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박리 골연골염이란?
- 원인이 불확실한 관절내 골연골증(osteochondrosis)
- 연골하골(subchondral bone)의 무혈 변화(avascular change)와 관절연골의 퇴행 변화가 나타나 치유되지 않았을 때 연골하골을 덮고 있는 연골이나 골이 분리되어 관절내 유리체(loose body)를 발생시키는 질환
- 관절내 유리체의 가장 흔한 원인: 연골하 골의 부분적인 괴사와 관절 연골의 퇴행 변화로, 골의 일부분이 주위 골과 분리하게 되면, 유리체가 발생
- 주로 아동 및 청소년기에 호발하며, 남자에 많고, 양측성으로 발생하는 수가 많음
- 호발 부위: 무릎 안쪽 대퇴 관절돌기(condyle, 돌기)에서 흔히 발생
분류
osteochondritis dissecans (OCD)의 여러 분류체계
Plain radiographs; Berndt and Hardy | MRI; Dipaola et al | Arthroscopy; Guhl | |||
Stage 1 | Small area, compression subchondral bone | Type I | Thickening of articular cartilage, but no break | Type I | Softening and irregularity of cartilage but no fragment |
Stage 2 | Partially detached OCD fragment | Type II | Breached articular cartilage, low signal rim behind fragment indicating attachment | Type II | Breached articular cartilage, with the fragment not displaceable |
Stage 3 | Fully detached OCD fragment, still in underlying crater | Type III | Breached articular cartilage, with high signal T2 changes behind fragment suggesting fluid around lesion | Type III | Definable fragment, partially attached but displaceable (flap lesion) |
Stage 4 | Complete detachment/ loose body | Type IV | Loose body and defect of articular surface | Type IV | Loose body and defect of articular surface |
진단
증상/병력
- 관절내 유리체의 일반 증상과 동일
-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 발을 외회전하여 보행하려 함
- 대개 부위가 명확하지 않은 무릎통증 호소, 조조 경직, 재발성 삼출액의 증상 호소
- 관절내에 유리체가 있는 경우: 무릎 관절이 잡아당겨지거나 걸려있는 듯한 느낌 등의 기계적인 증상을 호소하기도 함
신체검사
- 네갈래근 위축, 압통(병변이 있는 연골 부위)
- 약간의 관절 삼출액
- Wilson test
Wilson test
- 대퇴골 내과와 내측 경골 극돌기의 충돌을 막기위해 발을 외회전하여 보행하려는 소견
영상 검사
단순 X선
- 골연골 병변이나 무릎 관절의 유리체 소견
- 소견
- 초기에는 음성이나, 점차로 괴사 부위의 방사선 밀도 증가 및 주위의 방사선 밀도 감소의 소견이 나타남
- 괴사 골편이 분리되면, 관절 면 결손 관찰 가능
- 대퇴골 과간 절흔 상(tunnel view): 호발 부위인 대퇴골 내과 외측 면 관찰에 유리

MRI
- 골연골 병변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가장 민감도가 높은 검사 방법
치료
- 운동치료, 약물치료와 같은 보존치료를 먼저 시행하며 필요한 경우 수술 시행
- 발병 연령, 질환의 크기, 위치 및 상태에 따라 각기 치료를 달리하는 것이 원칙
- 질병 초기 혹은 소아인 경우: 약 3개월간 체중 부하를 피하고 절대 안정을 취함. 그러면 괴사 골편이 흡수되고 신생 골로 대치되어 치유 가능
- 성인인 경우: 가능하면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 관절 운동 제한 같은 분명한 증상이 계속될 때만 수술
- 수술
- 수술을 요할 경우, 가능하면 괴사 골편을 원위치에 고정시키도록 함
- 이환된 관절의 연골 중 비교적 덜 사용되는 부위로부터 자가 연골 이식(autogenous cartilage graft)을 시행하기도 함
무릎 Osteochondritis dissecans의 치료흐름도

ACI: autologous chondrocyte implantation; OATs, osteochondral autologous transplantation
참고자료
- 대한통증학회. 통증의학 4판(2012년). 15장. P186.
- Kim HS, Yun DH. Rehabilitation of Sports-related Knee Injury. Hanyang Medical Reviews 2009;29(1):77–83.
- Jones MH, Williams AM.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knee: a practical guide for surgeons. Bone Joint J 2016;98-B(6):723–9.
- Randsborg P-H, Kjennvold S, Røtterud JH. Arthroscopic Fixation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Knee Using a Motorized Pick and Headless Compression Screws. Arthroscopy Techniques 2019;8(10):e1115–20.
- Carey JL, Grimm NL. Treatment algorithm for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knee. Clin Sports Med 2014;33(2):375–82.
- Accadbled F, Vial J, Sales de Gauzy J.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knee. Orthop Traumatol Surg Res 2018;104(1S):S97–105.
- Bauer KL, Polousky JD. Management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Lesions of the Knee, Elbow and Ankle. Clin Sports Med 2017;36(3):469–87.
- Weiss JM, Shea KG, Jacobs JC, et al. Incidence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in Adults. Am J Sports Med 2018;46(7):1592–5.
- Moktassi A, Popkin CA, White LM, Murnaghan ML. Imaging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Orthop Clin North Am 2012;43(2):201–11, v–v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