을 고려하게 된다.
비수술적 치료
- 신발, 깔창: 통증 부위가 자극받지 않고록 신발이나 깔창으로 조절
- 약물: NSAIDs
수술적 치료
- 적응증: 비수술적 치료로 반응이 없을 때 수술 고려
- 수술방법
- 골극 제거술, 종자골 절제술, 골연골 이식술(osteochondral autograft), 중족골 절골술, 근위지골 절골술, 절제관절 성형술, 삽입관절 성형술, 인공관절 치환술 및 관절 유합술 등
- 병의 진행 정도, 나이, 활동도 등 고려
- 통증이 주로 관절의 등쪽에만 국한된 경우: 발등 쪽의 튀어나온 골극만 제거해주는 수술
- 심한 퇴행 변화: 관절 유합술(fusion) 필요
아직까지 표준화된 술식이 없으며, 심한 관절염이 있는 경우에서는 관절 유합술을 권유하고 있다.
- 수술 목적: 변형 교정, 통증 감소, 제 1열 기능 향상, 전이성 중족지통 예방
초기 | 중기 | 제 1중족지 관절의 관절염이 진행된 시기 |
▼ | ▼ | ▼ |
종자골 절제술, 제 1중족지간 관절의 감압이 필요하지 않는 골극 제거술 단독 시행 혹은 근위 지골 절골술을 병합하여 시행 | 중족골의 단축을 동반하는 중족골 교정 절골술 시행 | 삽입 관절 성형술, 절제 관절 성형술, 인공관절 치환술 또는 관절 유합 등 |
> Dr. 김지형의 코멘트
|
참고자료
- Lee YH, Ahn GY, Nam IH, et al. Shortening Scarf Osteotomy for Treatment of Hallux Rigidus Deformity.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2016;20(4):152–7.
- Chae SU, Kim YJ, Jo HJ, Choi DH, Cha MS. Hallux Rigidus with Osteochondroma of the Hallucal Proximal Phalanx (A Case Report).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2013;17(1):60–3.
- Kim Y-M, Cho B-K, Kim D-S, et al. The Distal Metatarsal Dorsal-Wedge Osteotomy Using Bio-Compression Screw for Advanced Hallux Rigidus.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2012;16(1):38–46.
- Simpson GA, Hembree WC, Miller SD, Hyer CF, Berlet GC. Surgical strategies: hallux rigidus surgical techniques. Foot Ankle Int 2011;32(12):1175–86.
- Warganich T, Harris T. Moberg Osteotomy for Hallux Rigidus. Foot Ankle Clin 2015;20(3):433–50.
- Lucas DE, Hunt KJ. Hallux Rigidus: Relevant Anatomy and Pathophysiology. Foot Ankle Clin 2015;20(3):381–9.
- Kunnasegaran R, Thevendran G. Hallux Rigidus: Nonoperative Treatment and Orthotics. Foot Ankle Clin 2015;20(3):401–12.
- Lam A, Chan JJ, Surace MF, Vulcano E. Hallux rigidus: How do I approach it? World J Orthop 2017;8(5):364–71.
- Ho B, Baumhauer J. Hallux rigidus. EFORT Open Rev 2017;2(1):13–20.
- Maceira E, Monteagudo M. Functional hallux rigidus and the Achilles-calcaneus-plantar system. Foot Ankle Clin 2014;19(4):669–99.
- Hamid KS, Parekh SG. Clinical 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Hallux Rigidus. Foot Ankle Clin 2015;20(3):391–9.
- Razik A, Sott AH. Cheilectomy for Hallux Rigidus. Foot Ankle Clin 2016;21(3):4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