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이분 슬개골이란?
- 슬개골 골절로 오인되는 질환
- 소아 때 골화 중심의 유합부전이 원인
> Dr. 김지형의 코멘트 슬개골의 상외측에 분명한 골절선이 있지만, 통증이 없다면 원래부터 있었던 이분슬개골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분류
이분 슬개골의 분류: Saupe Classification
- Type I : Inferior pole of the patella (5%)
- Type II : Lateral margin (20%)
- Type III : Superolateral pole (75%)
진단
병력/신체검사
- 대부분의 경우 분리된 슬개골의 작은 골이 모체의 상외측에 위치하고, 대개 무증상
> Dr. 김지형의 코멘트 흔치는 않지만, 이분슬개골이 있는 자리에 외상이 가해져 추가적인 견열골절이 생긴다면 감별진단이 애매해질 수 있습니다. |
영상검사
- X-ray
- 슬개골 골절과의 감별
- 이분 슬개골을 시사하는 소견: 경계면이 부드러움, 양측성
잠깐만! 슬개골 골절과의 감별이 중요!!
|
치료
- 무증상: 치료 불필요
- 증상(+)
- 보존적 치료: 보존적 치료에 대부분 반응
- 수술: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참고자료
- Kwon SK, Chang CB. Differential Diagnosis of Knee Pain Commonly Encountered in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the Korean Rheumatism Association 2007;14(3):185.
- McMahon SE, LeRoux JA, Smith TO, Hing CB. The management of the painful bipartite patella: a systematic review.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6;24(9):2798–805.
- Matic GT, Flanigan DC. Efficacy of surgical interventions for a bipartite patella. Orthopedics 2014;37(9):623–8.
- Loewen A, Ge SM, Marwan Y, Burman M, Martineau PA. Arthroscopic Management for Bipartite Patella: A Systematic Review. Orthop J Sports Med 2021;9(8):23259671211022250.
- Kose O, Eraslan A, Ergun A, Egerci O, Ercan E. Prevalence of Bipartite Patella in Turkish Population: Analysis of Bilateral Knee Radiographs in 897 Sub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Morphology 2015;33:1108–13.
- Oohashi Y, Koshino T, Oohashi Y. Clinical features and classification of bipartite or tripartite patella.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0;18(11):1465–9.
- Sonnery-Cottet B. Arthroscopic treatment of painful Sinding-Larsen-Johansson syndrome in a professional handball player. Orthopaedics & Traumatology Surgery & Research 2016;102.